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학 諧謔
    세상의 돌아가는 현상이나 현실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사회적 사건이나 현실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해학은 주어진 사실을 객관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과장하거나 왜곡하거나 비꼬아서 우스꽝스럽게 표현해 웃음을 유발한다. 비슷한 개념의 풍자가 특정 인물을 공격하려는 비판적인 의도가 담겨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유머 해학, humour
    아주 조잡한 장난에서 고도로 세련된 경구나 희극적 일화까지 대부분의 유머는 서로 관련이 있으면서도 양립할 수 없는 2가지 사항의 연관관계를 갑작스럽게 깨달을 때 생겨난다. 서로 다른 이 2가지 사항이 갑작스럽게 부딪치면서 희극적 효과를 내게 되는데, 이는 듣는 사람이 2가지 사항 사이의 묘한 관계를 인식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해학 Humour, ユーモア
    다른 뜻 넘어옴 해학(諧謔, 점액, 담즙, 흑담즙 등 4종류의 체액을 의미했는데 이런 채액의 배합 정도에 따라 사람의 기분, 기질등이 변화한다고 믿던 것이 뜻이 점차 변형되어 현재의 "해학"으로서의 뜻을 갖게 되었다. 해학이란 우리가 웃을 때면 우리에게 주어진 메시지에 반응하는 것을 말하며, 어울리거나 일치되지...
    도서 위키백과
  • 이기 (동의어 해학) 李沂
    실학사상가, 종교가, 독립운동가. 개항 이전의 실학사상을 계승하고 개항 이후 나타난 근대 서양사상을 수용함으로써 당시의 역사적 과제의 해결에 접근했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농민군의 모사가 될 것을 자청해 전봉준의 응낙을 받았으나 김개남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죽이려고 하자 도망했다. 이후 농...
    출생 :
    1848(헌종 14), 전북 김제
    사망 :
    1909(융희 3)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해학유서 海鶴遺書
    않고 글을 정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기의 저술은 수합되지 못하고 대부분 산일된 채 방치된 상태에서 상당수가 현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해학유서』는 이기 저술의 최초의 출간본이자 유일한 단행본인 것이다. 서지사항 권두에 정인보의 서문(1942), 이정직(李定稷)의 시문집서(1892), 이건창의 「질...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해학반도도 병풍 해반도도(海蟠桃圖), 海鶴蟠桃圖 屛風
    나무, 대나무, 소나무, 영지버섯, 거북이, 학, 사슴, 돌 등을 그린 십장생도(十長生圖) 계열 가운데 유독 수파(水波), 학, 복숭아를 두드러지게 그렸다. 해학반도도는 조선 후기에 왕실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크게 유행하였으며 주로 병풍으로 꾸며졌다. 형태 및 특징 본 유물은 10폭 병풍으로서 화려한 안료를 사용하여...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서화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이기 백증(伯曾), 李沂
    개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백증(伯曾), 호는 해학(海鶴) · 질재(質齋) · 재곡(梓谷).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김제(金堤, 萬頃)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국운이 쇠퇴해 가는 속에서 적극적인 경세구국(經世救國)의 뜻을 세워, 1894년(고종 31)에는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에게, “군중...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해학유서 海鶴遺書
    혁명 후 이기의 저술들이 소실되자 그 아들들이 일부를 재편집하여 〈선여고 燹餘稿〉를 만들었고, 여기에 그밖의 원고들을 합해 〈해학유고 海鶴遺稿〉를 만들었다. 〈해학유서〉는 〈해학유고〉에서 〈진교태백경 眞敎太白經〉, 시 59수, 문 25편을 제외한 나머지를 1942년 맏아들 낙조(樂祖)가 편집하고, 강동희(姜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한을 해학으로 풀어내는 서도소리
    창법은 콧소리로 얕게 탈탈거리며 떨거나, 큰 소리로 길게 뻗다가 갑자기 속소리로 가만히 떠는 방법 등으로, 애절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그 속에는 해학이 그득합니다. 서도연희극보존회(회장 유지숙)에서는 '평안도 항두계놀이'와 창작 소리극 '채봉전' 같은 토종 뮤지컬을 만들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나를...
  • 해학 문화 諧謔 文化
    해학이란 화합할 해, 희롱할 학이 결합한 글자로 사전적 의미는 ‘힘겨운 세상살이와 인물의 결함을 대하는 우스꽝스러운 말과 행동’이다. 우리 전통 문화에서 해학은 자주 등장하는데 주로 서민 등 피지배 계층이 억압적인 현실과 권력자에게 현실적으로 저항하기 어려울 때 쓰였다. 해학을 통해 서민층은 함께 단결...
    도서 다음백과
  • 해학
    웃음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문학에서는 해학과 풍자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풍자가 주로 사회현실과 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하면서도 겉으로는 웃음을 유발하는 것이라면, 해학은 인간의 우스꽝스러운 행동이나 말로 웃음을 유발한다. 예를 들어 풍자를 블랙코미디라고 한다면 해학은 바보스러운 행동이나 설정으로...
    도서 다음백과
  • 해학의 특징
    해학과 풍자가 결합하여 골계미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듣는 이에게 웃음을 주는 한편 웃음 뒤에 현실을 직시하는 통찰력을 갖게 해줍니다. 이러한 해학은 실의를 극복하는 힘을 준다. 또한 약자들의 무기로 현실적 고단함을 웃음으로 승화시키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힘을 얻는다. 그리고, 틀에 박혀 관습화...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0건

해학(諧謔)
해학 이기 선생 생가
해학이기선생생가
「김봉학전」(『해학유서』 권9)
능청과 의뭉, 풍자와 해학으로 무장한 문체를 선보인 창작집 〈새가 되었네〉
기존의 완고한 정통 문학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풍자와 해학의 산문을 선보인 박지원
풍자와 해학의 토속어 문체로 근대화에 휘말린 농촌의 실상을 생생하게 펼쳐 보인 작가 이문구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긴 노래체의 율문에 풍자와 해학을 섞은 담시 형태로 선보인 김지하의 〈오적〉
해학이 넘치는 문체로 도농 접경 지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풍속을 실감나게 그려낸 〈왕룽 일가〉와 〈우묵배미의 사랑〉
농경 사회가 해체되고 급격히 산업화 · 도시화하는 변동의 중심에 삶의 근거가 놓이게 되면서 체험한 일들을 풍자와 해학의 문체로 녹여낸 작가 최일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