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쭌셴 (동의어 황준헌) 黃遵憲, Huang Tsunhsien중국의 시인·정치인. (병). Huang Zunxian. (웨). Huang Tsunhsien. 문학과 사회 개혁에 앞장섰다. 외교관시절에 일본·미국·영국을 다니면서 견문을 넓히고 시와 평론을 위한 자료를 모았다. 그러나 고향인 가응에서 일반인들의 대화를 주의 깊게 듣고 새로운 문체를 창조하여 그것을 시에 재현함으로써 주목을 받...
- 출생 :
- 1848, 중국 광둥 성[廣東省] 가응(嘉應 : 지금의 메이 현[梅縣])
- 사망 :
- 1905. 3. 28, 가응
- 국적 :
- 중국
-
Huang Zunxian 황준헌, 黄遵憲Huang Zunxian (May 29, 1848March 28, 1905), courtesy name Gongdu (公度), was a Chinese official, scholar, and writer, active during the late Qing dynasty. As a poet, he published more than a hundred poems. He was born in Jiayingzhou, now Mei County, Guangdong, and died 57 years later in the same ...출처 영어 위키백과
-
조선책략 사의조선책략, 朝鮮策略策略)』. 1책. 편찬/발간 경위 1880년(고종 17)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 초명은 宏集)에 의해서 당시 청국 주일공사관 참찬관(參贊官)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을 기증받아 귀국해 고종(高宗)에게 복명과 동시에 바쳤다. 내용 이 책략의 내용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러시아에 대한 방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황준헌
- 창작/발표시기 :
- 1880년(고종 17) 공개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만인소 萬人疏1881년(고종 18)에 척사운동의 일환으로 올린 연명소이다. 전년도 여름에 제2차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 다녀온 뒤 주일청국공사관 참찬관 황준헌(黃遵憲)이 지은 『조선책략(朝鮮策略)』을 왕에게 진헌하였다. 그 외 1868년(고종 5), 1875년(고종 12), 1884년(고종 21)에도 만인소가 있었다. 그것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정세를 파악하기 위해 1880년 5월 21일부터 8월 28일까지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되었던 김홍집의 복명서(復命書) 및 미국과의 통상을 권유하는 일본의 문서,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 朝鮮策略≫ 등을 수록한 것이다. 여기에 수록된 ≪조선책략≫은 주일청국공사관 관리 황준헌이 러시아 세력의 남하를 막기 위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김홍집
- 창작/발표시기 :
- 1880년(고종 17)
- 성격 :
- 견문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이만손 가술(家述), 李晩孫돈와(遯窩). 경상북도 예안 출신. 이황(李滉)의 후손이며, 이휘병(李彙炳)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0년 수신사(修信使) 김홍집(金弘集)이 가져온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국왕이 받아들이고 대신들이 이에 동조해, 조야(朝野)의 비판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개혁정책이 추진되고 외국과의...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11년(순조 11)
- 사망 :
- 1891년(고종 28)
- 유형 :
- 인물
- 직업 :
- 유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진성(眞城)
-
수신사 修信使통해 김홍집에게 통상조약의 체결을 요청한 것도 이때의 일이다. 김홍집은 동경 체류중, 청국공관에서 주일 청국공사 하여장(何如璋), 참찬관(參贊官) 황준헌(黃遵憲)과 여러 차례 필담(筆談)을 통해 조선이 모르는 국제 정세에 관해 여러 가지 중요한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특히, 황준헌은 청국의 구미통(歐美通...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직, 외교사절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76년(제1차), 1880년(제2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강위 중무(仲武), 姜瑋수행하였다. 이 여행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개화파 인사들이 조직한 흥아회(興亞會)에 참석하여 교유를 맺었다. 특히 중국대사관의 참찬으로 파견되어 있던 황준헌(黃遵憲)으로부터 깊은 감명을 받아 귀국 후에 『조선책략(朝鮮策略)』으로 알려져 있는 황준헌의 연미거아책(聯美拒俄策)을 적극 옹호하였다. 2년 뒤인...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20년(순조 20)
- 사망 :
- 1884년(고종 21)
- 경력 :
- 일본수신사 서기, 중국대사관 참찬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개화운동가
- 대표작 :
- 경위합벽, 손무자주, 담초, 동문자모분해, 강위전집(영인본)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진양(晉陽: 지금의 경상남도 진주시)
-
조로수호통상조약 朝露修好通商條約왔다. 그러나 끝내 저지할 수는 없었다. 1870년대 말에 이리(伊犁 : 터키스탄)분쟁으로 인해 청 · 러관계는 극도로 악화되었다. 이홍장은 주일외교관 황준헌(黃遵憲)을 시켜 《조선책략 朝鮮策略》을 써서 김홍집(金弘集)을 통해 조선정부에 전달하게 하였다. 황준헌은 이 소책자에서 조선은 ‘친청국 결일본 연미국...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