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본으로 본 한문 소설 베스트 10, 화사 花史꽃의 정치학, 〈화사(花史)〉는 인간사를 꽃의 역사로 바꾼 소설로, 조선 중기에 백호 임제가 지은 의인체 한문 소설이다. 43편이나 되는 이본 중 국문 필사본은 한 권도 없고 모두 한문 필사본이다. 작자가 아직도 남성중(南聖重), 혹은 노긍(盧兢)이라 되어 있는 책도 있으나 임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는 것이 학계의 ...
-
화사 畵史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된 종8품 잡직. 내용 정원은 1인이다. 화원 전문직이었다. 선화(善畵)·선회(善繪)·회사(繪史) 등 도화서에 배정된 다섯 자리의 체아직 중 하나이다. 이러한 체아직에는 초기에 20인, 후기에 30인의 도화서 화원들이 3개월마다 돌아가면서 임명되었다. 이들 화원들은 궁중에서 왕의 초...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화승 금어, 畵僧불화를 전문적으로 그리거나 회화 작업에 종사하는 승려. 금어·화사·화원·화공·양공·편수·비수·불모 개설 화승들은 사찰에서 불화(佛畵)를 그리거나 일반회화 화가로 활동했다. 승려 출신의 화가로는 중국 송대(宋代)의 양해(梁楷)나 목계(牧谿), 청대(淸代)의 팔대산인(八大山人)이나 홍인(弘仁)이 그 대표적...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화사 花史조선 중기, 임제(林悌)가 꽃들을 의인화해 지은 의인체 한문소설. 내용 조선 중기에 임제(林悌)가 지은 의인체 한문소설. 1책. 필사본. 작자가 남성중(南聖重)이나 노긍(盧兢)이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임제의 작품임이 확실하다. 이 작품은 1958년 중간된 『백호집(白湖集)』 별책 부록 『남명소승(南溟小乘)』에 수...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금어 (동의어 화사) 金魚단청이나 불화를 그리는 일에 종사하는 승려. 화사·용면·경화·불모 개설 금어는 일반적으로 화승(畵僧)에 대한 호칭으로 대개 불화의 화기(畵記: 불화의 하단에 해당불화의 제작연대·봉안장소·제작목적·시주자·제작자 명단 등을 적은 것)에서 이 용어를 볼 수 있다. 불화 화승에 대한 호칭은 여러 가지가 있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