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훈장 訓長내용 학구(學究)라고도 한다. 훈장은 한문이 들어오면서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나 서당교육이 활발해진 조선 중기 이후에 널리 일반화되었다. 자격은 천차만별이었으며, 학식의 표준도 일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경(經)·사(史)·자(子)·집(集)에 두루 통한 자는 드물었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경제적 지위도 열악...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교육자
- 유형 :
- 제도
- 시행처 :
- 서당
- 분야 :
- 교육/교육
-
몽어유해보편 蒙語類解補編첩해몽어(捷解蒙語)』에 실린 이익(李瀷)의 「몽학삼서중간서(蒙學三書重刊序)」에 소상히 설명되어 있다. 그에 의하면, 일찍이 이억성(李億成)이 몽고어 훈장(訓長)으로 있을 때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와 『몽어유해』가 수정·간행되어 몽고어 학습서로 이용되었다. 그뒤 수 십년 사이에 말이 달라졌기 때문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방효언
- 창작/발표시기 :
- 1790년(정조14), 1971년(영인)
- 성격 :
- 교재, 어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1책
- 간행/발행 :
- 고전간행회(1971)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강미 講米말부터 일정한 생활방도가 없는 몰락 지식인이 증가하고, 이들이 직업적인 서당 훈장으로 변신하자 그 사회적 대우도 변화하였다. 작자 미상의 <대구훈장원정 大邱訓長原情>이라는 기록에서는, 일년치의 강미가 조(租) 1석(石), 전(錢) 1냥에 지나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서당 훈장들이 학전(學錢...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은산군읍지 殷山郡邑誌산천조에는 산의 위치와 모양, 유적 등이 기록되어 영애조와 함께 상세하다. 향교조에는 위치와 건물·제기(祭器)·교노비(校奴婢)가 기록되어 있고, 특히 훈장(訓長)과 재장(齋長)·유사(有司)의 자격과 선택 기준이 규칙과 함께 기록되어 있어 지방 교육제도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창고·토전·병제조 등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안세록
- 창작/발표시기 :
- 1899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김노선 자유(子唯), 金魯善에서 풍파를 만나 배가 전복되었으나 조금도 동요함이 없이 침착하였다 한다. 1856년(철종 7) 부사(府使) 신석우(申錫雨)의 초빙으로 낙육재(樂育齋)의 훈장(訓長)이 되어 학생을 가르쳤고, 거처하는 침실을 셋으로 나누어 한곳에는 장서실로 정하여 책을 쌓아두고 항상 책을 가깝게 하였다. 그의 선조(先祖)가 임진왜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811년(순조 11)
- 사망 :
- 1886년(고종 23)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 대표작 :
- 유의, 기계문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안동(安東)
-
반구재유집 反求齋遺集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통고일향문(通告一鄕文)」은 1866년(고종 3)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고을 주민들에게 합심단결하여 외세에 저항할 것을 간곡히 호소한 글이며, 「강회시시제생(講會時示諸生)」은 사제·교우간의 훈장(訓長)·비용(費用)·수계(修契)·고과(考科)·징벌(懲罰)·연한(年限) 등에 대해 규정한 것...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신재수
- 창작/발표시기 :
- 193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신태우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화사양가보록 畵寫兩家譜錄李彦寬)·이해룡(李海龍) 등 사자관을 지낸 537명의 명단을 수록하였고, 「도화서관안」에는 제조(提調) 1명, 행수관(行首官) 1명, 겸교수(兼敎授) 1명, 훈장(訓長) 1명, 녹관(祿官) 1명, 별체아(別遞亞) 3명, 부사과(副司果) 1명, 부사정(副司正) 1명, 부사맹(副司猛) 1명, 선화(善畵) 1명, 선회(善繪) 1명, 화사(畵史...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오세창(吳世昌)
- 창작/발표시기 :
- 1916년
- 성격 :
- 관찬서, 계보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23.2×15.0㎝)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송백당집 松栢堂集上地主金庸邦書>·<상지주유석주서 上地主兪錫柱書>는 지방민의 피폐한 상황을 지방관에게 알리는 글이다. 그 밖에 자손들을 훈계하는 내용인 <유계 遺戒>와 강회나 각 지방의 훈장들에게 보낸 <서시향중강회소문 書示鄕中講會所文>·<서시각면훈장 書示各面訓長> 등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우정
- 창작/발표시기 :
- 193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홍택주, 홍재목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계명대학교 도서관
-
양산학교 楊山學校사범강습회(夏期師範講習會)를 개최하였는데, 이 때 강사로 최광옥(崔光玉)·김구 및 당시 17세의 이광수(李光洙)도 초대되었다. 이 강습회에는 사숙훈장(私塾訓長)들과 스님, 백발이 성성한 노인까지 강습생으로 참석하였으며, 멀리 경기도·충청도에서까지 강습생이 몰려와 그 수는 400여 명에 달하였다. 강습회의...
- 시대 :
- 근대
- 위치 :
- 황해도 안악
- 설립 :
- 1907년
- 성격 :
- 근대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효영(金孝英), 김홍량(金鴻亮)
- 분야 :
- 교육/교육
-
이광정 천상(天祥), 李光庭만년에 조현명(趙顯命)이 경상도 관찰사로 있을 때, 지방의 학문과 교화를 일으키고자 많은 선비를 뽑았는데, 이 때 이광정을 스승으로 모셔 안동부도훈장(安東府都訓長)으로 삼았다. 조정에서 효렴(孝廉)을 천거하라 하였을 때에도 문학과 행의(行誼)가 산남(山南)의 제일이라고 하여 천거되었다. 이후에 김재로(金在魯...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