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충혜왕 고려 28대왕, 忠惠王
    마구 거두어들여 백성의 피해 또한 막심했다. 또 마구간을 지을 때에는 민가 백여 채를 헐었고 부잣집의 예쁜 여종들도 빼앗아 자신의 시녀로 삼았다. 충혜왕은 황음무도할 뿐만 아니라 이재에도 밝아 재산을 많이 축적하고 각종 잡세를 만들어 세금도 많이 징수했다. 충혜왕의 황음무도와 폭정이 이같이 심해지자...
  • 고려 27대 왕, 충숙왕 만, 忠肅王
    심양왕에게 선위(禪位)할 계획을 세웠으나 한종유(韓宗愈) 등의 반대로 취소했다. 1330년 태자 정(禎:충혜왕)에게 선위하고 원나라로 갔으나, 충혜왕이 황음무도(荒淫無道)하다는 이유로 원나라에 의해 폐위되자 1332년 복위했다. 충숙왕은 원나라의 무리한 세공(歲貢)을 삭감하게 하고 공녀(貢女)·환자(宦者)의 선발...
    출생 :
    1294(충렬왕 20)
    사망 :
    1339(충숙왕 복위 8)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
    시호 :
    의효대왕(懿孝大王)
    능묘 :
    의릉(毅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고려, 왕의 타락과 왕권의 추락이 극에 달하다
    있었다. 1330년 왕위를 넘겨받은 충혜왕은 방탕한 성품으로 술과 여자를 즐기고 사냥을 일삼으며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이를 보고받은 원나라는 1332년 ‘황음무도(荒淫無道)’하다는 이유로 충혜왕을 폐위했다. 왕위에 복귀한 충숙왕은 원나라에 바치는 공물을 줄이고 공녀(貢女)의 선발을 중지하도록 원나라에 요청...
    시대 :
    1331년경
    국가/대륙 :
    한국
  • 서주연의 西周演義
    는 주나라를 돕는다. 강자아가 군사를 거느리고 상나라를 치자, 천교와 절교 두 교주는 주선진(誅仙陣), 만선진(萬仙陣)에서 대전을 벌이고 절교는 패한다. 황음무도를 일삼던 주왕은 적성루에서 분신자살하고, 달기는 처형당한다. 무왕은 72제후를 분봉(分封)하고 강자아를 제후에 봉한다. 의의와 평가 『서주연의』는...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미상
    성격 :
    번역소설
    유형 :
    작품
    권수/책수 :
    25권 25책
    분야 :
    문학/고전산문
    소장/전승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제 양공 Duke Xiang of Qi, 襄公 (斉)
    전 698년)에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 국력이 점차 강대해져, 위나라, 노나라, 정나라를 공벌했고, 8대 전의 원수국 기나라를 멸망시켰다. 하지만 양공은 황음무도하여, 무고한 자를 죽이고, 자신의 여동생이자 노 환공의 부인인 문강과 통간하였으며 환공을 모살하였으므로 인심을 크게 잃었다. 기원전 686년, 양공은...
    도서 위키백과
  • 왕연희 Wang Yanxi, 王延羲
    권력을 장악하여, 국왕을 자칭하고, 이름을 왕희로 개명하였다. 즉위 한 왕연희는 후진에게 왕으로 책봉 받았다. 즉위 후에 왕연희는 호화스러운 사치와 황음무도하게 지네고, 친척들을 의심을 많이 했다. 동생 건주자사 왕연정은 간언을 하였지만, 간언을 한 계기로 양자의 대립이 깊어져, 940년(영륭 2년) 왕연희는...
    도서 위키백과
  • 유분 Liu Bin (Southern Han), 劉玢
    中天八國王)을 칭하고 영락(永樂)으로 개원하였으며, 한순간에 남한의 동쪽 주현들 다수가 장우현의 공격을 받아 함락되었다. 유분은 교오하고 사치스러웠으며 황음무도했다. 유엄의 정령(停靈) 때도 거리낌 없이 음악을 연주하고 술을 마셨으며, 밤늦은 때 검은색 상복을 입고 외출하여 창기와 함께 하였으며, 또한...
    도서 위키백과
  • 유자업 Liu Ziye, 前廃帝 (南朝宋)
    씌어 독살시켰다. 어느 날 꿈에 왕태후가 나타나 저주하기를 "너는 어질지도 못하고 불효를 저지르는 놈으로, 황제의 자격이 없다. 네 아비 또한 난폭하고 황음무도하여 하늘과 백성들로부터 원망을 샀고 너 또한 그러하다. 앞으로는 문제이라고 불렀고, 특히 유욱을 돼지를 대하는 것처럼 심하게 모욕하였으며 항상...
    도서 위키백과
  • 호증 胡曾
    기다렸던 것을 읊었고, 동해(東海)는 진시황이 불로불사약을 찾아 서복 등을 동쪽으로 보냈다는 고사를 읊었으며, 고소대(姑蘇臺)는 오왕 부차가 그 자신의 황음무도함으로 나라를 잃게 된 것을 읊었다. 호증의 영사시는 모두 3권(《당재자전》에는 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부총간삼편》(四部叢刊三編)에는 호증...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