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규(圭), 笏
    연원 ()은 임금 앞에서 아뢸 말을 잊지 않게 적거나 왕의 명령이나 뜻을 기록하기 위해 들던 것에서 유래되어 의례 용품이 된 것이다. 『주례(周禮)』의 기록으로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하늘과 땅, 산천과 바다 등에 제사를 지낼 때 천자(天子) 이하 관원들이 신분에 따라 형태나 재료, 색에 차등을 둔 을 사용...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笏, sceptre
    고대의 그리스인·로마인·게르만인은 다양한 형태의 을 사용했다. 긴 지팡이를 바쿨루스, 짧은 지팡이를 스켑트룸이라 불렀는데, 각각은 서로 다른 의미를 표상했다. 은 지상의 통치자뿐만이 아니라 하느님에게도 속했으며, 노인·사자·목동·주교 등이 사용하는 여러 형태의 봉들도 모두 에서 유래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처음에는 왕의 교명이나 자신의 계사를 그 위에 적어 비망으로 삼기 위해 쓰였으나 후세에는 단지 의례적인 도구가 되었다. 왕은 옥으로 만든 , 즉 규를 잡고 대부나 사는 을 들었다. 신라가 당제의 관복을 입은 뒤로부터 한말에 이르기까지 쓰였다. 길이 약 60㎝, 너비 약 6㎝의 장판이다. 조선시대에는 조복·제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관위(官位)에 있는 자가 관복을 하였을 때 손에 드는 수판(手板)으로 상아 또는 나무로 만들며 길이는 1척이다. 조선 시대의 은 약간 굽은 것으로 33cm의 장판(長板)에 위너비는 5cm, 아래너비는 3.5cm 정도이며 손 부분은 비단으로 쌌다. 관리할 때는 홀대(笏袋)에 넣는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물품 , 의류
  • 홀판 Hu (ritual baton), 笏
    () 또는 홀판(笏板)은 고대 중국에서 대신이 입조할 때 조복에 갖추어 손에 하나씩 갖추어 들었던 조금 휘어진 형태의 판자이다. 이후 한국, 베트남 및 일본과 류큐로 전래되었다. 수판(手板), 조판(朝板), 혹은 옥판(玉板)으로도 불렸다. 의 재질에 대해 《예기》(禮記) 옥조(玉藻)에는 천자(天子)는 구옥(球玉...
    도서 위키백과
  • 르엉니으홋 梁汝笏
    인물 정보 르엉니으홋은 제4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시기의 정치인이다. 르엉니으홋은 원래 호 왕조의 장수였다. 1407년, 명나라가 호 왕조를 무너뜨리고 베트남을 병탄한 뒤 르엉니으홋은 청화지부(淸化知府)로 임명되었다. 1416년, 도주이쭝과 함께 명나라에 의해 교지포정사사(交趾布政使司)의 참정(參政)으로 임명...
    도서 위키백과
  • 관복 官服
    따라 자색과 비색(緋色) 그리고 녹색의 옷을 입고, 대(帶)의 장식 재료에 따라 차등을 두었다. 여기에 금어(金魚)나 은어(銀魚)를 차기도 했으며, 손에는 ()을 들었고, 신은 흑화(黑靴)를 신었다. 원의 침략 이후에는 고려의 왕실과 관리들이 몽골식 복장을 따르는 일도 적지 않았다. 몽골 침입 초기에 갖고 있던...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조복 朝服
    衣)·적초상(赤綃裳)에 폐슬(蔽膝)을 늘이고 백초중단(白綃中單)을 받쳐 입으며, 운학금환수(雲鶴金環綬)를 늘인다. 대(帶)는 서대(犀帶)를 맨다. ()은 상아(象牙)을 사용한다. 패옥(佩玉)은 번청옥(燔靑玉)을 패용한다. 말(襪)은 백포말(白布襪)을 신는다. 혜(鞋)는 흑피혜(黑皮鞋)를 신는다. ② 2품 : 관은...
    성격 :
    의복
    유형 :
    물품
    용도 :
    관복
    분야 :
    생활/의생활
  • 공복 公服
    上奏)할 일이 있어 조현(朝見)할 때, 사은 또는 사퇴관계로 배알할 때 착용하였다. 이에는 복두(幞頭)를 쓰고, 포(袍)에 대(帶)를 띠며, 흑화(黑靴)를 신고, ()을 들었다. 우리 나라에서 공복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한 것은 백제로 260년(고이왕 27)에 관식(冠飾)과 대색(帶色)으로 품관복색을 정하여 상하의 등위를...
    성격 :
    복식, 관복
    유형 :
    물품
    용도 :
    관복, 의례
    분야 :
    생활/의생활
  • 홀기 笏記
    내용 ()은 중국에서는 이미 주대(周代)에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처음에는 문관이 모양을 꾸미는 장식품의 일종으로, 임금에게 보고할 사항이나 건의할 사항을 간단히 적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비망하는 것이었다. 신분에 따라 규격과 색채와 질이 정해져서 중국에서는 옥·상아·서각(犀角) 등이 사용되었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병와 이형상 유품 甁窩 李衡祥 遺品
    유품이 있는데, 그 중 일부가 '이형상 수고본'이라는 명칭으로 197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유품의 종류는 인장(印章) 23과(顆), 호패 9점, 거문고 1점, () 1점, 옥피리 1점, 칼 2점, 표주박 2점, 벼루 1점, 추구통(推句筒) 1점, 화살 9점, 갓끈 5점, 관자(貫子) 4점 등이다. 이 가운데 종중 인장 26종은 이형상의 5...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문수사지장보살도 文殊寺地藏菩薩圖
    도식화되었다. 본존 좌우로는 도명존자(합장)와 무독귀왕(을 들었음) 및 시왕 등이 시립하고 있다. 이중 시왕은 붉은색 또는 녹색의 옷을 입고 면류관에 ()을 든 일반적인 모습이다. 왼쪽의 황색옷을 입고 면류관을 쓴 왕은 제5 염라대왕(閻羅大王)을 표현한 것 같다. 그러나 이 왕 외에 좌우 각 한 왕씩 면류관을...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774년(영조 50)
    성격 :
    불교 회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158㎝, 가로 132㎝
    재질 :
    비단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