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홍경 洪慶고려전기 당나라에서 대장경 1부를 배에 싣고 온 승려. 내용 928년(태조 11)에 후당(後唐)으로부터 대장경(大藏經) 1부를 얻어 배에 싣고 예성강(禮成江) 하구에 이르자 태조가 친히 마중 나와 환영하고, 대장경은 제석원(帝釋院)에 모셨다고 한다. 『삼국유사』에는 928년에 묵화상(默和尙)이 당나라에 가서 대장경을...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문조비 신정왕후 가상존호 옥책 文祖妃 神貞王后 加上尊號 玉冊유물설명 고종 24년(1887) 문조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에게 ‘홍경(洪慶)’이라는 존호(尊號)를 가상(加上)하면서 제작한 옥책이다. 익종이 세자로 대리청정하던 해의 60주년을 기념하고 신정왕후가 80세로 장수하고 있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존호를 올렸다. 옥책문은 신정왕후가 어머니의 도리와 아버지의...
- 분류 :
- 유물 > 어책
- 크기 :
- 세로: 26.0cm, 길이: 170.2cm, 두께: 1.0cm, 폭: 16.3cm, 편폭(片幅): 2.2cm
- 재질 :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제석도량 帝釋道場호법신중이다. 제석도량은 제석을 신앙의 대상으로 한 신앙의 한 형태로서, 제석신앙의 의식 행사를 총칭하여 제석도량이라 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승려 홍경(洪慶)이 대장경의 일부를 중국에서 가져왔을 때 이를 제석원(帝釋院)에 두어 제석도량을 열었다고 하며, 고려시대에는 궁중에서 자주 제석도량이...
- 성격 :
- 종교의례, 불교의식, 법회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홍 紅궁전(宮殿), 관아(官衙) 등의 정면 입구에 둥근 기둥 2개를 세우고, 지붕이 없이 위쪽에 붉은 살을 세로로 박은 문(門). 곧 홍살문 또는 홍전문(紅箭門). 홍진(紅塵) : 번화(繁華)한 곳에 일어나는 티끌이란 뜻에서 세상의 번거로운 일을 이른다. 속세(俗世). 홍경(紅鏡) : 붉은 거울이란 뜻으로, ‘아침 해’를 이르는 말.
- 유형 :
- 색깔에 관련된 한자
-
보요 普耀공덕까지를 빌었더니 바람이 자고 물결이 평온해졌다. 귀국하여 대장경을 안치할 곳을 찾아 두루 다니다가 산 위에 상서로운 구름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제자 홍경(弘慶)과 함께 해룡왕사를 창건하였다. 이 절에는 용왕당(龍王堂)이 있어 영험이 많았는데, 용왕이 대장경을 따라와서 머무른 것이라고 한다. 또한, 보요의...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홍원철 洪元哲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조부는 찬성사(贊成事) 홍경(洪敬)이고, 아버지는 정윤(正尹) 홍승서(洪承緖)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51년(공민왕 즉위년) 밀직으로서 국새를 가지고 온 원나라 단사관(斷事官) 완자불화(完者不花)의 귀국을 전송하고, 곧바로 평안도순문사에 서용되었다. 이듬해 왕이 연저(燕邸: 燕京의 私邸...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당성부원군 찬성사(唐城府院君贊成事)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
홍영통 안민(安愍), 洪永通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첨의중찬(僉議中贊) 홍자번(洪子藩)의 증손으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홍경(洪敬)의 손자이며, 선공부령(繕工副令) 증문하시중 홍승연(洪承演)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공민왕 때 음보(蔭補)로 관계에 나와 여러 벼슬을 지내고 판소부시사(判小府寺事)·안동부사를 거쳐 판전객시사...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395년(태조 4)
- 경력 :
- 영삼사사(領三司事)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
홍붕 천유(天游), 洪鵬南陽), 자는 천유(天游), 호는 경재(敬齋)이다. 아버지는 주부(主薄)를 지낸 홍거방(洪巨舫)이다. 부인은 전주이씨(全州李氏)이다. 세 명의 아들이 있는데, 홍경(洪慶) · 홍연경(洪衍慶) · 홍치경(洪致慶)이다. 홍경은 생원(生員)이 되었고, 홍연경은 참봉(參奉)을 지냈다. 주요 활동 현재 남아 있는 기록을 통해 확인...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홍승서 洪承緖개설 본관은 남양(南陽). 첨의중찬(僉議中贊) 홍자번(洪子藩)의 손자로,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홍경(洪敬)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과거에 급제, 1307년(충렬왕 33) 우부승지가 되고 정윤(正尹)에 이르렀다. 용의(容儀)가 아름다웠으며, 일찍이 신육재(辛育才)와 더불어 토지문제로 다투다가 신육재를 때려 죽게...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정윤(正尹)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
임신평란록 평서록(平西錄), 壬申平亂錄가하였다. 간혹 기사문 중에 사용된 고법전(古法典) 용어 밑에다 같은 한글로 협주를 달기도 하였다. 권1의 머리기사에서는 “상지십일년 신미의 관셔 도젹 홍경 등이 여러 흉년을 인여 도당을 소취여 십이월 십팔일의 긔병여 쳥북의 반여 두길노 니러나 가산군슈 뎡시 쥭이고 경의 곽산군슈 니영식을...
- 시대 :
- 조선
- 성격 :
- 실기, 한글일기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정주승전가 定州勝戰歌로 시작하여, 본사에 들어가서 내란의 지명과 두목들이 등장한다. “난리나 난리나/가산정쥬 난리나/청천강수 나린물의/다복동(多福洞)이 잇단말가/홍경 이희져(李禧著)/적진중의 괴수되고/우군칙(禹君則)김창시(金昌始) 적진중의 모로다…….”결사(結詞)는 한양으로 개선하는 대목으로 시작해서 성주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