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사 畵史, Hua shih
    중국화(中國畵)에 대한 감상 및 비평이 담긴 저작. (병). Hua shi. (웨). Hua shih.|1권. 〈해악화사 海岳畵史〉라고도 한다. 북송의 미불(米芾 : 1051~1107)이 지었다. 〈사고전서총목제요 四庫全書總目題要〉에는 이 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사가들은 미불이 서화와 그림에 능하여 스스로 일가를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이본으로 본 한문 소설 베스트 10, 화사 花史
    꽃의 정치학, 〈화사(花史)〉는 인간사를 꽃의 역사로 바꾼 소설로, 조선 중기에 백호 임제가 지은 의인체 한문 소설이다. 43편이나 되는 이본 중 국문 필사본은 한 권도 없고 모두 한문 필사본이다. 작자가 아직도 남성중(南聖重), 혹은 노긍(盧兢)이라 되어 있는 책도 있으나 임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는 것이 학계의 ...
  • 화사 花史
    임제(林悌:1549~87)가 지은 의인체 한문소설.|1책. 필사본. 사본에 따라서 작자가 남성중·노긍 등으로 되어 있다. 맨 뒤에 붙인 총괄적인 논의에서 꽃은 사람에 비해 재주가 다양하고 칭찬할 점이 많으므로 꽃나라의 역사를 다룬다고 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한 해 동안 꽃들이 피고 지는 과정을 왕조교체로 보아, 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 화사 畵史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된 종8품 잡직.|내용 정원은 1인이다. 화원 전문직이었다. 선화(善畵)·선회(善繪)·회사(繪史) 등 도화서에 배정된 다섯 자리의 체아직 중 하나이다. 이러한 체아직에는 초기에 20인, 후기에 30인의 도화서 화원들이 3개월마다 돌아가면서 임명되었다. 이들 화원들은 궁중에서 왕의 초...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화승 금어, 畵僧
    불화를 전문적으로 그리거나 회화 작업에 종사하는 승려. 금어·화사·화원·화공·양공·편수·비수·불모|개설 화승들은 사찰에서 불화(佛畵)를 그리거나 일반회화 화가로 활동했다. 승려 출신의 화가로는 중국 송대(宋代)의 양해(梁楷)나 목계(牧谿), 청대(淸代)의 팔대산인(八大山人)이나 홍인(弘仁)이 그 대표적...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화사 花史
    조선 중기, 임제(林悌)가 꽃들을 의인화해 지은 의인체 한문소설.|내용 조선 중기에 임제(林悌)가 지은 의인체 한문소설. 1책. 필사본. 작자가 남성중(南聖重)이나 노긍(盧兢)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임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이 작품은 1958년 중간된 『백호집(白湖集)』 별책 부록 『남명소승(南溟小乘)』에 수...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금어 불모, 金魚
    불화를 그리는 승려. 이들은 사찰의 모든 불화, 탱화, 단청을 제작하는 한편 국가에서 시행하는 모든 공사에도 거의 빠짐없이 동원되었다.|화승이라고도 한다. 실례로 수원의 화성 축조 때 총46명의 화원이 동원되었는데, 이중 40여 명이 화승이었다. 이로 보아 이들의 숫자는 도화서의 화원보다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화사 Hwasa, ファサ
    安惠眞, 1995년 7월 23일~)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걸 그룹 마마무의 멤버이며, 보컬과 래퍼를 맡고 있다. 마마무의 멤버 휘인과는 전주성심여자중학교, 원광정보예술고등학교 동창이다. 데뷔 전부터 실력을 인정받아 여러 뮤지션들과 음악 작업을 활발하게 하고 있으며, 음색, 강약 조절, 다양한 창법 구사, 디테일한 ...
    도서 위키백과
  • 화사 畵史
    조선시대 도화서에 소속된 관직의 하나.|종8품 잡직이다. 화원 중에서 차정하며 정원은 1명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filament 화사 필라멘트, 花絲
    수술의 일부분으로 꽃밥을 지지하는 기관. 일반적으로는 실모양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원통모양이 되는 것도 있다.
  • 화원 (동의어 화사) 畵員
    국가적 회사(繪事)를 전담했던 잡직(雜職)의 하급기술직 관원화가.|도화서(圖畵署)를 비롯하여 지방 관아에 소속되었는데, 화사(畵師:畵史)·화공(畵工)·화수(畵手)라고도 했다. 일반적으로 그림 그리는 일을 업(業)으로 삼았던 직업화가를 지칭하기도 한다. 도화서의 정원은 조선 전기에는 20명, 후기에는 30명이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금어 (동의어 화사) 金魚
    단청이나 불화를 그리는 일에 종사하는 승려. 화사·용면·경화·불모|개설 금어는 일반적으로 화승(畵僧)에 대한 호칭으로 대개 불화의 화기(畵記: 불화의 하단에 해당불화의 제작연대·봉안장소·제작목적·시주자·제작자 명단 등을 적은 것)에서 이 용어를 볼 수 있다. 불화 화승에 대한 호칭은 여러 가지가 있는...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4건

화사
화사하다
화사집
화사집
화사집
화사해진 채만식문학관
〈화사집〉의 안겉장
화사집 판권지, 초판(특제본)
화사집 속표지, 초판(특제본)
화사집 표지, 초판(특제본)
화사집 삽화, 초판(특제본)
화사집 면지, 초판(특제본)
원초성과 관능성이 녹아든 서정주의 첫 시집 〈화사집〉
인물 사진에 빨강 필터를 적용해 밝고 화사한 느낌으로 보정한 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