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가래 가내(可乃)
    등이 있는데, 보통은 ‘세손목 한카래’로 일을 한다. 을 떠서 옮기는 일을 ‘가래질’이라고 하고 가래로 떠낸 흙덩이를 ‘가랫밥’이라고 한다. 또, 가래를 세워 을 깎는 일을 ‘칼가래질’, 논둑이나 밭둑을 깎는 일을 ‘후릿가래질’이라고 한다. 가래로는 소가 들어가지 못하는 진흙밭이나 물이 많이 나는 논을...
    성격 :
    농기구
    유형 :
    물품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가래
    가래는 삽처럼 생긴 가랫날에 양 귀퉁이를 새끼끈으로 묶어서 양쪽에서 잡아당기고 나머지 한 사람은 가래손잡이를 붙들고 힘과 방향을 조절한다. 가래를 사용하면 을 멀리 던져 보낼 수 있고, 을 파올리는 힘든 일도 쉽게 할 수 있다. 이같은 외가래뿐만 아니라 가랫날 2개가 쌍으로 붙은 것을 6명이 달라붙어 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가래나무 Manchurian walnut, <일>まんしゅうぐるみ
    가량의 을 덮고 잘 다져준다. 재배특성 다비성(多肥性) 수종이기 때문에 비옥한 토양에서 특히 잘 자라며 물이 흐르는 계곡이나 산록의 서덜 사이에서 주로 생육하는데 뿌리의 발달이 좋고 생장이 빠른 편이다. 용도 •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고 질기며 단단하고 뒤틀리지 않아 건축재, 내장재, 기계재, 조각재로...
    분류 :
    가래나무목 > 가래나무과 > 가래나무속
    학명 :
    Juglans mandshurica Maxim.
    개화기 :
    4월
  • 가래나무 추목(楸木)
    자라며, 만주·우수리·시베리아 등지에서도 자란다. 습기가 있는 땅에서 잘 자라나, 물이 괴어 있는 곳에서는 자라지 못한다. 골짜기나 하천변이 적당하며, 이 깊고 비옥도가 높은 곳이 최적지이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모래와 잘 섞어서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봄에 파종하거나, 종자를 흐르는 물에 담가 충분히...
    분류 :
    가래나무과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20m
    학명 :
    Juglans Mandshurica MAX.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4월
  • 다발고무동충하초
    묻히고 미세하게 점상으로 돌출되며 진한 색을 나타낸다. 자루는 불규칙한 요철과 일그러짐이 있고 흑적색이다. 기부는 딱딱한 육질이며 기주에 붙는다. 2차 포자의 크기는 5~7×1㎛이다. 생태 참나무류, 찰피나무, 가래나무, 칠엽수 등의 활엽수림의 지상 또는 땅속에 매몰된 나방(나비목, 인시류)의 애벌레에서 나온다...
    분류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동충하초강 > 동충하초아강 > 동충하초목 > 맥각균과 > 고무동충하초속
    학명 :
    Metacordyceps martialis (Speg.) Kepler, Sung & Spattfora Cordyceps martialis Speg.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중남아메리카
    발생시기 :
    여름~초가을
  • 가래소리
    내용 농요(農謠)의 하나. 논에서 물을 퍼내거나 을 퍼낼 때 가래질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우겨라어야 어기 영차 이 가래를 모두 들고 힘차게 당겨보세 높은데 가서 깊은데 고르고 두발을 버티고 두손을 모아 잡고 기운차게 당겨보세 먼산에 두견이 울고 근산에 꾀꼬리 우니 녹음방초 시절...
    성격 :
    농요(農謠)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가래
    는 가라지(Decapterus maruadsi, 전갱이과)를 부르는 말이다. ‘가래’는 버들치(Moroco oxycephalus, 잉어과)를 부르는 말이다. 곤충 ‘가래’는 가뢰를 부르는 말이다. 가래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농기구이다. 을 떠서 세는 단위이다. 가래는 폐와 기관지 등에서 생기는 끈적끈적한 분비물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가래 긴잎가래
    것도 있다. 이들은 어항에 키워 열대어와 함께 멋진 그림을 연출해내기도 한다. 가래 역시 담수초로 잎을 물 위에 띄운다. 그 잎이 을 고르는 데 쓰는 가래를 닮아서 가래라고 한 것일까. 잎은 길이 5~10㎝, 폭 1.5~4㎝ 정도의 타원형을 이룬다. 잎자루의 길이는 6~10㎝이지만 물의 깊이에 따라 크기가 약간 다르다...
    분류 :
    가래과
    서식지 :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
    꽃색 :
    황록색
    학명 :
    Potamogeton distincuts A. Benn.
    용도 :
    약재
    분포지역 :
    우리나라 중부 이남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결실기 :
    10월경
  • 가래 (농기구) Spade, 鋤
    가래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농기구이다. 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하게 생긴 몸의 끝에 쇠날을 끼워 만든다. 주로, 논을 평평하게 고르거나 갈 때 또는 밭이랑을 만들 때 사용한다. 가래을 파헤치거나 퍼 옮기는 일은 가래질이라고 부른다. 삽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가래질하기
    손잡이를 붙들고 힘과 방향을 조절한다. 가래를 사용하면 을 멀리 던져 보낼 수 있고, 을 파올리는 힘든 일도 쉽게 할 수 있다. 을 떠서 옮기는 일을 가래질이라고 하고, 가래로 떠낸 흙덩이를 가랫밥이리고 한다. 가래질은 고된 노동으로 가래질 끝내면 농사 준비 다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가래질은 줄꾼 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산업
  • 도자기의 성형과정과 기법
    도자의 소지는 점토와 여러 가지 원료를 혼합해서 원하는 색깔과 소성온도 등에 맞게 만든다. 성형기법에는 핀칭·코일링(가래성형)·슬랍(판성형)·물레성형·석고틀사용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물레는 손물레에서 발물레로 발전했는데, 18세기경에는 보조자가 옆에서 물레를 돌려주어야 했으며 19세기 이후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가래 Potamogetonaceae, ヒルムシロ科
    생물 분류 가래과는 택사목의 과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세계적으로 약 5속의 110종 가량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가래·말즘·말·대가래·실말 등의...또는 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있는 곳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물 밑의 속에서 가로로 뻗는다. 잎의 밑부분은 꼬투리 모양이 되는데, 많은 종에서는 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