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태 懈怠, Versaumnis
    주로 소송법상 기일에 출석하여 필요한 소송행위를 하지 않는 일을 뜻한다. 특히 변론기일에 출석하지 않고 또는 출석해도 변론하지 않는 것을 '기일의 해태'라 하고, 기일 내에 해야 할 소송행위를 하지 않는 것을 '기간의 해태'라고 한다(민사소송법 제91조). 기일이나 기간을 해태하면 소송법상 각종의 불이익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해태 (불교) Kauśīdya, 懈怠
    해태(懈怠,slothfulness, spiritual sloth)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 중 대번뇌지법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의 수번뇌심소 가운데 하나이다.sfnsfn 해태(懈怠)는 게으름을 말하는데, 즉 선법(善法)을 닦음에 있어 용맹정진(勇猛精進, 勇悍)하지 않으려 하는 마음작용...
    도서 위키백과
  • 해태 懈怠, laches
    특허침해소송에서 피소자의 방어논리 중 하나. 지식재산권자가 침해자에 대한 소송 제기를 납득할 수 없을 정도로 지연시켜 해당 침해자에게 불이익을 유발시킬 때 침해자가 권리자의 지식재산권 침해 주장에 대하여 권리 주장 불가를 주장할 수 있음.
  • 권리행사의 태만 Laches (equity), 懈怠 (法学)
    권리행사의 태만(Laches)란 영미 형평법상 개념으로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그 권리를 행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라는 영국법의 전통을 계승한 법이론이다. 권리위에 잠자고 있는 자는 보호하지 않는다는 법 격언으로 표현된다. 소멸시효랑 비슷하나 권리행사의 태만은 불합리하고 편견을 유발하는 지연인데...
    도서 위키백과
  • 해태 懈怠, sloth
    모든 죄의 근원이 되는 칠죄종(七罪宗)의 한 가지. 선행(善行)에 게으른 것을 말한다. ‘굳셈’의 반대에 해당된다. (⇒) 칠죄종
  • 해태 懈怠
    내용이 없습니다
  • 준비절차 準備節次, preparatory procedure
    준비절차기일의 준비를 위해 당사자에게 준비서면을 제출하게 할 수 있다(제256조 1항). 당사자 일방이 준비절차 기일에 결석한 경우에는 변론 기일의 해태(懈怠)에 준하여 불이익을 받는다. 준비절차는 그 목적이 달성되거나(쟁점과 논거의 정리), 당사자의 비협조와 해태(당사자의 결석 등)로 목적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단체교섭권 團體交涉權
    따라 성실히 교섭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그 권한을 남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정당한 이유없이 교섭 또는 단체협약의 체결을 거부하거나 해태(懈怠)하여서는 아니되는 의무를 부담하고 있다(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0조). 이러한 노동자의 단체교섭권에 대하여 국가는 그 자유를 제한 또는 금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노동
  • 지방공무원법 地方公務員法
    업무의 겸직금지, 정치운동의 금지, 집단행위의 금지 등의 의무가 있으며(제48~58조), 공무원이 법규를 위반한 때,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해태(懈怠)했을 때, 공무원의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때(제69조 1항)에는 징계의 결의 결과에 따라 파면·해임·정직·감봉·견책의 징계처분을 받게 된다(제70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행정법
  • 파산 破産, bankruptcy
    벗어난다. 파산법의 주요목적은 채무자를 부당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 정의를 실현하고, 고의가 아닌 채무의 이행불능과 고의적인 채무변제의 거부 또는 해태(懈怠)를 구분하며, 채권자들이 채무변제에 충당할 수 있는 채무자의 자산을 공정하게 분배받을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현대 입법의 특징을 이루는 또하나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법
  • 정진 (불교) Vīrya, 精進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제4권.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태(怠)란 이를테면 해태(懈怠)로서, 마음이 모질게 노력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바로 앞에서 설한 근(勤)에 의해 대치되는 법이다.36) 36) 선한 일에 있어서는 뛰어난 능력을...
    도서 위키백과
  • 피악수선가 避惡修善歌
    통해 육신, 세속, 마귀의 삼구(三仇)와 교오(驕傲, 교만), 간린(慳吝, 인색), 미색(迷色, 음욕), 분노(忿怒), 탐도(貪饕, 탐욕[탐식]), 질투(嫉妬, 시기), 해태(懈怠, 나태) 등 칠죄종(七罪宗, 7가지 죄의 뿌리)을 극복해낼 것을 권면하는 내용을 담았다. 의의와 평가 『피악수선가』는 박해를 넘어선 한국 가톨릭 신앙...
    시대 :
    근대/개항기
    창작/발표시기 :
    19세기 말
    성격 :
    천주교서, 천주가사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소장/전승 :
    한국교회사연구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