항목

  • 기러기 brant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대형의 흔치 않은 겨울새.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해안, 강하구에 서식하고, 식성은 잡식으로 해조류, 조개류 등을 먹는다. 크기는 58~66cm, 무게는 1.3~1.5kg 정도이다. 포란기간은 24~26일 정도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원산지 :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서식지 :
    해안. 강하구
    먹이 :
    해조류, 조개류 등
    크기 :
    약 58cm ~ 66cm
    무게 :
    약 1.3kg ~ 1.5kg
    학명 :
    Branta bernicla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4~26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 기러기 천연기념물 제325-2호, Brant Goose
    서식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중국 해안, 북미 서부 연안 등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하구 또는 해안가에서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월동한다. 10월 중순부터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머문다. 행동 다른 기러기와는 달리 바닷...
    분류 :
    오리과(Anat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5-2호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중국 해안, 북미 서부 연안 등지에서 월동한다.
    크기 :
    L55~65cm
    학명 :
    Branta bernicla Brent Goose / Brant
  • 기러기 Branta bernicla
    형태 크기: 약 55~65cm 정도의 크기이다. 채색과 무늬: 암컷과 수컷 모두 머리와 목은 검은색으로 흰색의 목 띠가 있으며, 곳곳에 검은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등, 어깨, 허리, 위꼬리덮깃은 어두운 갈색으로 허리 양쪽과 위 꼬리 덮깃 양쪽 끝 부분의 깃털은 흰색이다. 가슴은 검은색이며, 배는 어두운 갈색으로 아랫부...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기러기목(Anseriformes) > 오리과(Anatidae)
    학명 :
    Branta bernicla (Linnaeus, 1758)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남해안과 동해안의 하구 또는 해안가에서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한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대륙,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일본, 중국해안, 북미 서부연안 등지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천연기념물 제352-2호
  • 기러기 黑─
    오리과에 속하는 중형조류.|내용 학명은 Branta bernicla orientalis TOUGARINOV.이다. 머리와 목은 그을린 검은색이고, 흰색의 목띠가 있는데, 앞목에서는 폭이 넓고 뒷목에서는 폭이 좁은 쐐기모양이며 곳곳에 검은색의 얼룩무늬가 섞여 있다. 등·어깨깃·허리·위꼬리덮깃은 어두운 갈색이고, 허리 양쪽과 위꼬리...
    분류 :
    오리과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325-2호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학명 :
    Branta bernicla orientalis TOUGARINOV.
    분야 :
    과학/동물
  • 기러기 Brant (goose), コクガン
    어깨, 허리, 위꼬리덮깃은 어두운 갈색, 허리 양쪽과 위꼬리덮깃의 양쪽 끝부분은 흰색이다. 가슴은 검은색이며 배는 어두운 갈색으로 아래로 갈수록 엷은 색을 띤다. 부리와 다리는 검은색이다. 겨울을 날 때는 주로 바닷가, 육지 깊숙이 바다가 들어온 곳, 해안의 얕은 곳에서 생활한다. 낮의 간조시에는 거친 해안이...
    도서 위키백과
  • 기러기류(개리·기러기)
    있는데, 우리 나라에는 기러기 · 회색기러기 · 쇠기러기 · 흰이마기러기 · 큰기러기 · 흰기러기 · 개리 · 붉은가슴기러기 · 캐나다기러기 · 흰머리기러기 · 줄기러기 등 11종이 기록되었다. 이 가운데 개리와 기러기는 매우 희귀하여 1982년 11월 14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기러기
    기러기속은 오리과의 한 속이다. 기러기, 붉은가슴기러기, 흰얼굴기러기 등이 속해 있다. 기러기 붉은가슴기러기 하와이기러기 큰캐나다기러기 흰얼굴기러기 캐나다기러기
    도서 위키백과
  • 기러기
    홍안(鴻雁)이라고도 불렸다. 우리말로는 기러기·기럭이·기럭기라고 불렸다.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기러기·회색기러기·쇠기러기·흰이마기러기·큰기러기·흰기러기·개리 등 7종이 기록되어 있다. 북반구의 북부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남하, 이동해 온다. 흰이마기러기·회색기러기...
    분류 :
    오리과 흑기러기속과 기러기속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325호
    성격 :
    동물, 새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하와이기러기 nene
    정의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Branta sandvicensis’이다. 원산지는 미국이고, 서식지는 초원, 모래언덕, 용암평원이다. 식성은 초식으로, 식물의 연한 잎, 열매, 씨앗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높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형태 캐나다기러기의 근연종으로 하와이에서...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흑기러기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미국)
    서식지 :
    초원, 모래언덕, 용암평원
    먹이 :
    식물의 연한 잎, 열매, 씨앗, 꽃, 풀 등
    크기 :
    약 60cm ~ 65cm
    무게 :
    약 1.5kg ~ 3.05kg
    학명 :
    Branta sandvicensis
    식성 :
    초식
    임신기간 :
    약 29~32일
    멸종위기등급 :
    높은위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초식동물
  • 캐나다기러기 Canada goose
    개요 조강 기러기목 오리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Branta canadensis’이다. 학명의 ‘canadensis’는 ‘캐나다로부터’를 의미하는 라틴어로, 이 동물의 원산지를 나타낸다. 중요한 수렵 조류이며, 17세기에 스포츠용과 장식용 수금류로서 영국에 도입되었고 그 이후 다른 나라에도 도입되었다. 형태...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 흑기러기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지 :
    소택지, 초원, 호수
    먹이 :
    녹색식물, 곡식류
    크기 :
    약 76cm ~ 1.1m
    무게 :
    약 2.5kg ~ 6.5kg
    학명 :
    Branta canadensis
    식성 :
    잡식
    임신기간 :
    약 24~28일
    멸종위기등급 :
    낮은위기
  • 붉은가슴기러기 Red-breasted Goose
    식기에는 농경지, 풀밭에서 무리를 이루어 월동한다. 낮에는 호수 중앙에서 다른 기러기류에 섞여 휴식을 취하기도 하며 해안지대로 이동하기도 한다. 특징 기러기보다 약간 작다. 목이 다소 굵고 부리는 매우 짧다. 적갈색, 검은색, 흰색이 섞여 있어 다른 종과 쉽게 구별된다(먼 거리에서는 전체적으로 어둡게 보여...
    분류 :
    척삭동물 > 조강 > 기러기목 > 오리과
    서식지 :
    타이미르반도 등 북서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발칸지역 동부, 러시아 남부, 중동지역에서 월동한다.
    크기 :
    L54~60cm
    학명 :
    Branta ruficollis Red-breasted Goose
  • 기러기 Anser
    2.5~4.1kg에 달한다. 기러기속에 속하는 새들의 다리는 주황색이나 분홍색을 띠며, 부리는 분홍색, 검은색, 주황색을 띤다. 한국에는 기러기와 회색기러기, 쇠기러기, 큰기러기, 흰기러기, 개리 등의 7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북반구의 북부에서 번식한다. 주로 논이나 밭, 저수지 등 습한 지역에서 서식하며, 먹이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5건

흑기러기
흑기러기
흑기러기
흑기러기
흑기러기
거위
흑기러기
기러기류 중 흑기러기
기러기류중 흑기러기
흑기러기 성조(2011.12.24. 강원 강릉 사천항)
흑기러기 어린새(2009.12.19. 충남 천수만)
흑기러기 어린새(2007.12.21. 강원 고성 아야진)
흑기러기 1회 겨울깃(2011.12.24. 강원 강릉 사천항)
기러기류(개리,흑기러기)
흑기러기 무리
바다 위에서 먹이를 먹고 있는 흑기러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