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훈고학 訓誥學
    경전의 자구(字句)에 관해 그 해석을 주로 하는 학문.|내용 ‘훈(訓)’이라 함은 자구나 언어가 가리키는 의의를 설명한다는 것이 되고, ‘고(誥)’는 고언(古言)이란 회의(會意) 글자로서 그것은 바로 고어(古語)를 현재의 언어 문자로 바꾸어 풀이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훈고(訓誥)를 ‘훈고(訓故)’라고도 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훈고학 訓詁學
    훈'이란 경전의 자구가 뜻하는 바를 풀이하는 것이며, '고'란 고금의 문자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훈고학이 학문으로 발전한 것은 한나라 때이다. 문제·경제 때 오경박사와 관학제도의 설치를 통해 흩어진 경전을 보완하고 일부만 남아 있는 경전을 재구성했으며, 자의의 훈고에 힘썼다. <시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훈고학 訓詁学, 训诂学
    유교 훈고학훈고학의 대표적인 학자이다.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그리스도교의 성립 > 한대의 문화 > 정현의 훈고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당나라 시대에 편찬된 《5경정의》는 한나라 시대 이래의 훈고학(訓誥學)의 총결산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 송나라 시대의 성리학에서는 종래의 훈고학을 물리치고 ...
    도서 위키백과
  • 경학 經學
    경학은 한나라 때 유학이 국정교학으로 성립되면서 형성된 이래 한·당시대, 송·명시대, 청대의 3시기를 획기로 하여 변화했다. 한·당시대의 경학은 훈고학(訓詁學)으로 통칭되며, 유학이 사회의 지배이념으로서 성립되는 과정 속에서 각 경전에 대한 주석이 치밀하게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이 시기에는 각 경전 주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양철학
  • 한학 漢學
    넓게는 한대의 학술 전체를 가리키며, 작게는 훈고학(訓詁學)을 가리킨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제자백가에 의해 다양한 학문과 사상이 발달했으나, 한대에는 유교가 국교화되면서 유교를 중심으로 학술이 발달했다. 초기에는 주로 진시황 때 분서갱유(焚書坑儒)로 분실된 유서(遺書)를 수집하고 복원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이아 爾雅
    가깝다'[近]는 뜻이고, 아(雅)는 '바르다'[正]는 뜻으로 근정(近正)한 것을 올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석명(釋名)에서 보이는 설명이다. 한대의 훈고학 형성과 문자학의 발달에 모태가 되었으며, 현존 최고의 훈고학서로 고전을 이해하고 고대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책이다. 주석서로는 진(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교 , 종교
  • 송학의 태두, 주자 朱熹
    공헌한 일 중 으뜸을 꼽으라면 송대의 유학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하여 주자학(朱子學)을 완성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공자 이후 이어져 내려오는 유학은 훈고학(訓古學)이라 하여 경전에 주석을 붙이는 생명력 없는 학문으로 변질되어 있었다. 이런 훈고학의 한계를 넘어서 개인 수양으로서의 학문, 천하를 다스리는 기틀...
    출생 :
    1130년
    사망 :
    1200년
    본명 :
    주희
    국적 :
    중국
    대표작 :
    《논어집주》, 《맹자집주》, 《사서집주(四書集註)》, 《태극도설(太極圖說)》, 《가례(家禮)》, 《소학근사록(小學近思錄)》, 《역본의(易本義)》 등
  • 성리학 주자학, 性理學
    중국에서는 이미 당대부터 종래의 훈고학(訓詁學)과는 다른 유교학풍을 세우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그 노력은 북송대에 이르러 성리학이라는 사상체계와 학문방법을 갖추기 시작했다. 그후 남송의 주희(朱熹 : 1130~1200)에 의해 성리학의 집대성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성리학을 주자학(朱子學)이라 부르기도 한다. 명대...
  • 오학론 五學論
    관직을 주면 전곡(錢穀)·갑병(甲兵)·송옥(訟獄)·빈상(擯相) 등의 실무적인 행정이나 제도 등등에는 손을 쓸 수가 없다. 이런 학문을 어디에 쓰겠는가. ② 훈고학: 경전의 글자에 매이기보다 그것을 삶의 지표와 수양의 도구로 삼고자 출범한 성리학이 또 다른 이론적 난삽과 착종에 빠지면서 한대에 발흥했던 훈고학...
    시대 :
    조선
    저작자 :
    정약용
    성격 :
    논설
    유형 :
    작품
    분야 :
    종교·철학/유교
  • 국가 정통 이념으로 자리 잡은 성리학, 신유학 정립
    学)이라고 불리며, 이후 국가의 공식적인 사상이 되었다.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현학(玄学)이 성행했으며, 당(唐) 대에는 유가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는 훈고학이 발달하고 귀족 사회가 부흥하면서 불교와 도교가 성행했다. 송(宋) 대에는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된 사대부 계층이 대두했는데, 이들은 유가의 부흥을...
    시대 :
    1162년
  • 고려의 사상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여 교육의 진흥을 꾀했다. 유학은 합리적인 사상체계로 정치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나, 고려 전기의 유학은 사장학(詞章學)·훈고학(訓詁學) 중심인데다 과거시험 준비에 치중하여 철학적 사상체계를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되지는 못했다. 후기에 신진사대부가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송의 학문
    배출했다. 이렇게 과거를 통해 등용된 문벌 관료들은 송대의 핵심 세력이 되었으며 이들을 ‘사대부’라 했다. 사대부는 유교 경전의 자구 해석에 치중하는 훈고학에서 벗어나 천리와 인성의 연구를 중시하는 주자학(성리학)을 확립시켰다. 북송의 주돈이에서 시작되어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 완성된 주자학은 인간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중국 , 학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