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gyrus 회 뇌회, 回
    대뇌피질의 주름에 의해서 생기는 뇌 표면의 사행상(蛇行狀)의 융기. ( ⇨ cerebral hemisphere)
  • 『제10회 도 평의회 회의록』 第十回 道 評議會 會議錄
    [편찬/간행 경위] 1929년 3월 2일부터 8일까지 개최된 제10회 경상남도 평의회 회의록을 행정상 참고하기 위하여 정리한 것이다. 더불어 경상남도청의 자문 안건에 대한 도 평의원들의 몰이해를 지적하고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 [서지적 상황] 『제10회 도 평의회 회의록(第十回道評議會會議錄)』 편찬...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Song of the Sirens 回:Song of the Sirens,..
    of the Sirens ~Apple~〉이 2020년 10월 21일에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전 음반 《:LABYRINTH》 이후로 5개월 만에 대한민국에서 발매되는 음반으로, ‘() 시리즈’의 두 번째 음반이다. 이 시리즈는 큰 인기를 모은 기존의 콘셉트를 고수할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할지 고민하는 여자친구의 현실을 반영한 시리즈로...
    도서 위키백과
  • 기리 回基里
    에 懷陵으로 승격되어 이 마을을 회릉동이라고 불렀다가 능이 다시 묘로 바뀜에 따라 회묘동으로 불렀으며, ‘懷’자가 다시 음이 같은 ‘’자로 바뀌어 묘리로 되었다가 기리로 바뀌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동부 인창방(성외)에 속했으며, 갑오개혁(1894) 때에는 한성부 東署 인창방(성외) 동소문외계 ...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회기동 회기리(回基里), 回基洞
    경내로 옮김)가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연산군 10년(1504) 능으로 승격시켜 懷陵이라고 하였기 때문에 회릉동이라고 불렀다. 후에 다시 능이 묘로 됨과 함께 회묘동으로 불려졌으며, 회묘동의 ‘懷’자는 다시 음이 같은 ‘’자로 바뀌어 묘리로 되었다가 기리로 바뀌었다. 1946년 회기동이 되었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제1회 아카데미상 1st Academy Awards, 第1回アカデミー賞
    출처 필요 제1회 아카데미상은 1929년 5월 16일에 열린 아카데미상 첫 이다. 1926년 산타모니카 비티에서 루이스 B. 메이어 MGM 사장,연출자 프레드 니블로, 중역 연기자 콘라드 니겔, 프레드 비트슨 등이 모여 영화 전반의 기술 향상을 돕는 등 영화 산업의 이미지 고양을 위해 협회를 창설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도서 위키백과
  • 슈퍼볼 LVI 슈퍼볼 LVI, Super Bowl LVI
    대부분 1점포 마진 내에서 유지되었다. 로스엔젤레스는 전반전에서 13-10을 이끌었지만 벵골스는 3쿼터 첫 두 드라이브에서 10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네 번째 에서 20-16을 뒤진 램스는 2 분도 채 남지 않은 상태에서 선두를 되찾기 위해 터치 다운을 기록했고 신시내티의 마지막 다운 드라이브를 막았다. 램스의...
    도서 위키백과
  • 지리, 지형 관련 우리말, 강(江), 하(河), 천(川)는 어떻게 구분하나
    육지 위를 지나가며 흐르는 물'을 통틀어서 스트림(stream, 우리말로 흐름, 내, 시내, 개울, 강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이라고 할 뿐이다. 수(水), 탄(灘), () 한자문화권에서 물길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가장 큰 물길인 강(江)과 하(河)는 '삼수변(氵)'에 붙은 공(工)과 가(可)의 차이로 구분한다. '공'은...
    도서 우리말 백과사전 | 태그 국어
  • 회장체소설 回章體小說
    소설(章回小說)이라고도 한다. 내용이 복잡하고 분량이 많은 소설을 출간할 때는 그 내용을 몇 개의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 상례이다. 이때 각 부분을 가리켜 () 또는 장(章)이라 했고, 여기서 '회장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한 작품은 여러 장회로 나누어지고 분량이 긴 작품은 그 수가 수십 개에 달하기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브로카 Paul Broca
    연구했다. 1861년 그는 뇌의 왼쪽 전두엽(前頭葉)에 언어를 구사하는 데 관여하는 영역이 있음을 발견하여 이를 발표했는데, 그 이후 이 영역은 브로카()로 알려져 있다. 이로써 그는 국소적 뇌기능을 해부학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 그는 〈인류학잡지 Revue d'anthropologie〉를 창간했으며(1872...
    출생 :
    1824년 6월 28일, 프랑스 생트푸아라그랑드
    사망 :
    1880년 7월 9일,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사용했으나, 손아랫사람인 경우 특히 부모나 스승이 그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에는 본명을 사용했다고 한다. 〈논어〉에서 공자는 제자인 안연(顔淵)을 (), 자공(子貢)을 사(賜)라 불렀다. 자를 지을 때는 본인의 기호나 윗사람이 본인의 덕을 고려하여 붙였으며, 대개 장유의 차례를 따라 자를 지었다. 여자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190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동국 시계 혁명 문약한 국민은 그 시부터 문약하느니
    부터 강무하며, 문약(文弱)한 국민은 기시부터 문약하나니, 일국의 성쇠 치란(治亂)은 대저 기국시(其國詩)에서 가험(可驗)할지요, 우기국(又其國)의 문약을 ()하여 강무에 입(入)코자 할진대 불가 불기 문약한 국시부터 개량할지라. 이 글은 일정한 순서나 형식 없이 국한문으로 연재된다. 시가 국민 언어의 정화...
    시기 :
    1909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