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횃불싸움 홰싸움
    잡아맨다. 정월 대보름 아침부터 젊은이들이 여러 개의 를 만들어 달이 떠오를 무렵이 되면 달구경을 하기에 적당한 동산으로 오른다. 달이 뜨자마자 을 붙여들고 농악에 맞추어 빙빙 돌아가며 춤을 추면서 기세를 올린다. 건너 편의 산이나 언덕 위에도 다른 패들이 싸울 태세를 갖추고 있다가 신호가 울리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이 행사는 흔히 마을사람들 사이의 횃불싸움으로 번지는 일이 많았다. 이 역시 을 가지고 악귀를 쫓아버리고 새해 농사와 운수의 대통을 비는 행사였다. 거의...마을과 마을 사이에 벌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식구 수대로 싸리나 짚으로 를 만들고 두 마을 사람들이 약속된 장소에 모인 다음 농악을 울리며 흥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민속시리즈(4) 제기차기
    음력 정원 대보름날이면 농가에서는 를 만들어 아이와 어른이 모두 동산에 올라가 떠오르는 달을 맞아 절을 하고 그 해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빌며 을 붙이던 민속놀이였다. 또한, 이때면 우리나라 농부들은 그 해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다. 즉 떠오르는 달빛이 붉으면 그해가 가물고 달빛이 희면...
    발행일 :
    1967.12.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4원
    디자인 :
    제기차기
    우표번호 :
    574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시리즈(4) 활쏘기
    음력 정원 대보름날이면 농가에서는 를 만들어 아이와 어른이 모두 동산에 올라가 떠오르는 달을 맞아 절을 하고 그 해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빌며 을 붙이던 민속놀이였다. 또한, 이때면 우리나라 농부들은 그 해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다. 즉 떠오르는 달빛이 붉으면 그해가 가물고 달빛이 희면...
    발행일 :
    1967.12.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7원
    디자인 :
    활쏘기
    우표번호 :
    576
    인면 :
    23×33
    천공 :
    13
    전지구성 :
    10×5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민속시리즈(4) 달맞이
    음력 정원 대보름날이면 농가에서는 를 만들어 아이와 어른이 모두 동산에 올라가 떠오르는 달을 맞아 절을 하고 그 해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빌며 을 붙이던 민속놀이였다. 또한, 이때면 우리나라 농부들은 그 해 농사의 길흉을 점치는 풍습이 있다. 즉 떠오르는 달빛이 붉으면 그해가 가물고 달빛이 희면...
    발행일 :
    1967.12.15
    발행량 :
    1000000
    종수 :
    3
    액면가격 :
    5원
    디자인 :
    달맞이
    우표번호 :
    575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10
    용지 :
    섬유들이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색
    디자이너 :
    강춘환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한식 냉절, 寒食
    씨를 뿌리기도 한다. 조선시대 내병조에서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구멍을 뚫고 삼으로 꼰 줄을 꿰어 양쪽에서 톱질하듯이 잡아당겨 을 만들어 임금께 올린다. 임금은 그 에 붙여 관아와 대신들의 집에 나누어주었는데, 이는 불의 주력을 이용하기 위해 을 소중히 여기는 숭배사상의 전승이기도 하다. 수령...
    분류 :
    명절, 비공휴일
    날짜 :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
  • 횃불싸움 거화희
    이강아지야 덤벼라” 하면서 서로 놀리고 욕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얼마 동안 욕설을 주고받다가 농악대가 악기를 울리면 이마에 수건을 동여맨 젊은이들은 에다 을 붙여들고 “자 오너라!” 하고 함성을 지르고 횃불을 휘두르며 나가 싸운다. 그러면 상대편에서도 횃불을 들고 “자 오너라!” 하고 함성을...
    성격 :
    민속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정월대보름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승주 달집태우기 昇州 달집태우기
    통나무와 대나무 등을 원추형으로 세우고 그 안에 생솔가지 · 나뭇가지 · 대나무 등을 쌓아 만든다. 보름달이 떠오르면 일제히 함성을 지르면서 에다 을 붙여 달집에 을 지른다. 달집이 타오르기 시작하면 그 주위를 돌면서 풍물에 맞추어 <덜이덜롱>이라고 하는 민요를 부르며 논다. 또 줄을 메고 달집 주위...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달맞이
    솟는 것을 남보다 먼저 보는 것이 좋고 길하다 하여 다투어 달맞이를 하기 위하여 뒷동산에 올라간다. 이날은 마침 쥐불놀이와 횃불싸움을 하기 위해서 에다 을 붙이고 놀며, 횃불로 어두운 길을 밝혀가면서 산으로 올라가서 달맞이를 한다. 동쪽 하늘에서 크고 둥근 달이 솟아오르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제각기 소원...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달맞이
    날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달맞이라 하고,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은 길하다고 하였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는 농가 사람들이 을 붙여 무리를 지어 동쪽으로 달린다고 하였다. 달맞이 풍속은 신라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북사(北史)』 열전 신라조에 “매달 초하루에 서로...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강서구
  • 시루떡 제사와 잔치 때 빠지지 않는
    하는 부부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부부는 떡을 하러 나왓다. 남편은 절구에 쿵쿵 빠앗다. 그러나 체가 없다. 동내로 돌아다니며 빌려 오느라고 안해는 다리에 풍이 낫다. 떡을 찌다가 얼이 빠저서 멍허니 앉엇는 남편이 밉쌀스럽다. …… 닭이 두 를 치고 나서야 떡은 되엇다. 안해는 시루를 이고 남편은 겨드랑에...
  • 한국 한자음 독음 목록
    붕 비 빈 빙 사 삭 산 살 삼 삽 상 새 색 생 서 석 선 설 섬 섭 성 세 소 속 손 솔 송 솨-4 솰-7 쇄 쇠 수 숙 순 술 숭 쉬 슬 습 승 시 식 신 실 심 십 싱-1 쌍 씨 아 악 안 알 암 압 앙 애 액 앵 야 약 양 어 억 언 얼 엄 업 에 여 역 연 열 염 엽 영 예 오 옥 온 올 옹 와 완 왈 왕 왜 외 왹-1 요 욕 용 우 욱...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