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현 縣지방행정구역의 최하위 단위. 내용 주(州) · 부(府) · 군(郡) · 현(縣)의 지방행정구역 중에서 가장 낮은 단위이다. 현은 지방행정구역 상 독자적으로 존재하면서도 군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데 군현제도가 바로 그것이다. 군과 현의 관계는 군이 현을 거느리는 행정적 상급 단위라기보다는 병렬적 관계였다. ...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영 고개, 嶺산의 능선이 낮아져 안부(鞍部)의 형태로 나타나는 고갯길. 개설 영은 단층선을 따라 발달하거나 습곡작용을 받아 낮아진 곳, 또는 암석이 차별침식을 많이 받은 부분에 발달한다. 영은 일반적으로 분수계(分水界)를 이루며, 영의 양쪽에는 낮은 골짜기가 길게 발달한다. 따라서 예로부터 이러한 양쪽 골짜기를 연결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현 玄검다, 검은빛. 그윽하다. 고요하다. 오묘하다. 현학(玄學) : 노장(老莊), 곧 노자와 장자의 학문. 현묘(玄妙)한 학문. 현빈(玄牝) : 만물을 낳게 하는 길을 이른다. 현(玄)은 그 작용이 미묘하고 심오함을 뜻하며, 빈(牝)은 암컷이 새끼를 낳듯이 만물이 생성함을 이른다. 현주(玄酒) : ‘물’의 다른 이름. 물의 빛이...
- 유형 :
- 색깔에 관련된 한자
-
-
현과 령, 치 峴과 嶺, 峙본 뜻 현(峴) - 령(嶺) 위의 평탄한 곳. 즉, 고갯마루다. 서울 서대문구의 아현동. 흔히 우리말로 무슨 고개라고 부른다. 무너미고개, 까치고개. 령(嶺) - 산의 중턱을 지나는 산길. 산의 어깨나 목 부분쯤에 나 있는 통로를 말한다. 대관령, 철령, 조령 등. 치(峙) - 높은 언덕. 대치, 수리치, 우슬치. 바뀐 뜻 오늘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