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후원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 불당리에 자리한 후원은 전원형 가든이다. 분위기 있고 조용한 산장에서 식사를 즐길 수 있고, 단체 및 지인들의 모임 자리가 가능한 단체석이 완비되어 있어 족구 등과 함께 야유회 등 행사가 가능하다. 바로 뒷산이 검단산과 망덕산으로 한두 시간 등산을 즐길 수도 있는 곳이다.
    위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81-33
  • 승정원 (동의어 후원) 은대, 承政院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을 관장하던 관청.|개설 정원(政院) · 후원(喉院) · 은대(銀臺) · 대언사(代言司)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1392년(태조 1) 7월에 반포된 관제에 의하면 원래 왕명출납의 일은 고려의 제도를 이어받아 중추원의 중요 업무 중 하나였는데, 이 때 그 속아문으로 승지방을 설치하였다. 승지방은 ...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후원 (전한) 後元, 後元 (漢武帝)
    연호 후원(後元)은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열한번째이자 마지막 연호이다. 기원전 88년에서 기원전 87년까지 2년 동안 사용하였다. 후원 원년 2년 서력 기원전 88년 기원전 87년 육십간지(六十干支) 계사(癸巳) 갑오(甲午) 중국의 연호 전한 무제의 연호
    도서 위키백과
  • 후원
    후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창덕궁 후원 스폰서 후원 (전한) - 중국의 연호 후원: 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의 등장인물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궁궐 굴뚝 장식 후원을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들다
    우리나라 건축은 남향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전각의 후원은 어둡고 스산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각종 장식이 베풀어진 아름다운 굴뚝이 있어 후원은 오히려 더 밝고 정겨운 공간이 되기도 한다. 굴뚝을 장식하는 문양 속에는 길상·벽사에 대한 기원과 인간의 원초적 욕망이 깃들어 있으며, 도교적 이상세계를 지향하는...
    도서 궁궐 장식 | 태그 조선 , 건축물
  • 창덕궁 후원 비원, 昌德宮 後苑
    평.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된 창덕궁 안에 있는 조선시대 정원이다. 조선왕궁의 놀이와 잔치 장소로 활용된 대표적인 조원(造苑)유적이다. 1997년 창덕궁과 후원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1405년(태종 5) 창덕궁이 이궁(離宮)으로 창건되고 이듬해인 1406년에는 후원 동북쪽에 해온정(解溫亭...
    시대 :
    조선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엔리케의 탐험후원
    1420년 이래로 그는 인근의 라고스 항구에서 탐험대를 파견하기 시작했다. 탐험대는 처음에는 모로코의 대서양 해안지대를 더 많이 탐사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이후 그가 대륙들과 연관하여 생각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인도로 가는 남쪽 항로를 발견해 인도에 그리스도교를 소개하고 통상을 진흥시키는 것이 목표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한국 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임시정부를 후원한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 비오생, Geo..
    일제강점기 대한독립운동은 전 세계를 무대로 진행되었다. 그 중 해외 독립운동은 지지기반이 약하고 언어 등 제약이 있었으므로 현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대한민국정부는 독립운동을 지원한 현지인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2016년까지 56명의 외국인에게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다.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출생 :
    1883년 1월 23일
    사망 :
    1979년 1월 20일, 미국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8
  • 창덕궁 후원
    본래 창덕궁의 후원으로 후원(後苑) 또는 왕의 동산이라는 뜻에서 금원이라고 불렀으며, 비원(秘苑)이라는 명칭은 일제 때 용어이다. 〈태종실록〉에 1406년(태종 6) 4월 창덕궁 동북쪽에 해온정(解溫亭)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정원은 이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459년(세조 5)에는 후원 좌우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서울 , 건축물
  • 조선군사후원연맹 朝鮮軍事後援聯盟
    내용 일제 말기의 전시 협력 조직으로 “황군의 후원이 되어 서로 협력하여 군인의 사기를 고취 격려하고, 군인으로 후고(後顧)의 우려 없이 본분을 다하게 함.”을 강령으로 삼았다. 실천 사업으로 ① 군인 원호 사상의 보급, ② 상이·출전 군인의 가족 원호, ③ 위에 대한 직업 알선, ④ 출전·귀향 군인에 대한 송영...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37년
    성격 :
    사회운동단체, 친일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41년 7월 31일
    설립자 :
    김명준, 박영철, 예종석
    분야 :
    역사/근대사
  • 후원 胡文虎, Hu Wenhu
    은 1860년경 미얀마로 가서, 양곤에 영안당이라는 약국을 창설했다. 차오저우[潮州] 출신의 이씨(李氏)를 아내로 맞아 3형제를 두었는데, 그중 둘째 아들이 후원후이다. 그는 10세 때 중국의 고향으로 돌아가 중학교육을 받았으며, 4년 뒤 다시 양곤으로 갔다. 1908년 가업을 계승하고 만금유·팔괘단 등의 한약을 제조...
    출생 :
    1883
    사망 :
    1954
    국적 :
    아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인
  • 창덕궁과 후원
    끈다. 창덕궁은 1997년 12월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유네스코(UNESCO) 세계 유산위원회에서 수원 화성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창덕궁 후원은 태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임금을 비롯한 왕족들이 휴식하던 곳이다. 후원은 북원(北苑), 금원(禁苑)이라고도 불렀으며, 고종 이후 비원(秘苑)으로 불렀다...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5건

창덕궁 후원
후원 인사말
후원(煦园)
후원계약서
후원제안서
후원요청서
후원협약서
후원약정서
후원신청서
후원신청서
후원제안서
창덕궁 낙선재 / 후원
창덕궁 후원 연경당
창덕궁 후원 영화당
창덕궁 후원 관람정
창덕궁 낙선재 후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