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해국도지 海國圖志
    중국의 역사가이자 지리학자인 위원이 1844년 저술한 책으로 해외 지리와 각국의 정치·경제·인구·종교 등을 설명한 지리서.|위원은 전통 사대부의 지식과 관습적 경험을 결합하여 청나라 정부의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던 금문학파의 지도자였다. 그는 아편 전쟁에서 서양의 군사력과 과학 기술의 위력을 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해국도지 Illustrated Treatise on the Maritime ..
    해국도지》(海國圖志)는 중국 청대 후기의 학자인 위원(魏源)의 저서이다. 1842년에 50권본으로서 간행되었다가 1847년에 60권본, 1852년에 100권본으로 확충되었다. 본서(本書)는 19세기 전반까지의 세계 정세를 논술한 지리서(地理書)로서 임칙서(林則徐)가 광둥 재임중에 편찬한 세계지리 역서(譯書)인 <사주지(四...
    도서 위키백과
  • 위원 양도, 魏源
    經世文編〉을 편찬했다. 이 책이 편찬되자 정부의 일을 관리들이 쉽게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비슷한 책들이 쏟아져나왔다. 1844년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 〈해국도지 海國圖志〉를 저술했다. 이 책에는 해외 지리와 당시의 물적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인이 서양에 대해 갖고 있는 미신과 잘못된 지식에 근거하여...
    출생 :
    1794. 4. 23, 중국 후난 성[湖南省] 사오양[邵陽]
    사망 :
    1856, 항저우[杭州]
    국적 :
    청(淸), 중국
  • 지세의 地勢儀
    南秉哲)의 천문 서적인 『의기집설(儀器輯說)』 중의 「지구의설(地球儀說)」에도 소개되어 있다. 지세의 제작에 청나라 말 위원(魏源)의 세계 지리서인 『해국도지(海國圖志)』가 이용된 사실 등을 근거로 학자들은 박규수가 평안도 용강(龍岡) 현령(縣令), 전라도 부안(扶安) 현감(縣監)으로 근무하던 1850년(철종 1)을...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오경석 吳慶錫
    간행하는 것을 보고 자극을 받았다. 이후 1853~58년 4차례 중국을 왕래하면서 중국의 개혁문제를 걱정하는 지식인들과 광범위하게 교제·토론하는 한편 〈해국도지 海國圖志〉·〈영환지략 瀛環志略〉·〈박물신편 博物新編〉 등의 신서를 구입·연구했다. 1860년 10월 진하 겸 사은사 신석우(申錫愚) 일행을 따라 역관...
    출생 :
    1831(순조 31)
    사망 :
    1879(고종 16)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통상 개화론자 通商開化論者
    베이징을 시찰하며 서구의 군사력에 큰 위기 의식을 느끼고 돌아왔다. 역관 출신으로 13차례나 중국을 다녀왔던 오경석은 서양 문물을 중국에 소개한 <해국도지>와 <영환지략> 등의 책을 가지고 돌아와 유홍기와 함께 연구하였다. 중인 출신인 두 사람은 명문가 자제인 김홍집·김옥균·박영효·서재필 등을 설득하여...
    도서 다음백과
  • 박규수 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
    뒤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한거생활에 들어갔다. 이때 그의 사랑방에 김윤식·김옥균·유길준·박영효 등 젊은 양반자제들을 불러모아 〈연암집 燕巖集〉·〈해국도지 海國圖志〉 및 중국을 왕래하는 사신·역관들이 전하는 새로운 사상을 강의하여, 세계의 대세를 살피도록 하고 개화사상을 계발시켰다. 1875년 9월 운양...
    출생 :
    1807(순조 7)
    사망 :
    1876(고종 13)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반남(潘南,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 한국개화사연구 韓國開化史硏究
    개화파의 사상과 활동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먼저 개화사상에 관한 연구를 보면, 청나라 말에 위원(魏源)이 서양에 대한 지식을 알리기 위해 저술한 『해국도지(海國圖志)』가 개화사상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다룬 「해국도지의 한국 전래와 그 영향」이 있다. 「개화사상연구」라는 논문에서는 개화의 개념이...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광린
    창작/발표시기 :
    1969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일조각
    분야 :
    역사/근대사
  • 벽위신편 闢衛新編
    명사(明史)』, 『경세문편(經世文編)』 등을 바탕으로 서양과 중국 인근 나라들을 설명한 인문 지리적인 내용이다. 이후 미흡한 부분을 위원의 『해국도지(海國圖志)』, 서계여(徐繼畬)의 『영환지략(瀛環志略)』, 고염무(顧炎武)의 『천하군국이병서(天下郡國利病書)』를 통해 보완 설명하였다. 권3 「연해형승」(상...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홍영식 洪英植
    琴石). 아버지는 영의정 순목(淳穆)이다. 1869년경부터 박규수의 지도를 받으며, 김윤식·김옥균·박영호·서광범·유길준 등과 교유했다. 이때 위원의 〈해국도지 海國圖志〉, 서계여의 〈영환지략 瀛環志略〉 등 중국의 개화서와 박지원의 〈연암집〉 등을 읽으면서 개화사상을 형성해나갔다. 1876년 박규수가 죽은 뒤...
    출생 :
    1855년(철종 6), 서울
    사망 :
    1884년(고종 21)
    국적 :
    조선, 한국
  • 실사구시 實事求是
    학문적 성과를 받아들이는 가운데 차차 고문학(古文學)에서 금문학으로 눈을 돌려 위원(魏源)과 같은 학자의 학문을 '실사구시'로 인정하면서, 그의 〈해국도지(海國圖志)〉를 해방(海防)에 필수적인 책으로 높이 평가했다. 또한 그는 후에 개화파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 오경석(吳慶錫) 등 중인(中人) 출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문
  • 지구전요 地球典要
    교육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제13권에는 23개의 역상도와 41매의 대륙별·국가별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중국에서 출판된 새로운 서적인 위원의 〈해국도지 海國圖志〉와 서계여의 〈영환지략 瀛環志略〉 등을 기초로 한 것으로, 뛰어난 실학자이며 과학사상가·지리학자로서의 저자의 면모를 대표하고...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해국도지(海國圖志)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