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광주학생항일운동 光州學生抗日運動데다가 집단행동이 가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호남 지역에선 광주고보 ·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성진회’란 학생단체가 구성되는 등 항일운동의 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3·1운동 후 최대 민족 투쟁이 광주 지역 학생들에 의해 일어난 데는 그 같은 배경이 있었다. 발단은 단순했다. 기사에서 보듯...
- 간행/발행 :
- 조선일보(1929년 11월 05일)동아일보(1929년 11월 16일)
-
일본의 패망과 항일전쟁의 승리1937년 10월 일본군에 의한 우한 함락 이후 대치 단계에 들어갔던 중일전쟁은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태평양전쟁 직전 최대의 병력을 중국에 파견했던 일본군은 1941년 가을 후난 성 창사 방면에서 적극적인 작전을 벌였으나 중국군의 반격으로 좌절되는 등, 전황은 점차 교착 상태에...
-
중화민국, 일본의 중국 무력 침공과 항일 전쟁국제연맹에 위임하였다. 이와 같은 남경 정부의 무저항주의에 중국 민중은 분노를 터뜨려 자발적인 저항 운동을 일으켰다. 중국 공산당은 1931년 9월 22일 ‘항일 선언’을 발표하여 대중을 조직,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할 것을 호소하였다. 상해의 학생 및 항만 노동자의 저항 스트라이크를 신호로 전국 각지에서 각계...
-
-
무장독립투쟁을 견지한 군인, 대한민국 공군 창설의 주역, 최용덕 崔用德참전군(參戰軍)을 창립하면서 ‘참전군군관학교’로 불리기도 하였다. 육군군관학교와 단기서군에 참여한 연유는 알 수 없지만 이러한 경험은 이후 그가 전개했던 항일투쟁에 큰 자산이 되었다. 이처럼 선생은 일제의 침략과 강압적인 국권피탈을 경험했고, 근대적 교육을 수용함과 동시에 중국에서 새로운 사상과 문물...
- 출생 :
- 1898년 9월 19일
- 사망 :
- 1969년 8월 15일, 서울 성북동
- 수상 :
- 독립장 1962
-
광주 어등산(魚登山)에서 순국한 불굴의 의병장 조경환, 조경환 (일본군 14연대&n..황태자로 하여금 대리케 한다.”는 내용의 조칙을 발표하고 황위에서 물러났다. 이러한 내용이 전국에 알려지자, 재야의 유생들과 백성들이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에 나섬으로써 의병의 불길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1907년 7월 고종의 강제 퇴위와 더불어 정미7조약의 체결로 인해 한국인의 반일 감정은 더욱 고조...
- 출생 :
- 음력 1876. 2. 14
- 사망 :
- 음력 1908. 12. 19. 전남 광산
- 수상 :
- 독립장 1963
-
동북항일연군 동북인민혁명군, 東北抗日連軍개설 1935년 제7차 코민테른에서 결정된 ‘반제국주의 인민통일전선’의 정신을 계승한 1936년 2월 「동북항일연군통일군대건제선언」에 따라 설립된 만주지역 항일무장운동 단체로 김일성, 김책, 최용건 등 북한정권 수립 시기의 주요 인물들이 참여하였다. 동북항일연군은 중국인과 한인의 연합부대적 성격을 가지고...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항일유격대 抗日遊擊隊개설 1931년에 일제가 만주를 침공하면서 대규모 반일운동이 일어났다.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시를 받아 만주 일대에서는 반일유격대, 항일구국유격군, 수녕반일동맹군 등이 창설되어 항일유격 전쟁을 전개하였다. 그 뒤 1933년에 ‘1월 서한’에 따라 같은 해 5월 중공만주성위원회에서는 통일된 인민혁명군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부산항일학생의거 노다이사건, 釜山抗日學生義擧도전력증강경기대회(慶南學徒戰力增强國防競技大會)에서 일본인 학교의 우승을 위해 일본군인 노다이가 벌인 편파적이고 민족 차별적인 대회 운영에 맞선 항일학생운동이다. 역사적 배경 일제는 중일전쟁 이후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조선 민중의 일상생활을 통제하고, 나아가 민족 말살을 추진하였다. 또 「국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발생 :
- 1940년
- 성격 :
- 일제강점기 학생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노다이(乃台兼治)
- 관련 장소 :
- 부산공설운동장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