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회의주의 회의론, 懷疑主義
    회의주의는 지식을 형성하는 온갖 분야에 걸쳐 전개되었다. 형이상학이나 과학 분야에서는 확실한 지식의 획득 여부가 문제시되었다. 의학에서는 질병의 원인과 치료법에 관한 확실한 지식의 획득이, 윤리학에서는 규범·관습의 수용과 가치 판단의 객관적 기준이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대표적인 회의주의의 형태는 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회의주의 (관련어 회의론) Skepticism, 懐疑主義
    확정성 사이드바 회의주의(懷疑主義, llang) 또는 회의론(懷疑論)은 크게 철학적 회의주의와 종교적·과학적 회의주의로 나뉜다. 회의주의는 인간이 이 세계에 관해서 확실한 지식(진리)을 갖는다는 가능성에 회의를 느끼는 이론 및 그러한 입장이다.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세계관 > 회의론·불가지론 등 > 회의론(회...
    도서 위키백과
  • 데이비드 흄 David Hume
    강조했다. 그가 주장한 요지는 다만 그 믿음들이 경험적 관찰에 의해 직접 얻어진 것도 또 이성에 의해 추론적으로 증명된 것도 아니라는 사실이다. 흄의 회의론이 부정한 것은 믿음 자체가 아니라 믿음의 확실성이었다. 〈도덕 원리 탐구〉에서 흄은 이전보다 세련된 형태의 도덕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도덕성이란 관련...
    출생 :
    1711. 5. 7(구력 4. 26),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사망 :
    1776. 8. 25, 에든버러
    국적 :
    스코틀랜드,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관념론의 근본문제와 대답
    주어지는 궁극적 실재는 무엇인가?"이다. 철학사를 보면 이 문제에 대한 극단적인 2가지 대답을 발견할 수 있다. 한 극단은 18세기 경험론자 데이비드 흄의 회의론이다. 그는 궁극적 실재가 어떤 고립된 지각자의 순간적인 감각경험이라고 주장하여 유아론의 관점을 취했다. 이와 반대되는 다른 한 극단은 17세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과학적 회의주의 Scientific skepticism, 科学的懐疑主義
    과학적 회의주의(科學的懷疑主義, scientific skepticism)는 실증적 연구와 재현성을 바탕으로 증거가 불충분한 주장의 진실성에 대해 과학적 방법으로 검증, 혹은 반증하려는 과학적 태도를 말한다. 과학적 회의주의는 실재에 대한 경험적 조사가 진리를 이끌어낸다고 보며, 과학적 방법은 이러한 목적에 가장 알맞다고...
    도서 위키백과
  • 마우트너 Fritz Mauthner
    인간 지식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철학적 회의론의 주창자이다. 독일 고전시의 패러디와 소설을 써서 그런 대로 유명해졌으나, 1876~1905년에는 대부분 〈베를리너 타게블라트 Berliner Tageblatt〉에 연극평론을 쓰며 지냈다. 철학자로서 그는 언어의 함축성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니체와 오토 루트비히의...
    출생 :
    1849. 11. 22, 보헤미아 호르지체
    사망 :
    1923. 6. 29, 독일 메르스부르크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불가지론 不可知論, agnosticism
    헉슬리와 그 동료들을 "수줍어하는 무신론자들"로 규정했는데, 이 규정은 오늘날에도 많은 불가지론자에게 딱 들어맞는 말이다. 한편 불가지론은 회의론과 다르다. 회의론은 경험을 넘어설 것을 요구하는 모든 지식에 도전하고, 따라서 과학의 성과와 가능성을 강조하는 실증주의 접근법과 양립할 수 없지만, 불가지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개연론 蓋然論, probabilism
    큰 견해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엄격개연론(嚴格蓋然論)이었다. BC 2세기에 번성한 플라톤 아카데메이아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인 카르네아데스는 지적 회의론(知的懷疑論)을 옹호한다는 이유로 동료 그리스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그들은 회의론에 따르면 인간은 어떤 행동도 할 수 없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마이몬 Salomon Ben Joshua, Salomon Maimon
    날카로운 회의론을 주장함으로써 독일의 위대한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로부터 자기 철학에 대한 매우 통찰력있는 비판가로 인정받았다. 어릴 때부터 히브리어에 통달하고 랍비의 가르침을 폭넓게 공부했으며, 12세기 스페인계 유대인 모세스 마이모니데스를 특별히 존경하여 그의 성을 본떠 자신의 필명을 마이몬이라고...
    출생 :
    1754경, 폴란드령 리투아니아 니에스비에시
    사망 :
    1800. 11. 22, 슐레지엔 니더지게르스도르프
    국적 :
    유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불가지론의 성격과 종류
    헉슬리와 그 동료들을 "수줍어하는 무신론자들"로 규정했는데, 이 규정은 오늘날에도 많은 불가지론자에게 딱 들어맞는 말이다. 한편 불가지론은 회의론과 다르다. 회의론은 경험을 넘어설 것을 요구하는 모든 지식에 도전하고, 따라서 과학의 성과와 가능성을 강조하는 실증주의 접근법과 양립할 수 없지만, 불가지론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육사외도 六師外道, Six heretics
    이들이 바로 어원적으로 ‘노력하는 사람’이란 의미를 지닌 사문(沙門, ⓢśramaṇa, ⓟsamaṇa)이다. 이들은 유물론, 쾌락주의, 숙명론, 도덕 부정론, 회의론, 고행주의와 같은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초기 불교의 문헌들에서는 이들이 62가지로 분류되어 ‘62견(見, ⓢdvāṣaṣṭi-dṛṣṭi, ⓟdvaṭṭhi-paṭipad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흄의 영향
    그의 적극적 영향이 19세기에 활동한 벤담의 공리주의와 존 스튜어트 밀에게서 확인된다. 흄은 원인과 결과의 필연적 연결을 의심함으로써 근대세계에 고대 회의론을 되살린 최초의 인물이었다. 비록 자신은 뉴턴을 존경했지만 흄의 인과성 비판은 근대 과학의 철학적 토대를 약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0세기 들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