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함양 咸陽郡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군.|개관 동쪽은 거창군 · 산청군, 서쪽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와 장수군, 남쪽은 하동군, 북쪽은 거창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7°15′∼127°52′, 북위 35°18′∼35°46′에 위치한다. 면적은 725.45㎢이고, 인구는 4만 339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10개 면, 259...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함양 咸陽郡
    경상남도 서부에 있는 군. 소백산맥의 영향으로 전형적인 산간분지 지형을 이루고 있다. 산림이 울창하여 임산물이 풍부하다. 북쪽에 덕유산국립공원, 남쪽에 지리산국립공원이 위치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악관광지이다. 면적 724.88㎢, 인구 36,873(2024).|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부에 있는 군. 88올림픽 고속도...
    위치 :
    경상남도 서부
    인구 :
    36,873 (2024)
    면적 :
    724.88㎢
    행정구역 :
    1개읍 10개면 256개리
    사이트 :
    http://www.hygn.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함양 涵養, recharge
    지표수나 지하로 침투하여 지하수가 형성하는 것을 말하는 수리학적 현상|물이 지표로 부터 지하로 공급되어서 지하수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대수층으로 강우나 지표수가 공급되는 현상을 총칭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형태의 함양은 토양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함양량에 따라서 지하수면의 고도가 변한다. 함양은 빗...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셴양 (동의어 함양) 咸陽, Hsien-yang
    중국 산시 성[陝西省]에 있는 도시. (병). Xianyang. (웨). Hsienyang. 셴양 지구의 행정중심지이다. 중국 고대문명의 요람이었던 시안에서 북서쪽으로 20㎞ 정도 떨어져 있으며, 웨이허 강[渭河]의 북쪽 기슭에 있다. 웨이허 강 유역 중앙에 자리잡은 거대하고 비옥한 관개지역이 되었고, 상업 중심지이기도 하다. 주요...
    위치 :
    중국 산시 성 중부
    인구 :
    1,772,000명 (2024년 추계)
    면적 :
    10,196㎢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함양읍 咸陽邑, Hamyang-eup
    경상남도 함양군 중부에 있는 읍.|경상남도 함양군 중부에 있는 읍. 지리산 줄기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300~600m의 산지를 이루며, 서부와 서남부에 천령봉(556m)·삼봉산(1,187m) 등이 솟아 있다. 위천이 읍의 북부를 곡류하며, 이 유역에는 산간분지가 발달했다. 주요농산물은 쌀·양파·곶감 등이며, 특산물...
    인구 :
    18,635 (2017)
    면적 :
    69.35㎢
    행정구역 :
    46개리 167개반
    소재지 :
    경상남도 함양군
    사이트 :
    http://www.hygn.go.kr/country/00785/00975.web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함양
    함양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함양군(咸陽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함양읍(咸陽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양군에 있는 행정 구역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함양 含陽郡
    경상남도 함양군의 고려시대 이름.→ 함양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개평마을 좌 안동 우 함양, 양반들도 맥을 못 춘다
    시대 성리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일두 정여창(1450~1504)과 옥계 노진(1518~1578)이 배출된 전형적인 양반 씨족 마을이다. 개평마을은 함양군 내에서 가장 먼저 형성된 반촌이다. 정여창 같은 대유학자를 배출한 것은 물론 상당수의 유명인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 신라 때 최치원이 함양 태수였던 것...
    위치 :
    경남 함양군 지곡면
  • 함양군의 식재
    함양군은 소백산맥의 최고봉이며, 영남의 진산인 지리산을 남쪽에 두고 있다. 지질은 편마암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황토질의 사양토가 주 토질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함양군은 산간지대로서 최고기온 38.0℃, 최저기온 -12.2℃이며, 여름철인 8월의 기온차가 25.8℃에 이를 만큼 일교차가 크며, 일조량이 많아...
  • 함양박씨 족보 咸陽朴氏 族譜
    내용 분량은 불분권 1책, 판종은 목판본이며,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29.5cm이다. 표제는 “함양박씨대동보(咸陽朴氏大同譜)”, 판심제는 “함양박씨족보”이다. 부록 말미의 “갑술년 봄에 중간하여 광산의 유곡촌에 갈무리 하였다(甲戌春重刊 藏于光山柳谷村)”는 간기에 따른다면, 이 족보는 호남의 광주에서 간행...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사회/가족
  • 함양 사근산성 咸陽 沙斤山城
    돌로 둘러쌓은 테뫼식 산성이다. 연화산은 경상남도 산청에서 거창으로 향하는 3번국도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데,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으로 통하는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방면과 전북특별자치도 장수로 통하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방향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요충지이다. 영남과 호남지방을 연결하는 교통로...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함양 백운암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咸陽 白雲庵 木造 阿彌陀如來 坐像
    개설 2010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113㎝, 무릎 폭 80.8㎝. 아미타불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따르면, 이 불상은 1674년에 백운산(白雲山) 영은사(靈隱寺)에 봉안하기 위해 200명에 달하는 시주자(施主者)들이 동참하여 만들었고, 원래는 아미타여래를 본존으로 좌우에 관음과...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57건

함양 함양향교 전경
함양 함양향교 중 태극루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함양 함양향교 중 내삼문
함양 함양향교 중 명륜당
함양 함양향교 중 동무
함양 함양향교 중 서무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좌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문서고 우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대성전 일곽
함양 함양향교 중 동재 우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서재 좌측면
함양 함양향교 중 제기고 좌측면
함양 남계서원
함양 벽송사
함양 학사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