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훈고학 訓誥學경전의 자구(字句)에 관해 그 해석을 주로 하는 학문. 내용 ‘훈(訓)’이라 함은 자구나 언어가 가리키는 의의를 설명한다는 것이 되고, ‘고(誥)’는 고언(古言)이란 회의(會意) 글자로서 그것은 바로 고어(古語)를 현재의 언어 문자로 바꾸어 풀이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훈고(訓誥)를 ‘훈고(訓故)’라고도 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송학의 태두, 주자 朱熹공헌한 일 중 으뜸을 꼽으라면 송대의 유학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여 주자학(朱子學)을 완성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공자 이후 이어져 내려오는 유학은 훈고학(訓古學)이라 하여 경전에 주석을 붙이는 생명력 없는 학문으로 변질되어 있었다. 이런 훈고학의 한계를 넘어서 개인 수양으로서의 학문, 천하를 다스리는 기틀...
- 출생 :
- 1130년
- 사망 :
- 1200년
- 본명 :
- 주희
- 국적 :
- 중국
- 대표작 :
- 《논어집주》, 《맹자집주》, 《사서집주(四書集註)》, 《태극도설(太極圖說)》, 《가례(家禮)》, 《소학근사록(小學近思錄)》, 《역본의(易本義)》 등
-
-
오학론 五學論관직을 주면 전곡(錢穀)·갑병(甲兵)·송옥(訟獄)·빈상(擯相) 등의 실무적인 행정이나 제도 등등에는 손을 쓸 수가 없다. 이런 학문을 어디에 쓰겠는가. ② 훈고학: 경전의 글자에 매이기보다 그것을 삶의 지표와 수양의 도구로 삼고자 출범한 성리학이 또 다른 이론적 난삽과 착종에 빠지면서 한대에 발흥했던 훈고학...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약용
- 성격 :
- 논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국가 정통 이념으로 자리 잡은 성리학, 신유학 정립学)이라고 불리며, 이후 국가의 공식적인 사상이 되었다.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현학(玄学)이 성행했으며, 당(唐) 대에는 유가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는 훈고학이 발달하고 귀족 사회가 부흥하면서 불교와 도교가 성행했다. 송(宋) 대에는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된 사대부 계층이 대두했는데, 이들은 유가의 부흥을...
- 시대 :
- 116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