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효민공 이경직 묘역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이 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경직 선생을 기리고 있다. 이경직은 이항복과 김장생의 제자로, 조선 선조 때 승문원에서 처음으로 벼슬을 시작하여 강화유수를 지내었고, 병으로 생을 마칠 때까지 도승지, 호조판서 등의 여러 관직을...
- 위치 :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산 57-48
- 문화재 지정 :
- [효민공이경직묘역]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5호(1997.12.31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이전 효민(孝愍), 李佺이내 목매어 17세로 죽었다. 이 사건의 주모자 신경희는 죽임을 당하고 양시우(楊時遇)·김정익(金廷益)·소문진(蘇文震)·김이강(金以剛)·오충갑(吳忠甲) 등은 귀양가게 되었는데, 이를 ‘신경희의 옥사’라 한다. 인조가 즉위하자 관봉(官封)이 되었고, 1632년 대군으로 추봉되었다. 시호는 효민(孝愍)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99년(선조 32)
- 사망 :
- 1615년(광해군 7)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종실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인성군 백인당(百忍堂), 仁城君귀양보내었다. 후에 원주로 옮겼다가 어머니 민씨의 병이 위독하므로 관대한 처분을 받고 돌아왔다. 그러나 1628년 유효립(柳孝立) 등이 대북파의 잔당을 규합하여 모반을 기도할 때에 왕으로 추대되었다 하여 다시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자살을 강요받고 죽었다. 1637년에 복관되었다. 시호는 효민(孝愍)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88년(선조 21)(선조 21)
- 사망 :
- 1628년(인조 6)(인조 6)
- 경력 :
- 종부시도제조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인조반정, 이괄의 난
- 직업 :
- 왕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홍중효 성원(聖源), 洪重孝않은 채 대사헌 이후의 벼슬은 병을 핑계로 사직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경전에 마음을 쏟으면서도 시(詩)에 뛰어났으며, 만년에 글씨에도 힘을 기울였다. 저서로는 『소와집』·『학본내외편(學本內外篇)』·『이기왕복서(理氣往復書)』·『예기강목고이(禮記綱目考異)』 등이 있다.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08년(숙종 34)
- 사망 :
- 1772년(영조 48)
- 경력 :
- 대사간, 공조참의, 호조참판, 대사헌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소와집, 학본내외편(學本內外篇), 이기왕복서(理氣往復書), 예기강목고이(禮記綱目考異)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산(豊山 :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허계 이숙(而肅), 許棨올랐다. 이어 1846년 평안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851년(철종 2) 좌변포도대장(左邊捕盜大將)을 세 번이나 역임한 뒤 1858년 금위대장을 지냈다. 1865년 조두순(趙斗淳) 내각에서 공조판서·어영대장으로 경복궁 건영도감(建營都監)의 제조(提調)가 된 뒤 판의금부사·도총관을 역임하였다.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98년(정조 22)
- 사망 :
- 1866년(고종 3)
- 경력 :
- 함경북도병마절도사, 수군절도사, 판의금부사, 도총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양천(陽川)
-
정치달 효민(孝敏), 鄭致達3월 영빈이씨(暎嬪李氏) 소생의 화완옹주(和緩翁主)와 정혼하여 일성위(日城尉)가 되었으며, 같은해 7월 혼인하였으나, 1757년에 후사 없이 요절하였다. 1764년에 인천에서 판어(販漁)를 업(業)으로 하는 석달(錫達)의 아들 후겸(後謙)을 양자로 삼고, 장원봉사(掌苑奉事)에 제수되었다. 시호는 효민(孝敏)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1757년(영조 33)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연일(延日)
-
효민공 이경직 묘역효민공 이경직 묘역(孝敏公 李景稷 墓域)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이경직(1577∼1640)의 묘역이다. 1997년 12월 31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05호 이경직신도비(李景稷神道碑)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10월 3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경직신도비(李景稷神道碑)는 조선 중기...도서 위키백과
-
박정민 Park Jeong-min였다. 이 영화는 누군가 폭탄을 터뜨리길 바라면서 사제폭탄을 만들어 온 남자 ‘정구’와 사회를 향한 불만으로 그 폭탄을 터뜨려줄 적임자로 발탁된 남자 ‘효민’의 이야기다. 이 영화에서 박정민은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사회에 불만이 많은 반항아로, 하고 싶은 대로 아무렇게나 행동하는 주인공 ‘효민...
- 출생 :
- 1987년, 한국 충주
- 수상 :
- 2016년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동주>), 2016년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동주>)
- 데뷔 :
- <세상의 끝>(The End Of The World, 2007, 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