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문학 漢文學
    한자로 표기된 문학 또는 그 문학을 연구하는 학문. 한문학은 중세를 대표하는 양식이다. 시(詩)와 문(文)으로 나누어진다.|개념과 특성 중세는 문화적 보편주의를 추구했던 시대로 동아시아의 한국·중국·일본·베트남은 중국어의 표기문자인 한자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자문화권을 이루었다. 그러나 한국 한문학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한문학 漢文學
    한문학(漢文學)은 한자와 한문을 표기 수단으로 하는 문학 양식이다. 한자와 한문으로 표기된 동양의 고전을 포함하여 한국이나 일본·베트남에서 한자와 한문으로 자신들의 사상과 감정을 담은 창작 문학을 가리킨다. 한자문화권에서 생성된 일체의 문학을 한문학이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의 한문학은 중국의 문자와 문...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한문학
  • 한문학
    중국의 고전문학과 한문으로 기록된 한국의 문학 우리 고유의 글자가 없던 당시 한자는 우리 문학을 담는 그릇 역할을 하였으나, 우리 글자의 발명을 지연시키고 모화사대사상을 조장하는 역기능을 했다. B.C 2세기 경한 자가 유입된 이후 <황조가> 등 한자로 쓴 한시 작품 등이 전해진다.
  • 한문학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漢文学
    참고 한문학(漢文學)은 한문(고전 중국어)으로 쓴 작품의 총칭 및 그것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말한다. 신해 혁명 이후의 백화 운동이나 간체의 도입 등을 통해 한문과 현대 중국의 문체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한학(漢學)과 흔히 혼동된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조선시대 한문학
    풍자했다. 중인층은 17세기 이래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시를 통해 신분제도를 비판했는데, 홍세태·조수삼·이언진·장혼·정수동·이상적이 알려졌다. 한문학의 마지막 시기에는 강위·황현·이건창·김택영 같은 문인들과 우국지사들이 외세에 대한 울분과 투쟁의지를 담았다. 황현의 〈절명시 絶命詩〉, 안중근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고려시대 한문학
    殊異傳〉은 전하지 않으며, 김부식의 〈삼국사기〉 열전에 실린 〈온달 溫達〉·〈도미 都彌〉는 전기적(傳奇的) 요소가 풍부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무인란 이후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은 하층민의 억압된 삶을 소재로 한 애민시, 몽골 항쟁의식의 소산인 영웅서사시, 선승들의 불교시, 사부의 등장과 시화집(詩話集)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한국의 고대 한문학
    삼국시대 한국 한문학은 삼국시대 이전에 시작되어 한말에 이르러 역사적 생명력을 잃었다. 고조선과 한사군 때 이미 한자를 사용한 것 같지만, 작품은 고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는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만이 전한다. 한자를 공식 기록문자로 삼은 것은 삼국이 고대국가 체제로 전환하여 불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한국한문학연구회 韓國漢文學硏究會
    내용 국문학연구에서 소외되어온 한문학을 우리의 문학으로 수용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민족문화의 창조적 계승, 발전에 기여하며, 한자로 표기된 한국의 문학을 연구할 목적으로 이우성(李佑成) 등이 중심이 되어 1975년 4월 서울에서 창립되었다. 창립 직후부터 매월 정기적으로 월례발표회를 가져왔으며...
    시대 :
    현대
    설립 :
    1975년 4월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우성(李佑成)
    분야 :
    문학/한문학
  • 한문학교과서 漢文學敎科書
    내용 2권 2책. 인쇄본. 보성관(普成館)에서 발행하였다. 책이름에 한문학이라는 말이 들어 있지만, 일반 한문교과서에 불과하다. 책머리에 여규형이 주석을 가하였음을 밝히고 있으나, 내용으로 보아 윤태영이 문장에 토를 달아놓고 간략한 주를 붙인 것을 여규형이 감수한 것으로 보인다. 책의 구성은 우리 나라와 중국...
    시대 :
    현대
    저작자 :
    윤태영(편자), 여규형(주석)
    창작/발표시기 :
    1907년
    성격 :
    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2책
    간행/발행 :
    보성관
    분야 :
    교육/교육
    소장/전승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일반적으로 악곡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중국문학에서는 산곡과 희곡을 아울러 가리킨다. 산곡은 악곡의 가사이며, 희곡은 산곡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산곡은 구절의 장단이 일정치 않은 영사, 형식이 비슷한 소령, 그리고 같은 궁조의 소령 여러 개가 모여 한 편을 이룬 산투가 모여 구성된다. 희곡은 희문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전문학
  • 삼국시대의 문학
    고구려나 백제에도 신라의 향찰과 향가에 상응하는 표기방식과 노래가 있을 법하나 그 자취를 더듬어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 한문학은 본격적인 발전을 이룩했는데, 설총·강수·김인문·김대문·최치원으로 이어지는 6두품 출신 문인들이 많은 역할을 했다. 이들은 유학과 문학의 의의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삼국통일 이전 신라의 학문과 종교
    한자의 사용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두[吏讀]라는 독특한 차자(借字) 표기법을 창안한 것만 보더라도 잘 알 수 있다. 한문이 사용됨에 따라서 자연히 한문학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진흥왕 순수비문은 6세기 중엽 신라의 한문 수준을 대표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사용과 더불어 545년(진흥왕 6)에는 이사부(伊斯夫)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동국이상국집
동인시화
용재총화
동인시화
계원필경
한문학교과서
한문학교과서
한문학교과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