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자어 漢字語한자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한자가 결합되어 한국어로서 사용되는 한국식 발음의 단어이다. 대체로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된다. 중국어에서 쓰이는 것이 그대로 쓰이되 발음이 한국식인 것, 한국어에서 만들어져 쓰이고 중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것, 일본에서 만들어진 것 등이다. 한자어는 우리의 고유어와 동...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는 어떻게 생겨났나요?아버지와 함께 할머니댁으로 가는 버스를 탔어요. 그런데 문득 버스를 영어로 무엇이라 하는지 궁금해졌어요. “버스가 영어로 뭐예요?” 아버지는 웃으면서 “버스는 버스란다”라고 대답하셨어요. 이럴 수가, ‘버스’는 우리말이 아니었나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우리가 접하는 수많은 어휘는 다 각자의 고향이 ...
- 분야 :
- 문법
- 교과단원 :
- 초등 2학년 2학기 〈어떻게 정리할까요?〉, 초등 4학년 1학기 〈국어사전과 함께〉, 초등 5학년 1학기 〈생각과 판단〉, 초등 6학년 1학기 〈사실과 관점(읽기)〉
-
씨름다리의 경기’로 보았다. 속설에는 ‘씨름’을 ‘씨[種]의 겨룸’으로 보아 남자들끼리의 힘겨룸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이도 있다. 우리말인 씨름 외에 한자어로는 다음과 같은 명칭이 있다. ① 각저(角抵):‘角’은 다툼을 뜻하여 ‘다툴 각’으로도 쓰이며, ‘抵’는 ‘밀칠 저’, ‘던질 저’, ‘맞닥뜨릴 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대사와 선사, 수좌 大師와 禪師, 首座본 뜻 스님을 부르는 말은 굉장히 다양하다. 최근에는 ‘큰스님’이란 호칭이 생기면서 호칭이 비교적 단순해진 편인데, 조선시대나 고려시대 기록을 보면 스님을 부르는 말로 대사(大師), 선사(禪師), 수좌(首座), 대선사(大禪師) 등 매우 다양했다. 또한 요즘에도 스님들이 입적하면 대부분 ‘대선사’라는 호칭을...
-
후와 비, 빈 내명부와 외명부, 后와 妃, 嬪본 뜻 후(后) - 황제의 부인. 고려까지는 후라고 했는데, 고려 말기, 조선시대에는 쓰지 못했다. 비(妃) - 제후의 부인. 조선시대의 경우 왕비(王妃)라는 칭호를 썼다. 빈(嬪) - 제후의 첩. 조선시대의 경우 부인이 아닌 첩으로서 가장 높은 직급이었다. 왕실 여인이나 특수층 여인, 사대부 여인들의 지위에 관련된 것...
-
민 民‘민(民)’은 고대에 눈을 찔려 맹인(盲人)이 된 형상으로 ‘맹(盲)’자와 상통한다. 또는 초목(草木)의 싹이 많이 나 있는 모양을 그려, 땅에 의지하여 사는 많은 사람, 곧 백성을 뜻하는 글자가 되었다. 노예제 시대, 잡혀온 남자나 전쟁 포로들은 눈 한쪽을 찔려 노예의 표지로 삼았다는 데서 노예를 ‘민(民)’이라...
- 유형 :
- 여러 가지 호칭
-
신 臣‘신(臣)’과 ‘환(宦)’의 최초의 신분은 모두 노예(奴隸)였다. 이 글자의 어원(語源)을 풀이해보면, 굴복(屈伏)의 형상(形象)으로 세로로 세운 눈의 모양으로서, 사람이 엎드리면 눈이 세로로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눈은 머리를 대표하여, 곧 땅에 엎드린 사람의 신체를 나타내게 되었다. ‘신(臣)’의 본뜻은 가노...
- 유형 :
- 여러 가지 호칭
-
집을 나타내는 말들본 뜻 당(堂) - 큰 집. 거주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특별히 지은 집 또는 공청(公廳)을 뜻한다. 사명당(四溟堂), 명륜당(明倫堂), 영당(影堂, 조상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운 건물). 실(室) - 큰 집에 딸린 방(房). 연려실(燃藜室), 첩실(妾室). 우(宇) - 지붕과 처마가 있는 집. 사우(寺宇). 주(宙) - 대들보와 서까래...
-
대통령 大統領본 뜻 대(大) - 크다. 통(統) - 큰 줄기. 본 가닥의 실. 다스리다. 령(領) - 옷깃. 우두머리. 대통(大統)은 왕위를 계승하는 계통을 말한다. 왕위를 잇는 것이 마치 베를 짤 때 본 가닥의 큰 실 같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대통을 기준으로 보자면 대통령이란 대통을 잡은 우두머리란 뜻으로, 매우 봉건적인 말이 된다...
-
호 胡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오랑캐’라고 번역을 하는데, 실제 어휘에 나타나는 것을 보면 중국, 만주, 몽골, 중앙아시아, 아라비아 등을 넓게 가리킨 말이다. 원래 중국에서 호국(胡國)이라고 할 때는 중앙아시아의 소그드 국이나 페르시아를 가리키는 것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중국에서 흉노(匈奴), 갈(羯, 흉노의 별종...
- 유형 :
- ‘오랑캐 호(胡)’에 관련된 어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