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식논리학 形式論理學, formal logic
    판단과 추리의 추상적 구조(형식·법칙)를 내용과 분리하여 연구하는 학문.|형식논리학은 선험적인 연구이며, 이런 점에서 관찰을 통해 자료를 얻는 자연과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의 연구와 대조적이다(→ 선험적 지식). 형식논리학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은 순수수학이다. 실제로 많은 논리학자와 수학자들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형식논리학 (관련어 형식 논리학) Formal logic, 形式論理学
    형식논리학(形式論理學)은 사고(판단·개념)의 참과 거짓을 확인하기 위해 추론의 형식상 타당성 성립 조건을 연구하는 논리학이다. 형식논리학은 이 추론의 타당성에 관한 형식적 근거를 문제로 삼는다. 사고의 의미, 즉 질(質)·내포(內包)와 관계하는 영역이 반영하는 그 형식, 즉 양(量)·외연(外延)을 고려하기 때...
    도서 위키백과
  • 이성 (관련어 형식논리학) 理性, reason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동물과 구별짓는 것이 이성이다. 데카르트는 모든 사람들이 태어날 때부터 평등하게 갖고 있는 이성능력을 '양식' 또는 '자연의 빛'으로 표현했다. 칸트에 따르면 본능이나 감성적 욕망에 기초한 행동에 반해서 의무에 의해 결정되는 행위는 이성적이다. 사람에게는 자율적으로 자기의 의지를 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형식논리학 접근방법
    형식논리학에 접근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은 이른바 '연역' 논증의 타당성 개념을 통하는 길일 것이다. 연역 논증이란 어떤 명제(결론)가 다른 하나 이상의 명제(전제)로부터 엄격한 필연성을 통해 도출된다고 주장하는 논증, 즉 전제를 긍정하면서 결론을 부정한다면 자기모순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는 논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결정문제 結定問題, decision problem
    그 방법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결정된 유한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것은 특정한 기호논리학, 논리미적분학 또는 형식적 수리계(formal mathematical system)에서 확립된 구성 규칙에 따라 생성된, 즉 어떤 주어진 잘 짜여진 공식(well-formed formula)이 이 체계의 정리로 증명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찾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수학
  • 메타 논리학 metalogic
    개요 자연언어에 대한 형식적 분석도 메타 논리학과 관계는 있지만 거기에 속하지는 않는다. 구문론과 의미론 한 형식언어에는 보통 일련의 형성 규칙이 필요하다. 이 규칙에는 ① 기본기호의 목록, ② 단순(원자) 문장을 형성하는 이 기호들의 특정한 결합, ③ 논리적 연결어에 의해 형성된 문장들의 결합도 문장임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수리논리학 數理論理學, mathematical logic
    대체로 '논리학'이라는 용어는 형식논리학만을 나타내지만, 문맥에 따라서는 때로 방법론이나 인식론의 문제에까지도 확장되어 쓰인다. '형식논리학'은 문장과 연역적 추론의 구조를 그 문장의 내용에서 추출한 논리적 구조만을 다루는 방법에 의해 탐구하는 이론이다. 이런 의미에서 논리학형식논리학이라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논리학 論理學, logic
    형식논리학처럼 매우 추상적 차원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하고 응용논리학처럼 올바른 추론의 실천적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기도 한다. 타당한 논증에는 2가지 기본형태가 있다. 첫째, 이미 있는 하나 또는 일련의 명제(전제)로부터 그 안에 숨어 있는 어떤 새로운 명제(결론)를 끌어내는 형식의 '연역논증'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지식 분야는 물리학·화학·생물학·동물학·심리학·정치학·윤리학·논리학·형이상학·역사·문예이론·수사학 등 매우 다양하다. 가장 큰 업적은 형식논리학과 동물학 분야의 연구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학은 이제 낡은 것이 되었지만, 19세기까지는 관찰과 이론 면에서 그의 연구를 넘어선 사람이 없었다...
    출생 :
    BC 384, 마케도니아 근처 칼키디케 스타기로스
    국적 :
    그리스
  • 논리학 論理學
    그가 논리학을 체계화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하나의 중요한 사실은 연역 추리의 타당성이 논증의 형식에 의존한다는 것이었다. 이런 이유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형식논리학(formal logic)이라고도 부른다. 논리학은 어떤 주장을 하는 명제들의 논리적인 연결 관계를 분별하는 원칙과 절차에 관한 학문이다. 그런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응용논리학 應用論理學, applied logic
    예를 들어 믿음·명령·의무 등)에 대하여 어떻게 적절히 사용할 수 있을까를 탐구한다. 대개의 경우 믿음·명령·의무 등의 논증들은 순수논리학에서와 같이 엄격하게 형식적인 문제들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수한 영역에 대한 내용적 고려도 들어가 있다. 응용논리학형식적 측면도 갖고 있고 따라서 내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삼단논법론 三段論法論, syllogistic
    원래의 형식은 아리스토텔레스가 BC 350년경 〈분석론 후서 Analytica priora〉에서 제시했으며, 형식논리학의 초창기에 나온 한 분야이다. 널리 알려진 대로 삼단논법론은 2개의 탐구영역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관심을 가진 정언적(定言的) 삼단논법론은 단순한 서술문장과 그 변형태, 즉 필연성과 가능성을 표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벤 다이어그램
대당 사각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