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획일주의 劃一主義, standardization, conformism
    획일주의는 집단 성원의 모든 존재양식을 동질화시키는 입장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를테면, 집단 목표를 향하여 심리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또는 사회적으로 동일화시켜서 생활양식, 신념, 태도, 이데올로기에 이르기까지 강제로 획일화, 일치화(standardize) 시키는 경향을 의미한다. 이 획일주의에는 인위적인 강제와 ...
  • 논어 선진편, 문사행저 聞斯行諸
    매사에 적극적인 자로에게는 주위 분들과 상의하고, 생각도 하는 여유를 가질 것을 권면하고, 생각이 많고 소극적인 염유에게는 즉각적인 행동을 하도록 부추긴다. 공자의 이러한 개별 지도 방법이야말로 모든 학생을 한가지 방법으로 가르치는 획일주의 교육과 일제 학습의 폐해를 줄이는 묘약일 것이다. 한자 풀이
  • 획일화 劃一化, standardization
    져 개성을 상실하고 무미건조하게 닮아가게 되는 현상을 지적할 때 문화의 획일화라고 한다. 더욱 복합해지고 욕구가 다양해진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오히려 획일화가 강화되는 역설을 낳기도 한다. 획일주의는 미리 명확하게 정해진 세계관,철학,가치체계에 따라 전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반개인주의의 입장을 가리킨다.
    도서 다음백과
  • 남북한의 문화적 차이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추구하고 각자의 개성이 존중되어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하나 이에 반해 북한은 김일성정권의 지배하에 주체사상을 기초로 하는 획일주의를 추구하며 자유와 개성존중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남한에서는 식생활을 자의적으로 할 수 있으나 북한은 배급제를 통해 식품과 생필품 등을 제공받는다...
    도서 다음백과
  • 순수참여문학논쟁 純粹參與文學論爭
    실험적인 문학과 정치의 자유〉(조선일보, 1968. 2. 27)를 통해 "모든 전위문학은 불온한 것이며 대중의 검열자보다도 더욱 두려운 문화파괴적 검열자는 획일주의적인 문화당국"이라는 반론을 제기했다. 이어 김병걸·김양수 등이 이 논쟁에 가세하여 1970년대 초반까지 계속 이어졌으며, 참여와 순수에 대한 추상적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