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문학 漢文學한문학(漢文學)은 한자와 한문을 표기 수단으로 하는 문학 양식이다. 한자와 한문으로 표기된 동양의 고전을 포함하여 한국이나 일본·베트남에서 한자와 한문으로 자신들의 사상과 감정을 담은 창작 문학을 가리킨다. 한자문화권에서 생성된 일체의 문학을 한문학이라고 한다면, 우리나라의 한문학은 중국의 문자와 문...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한문학중국의 고전문학과 한문으로 기록된 한국의 문학 우리 고유의 글자가 없던 당시 한자는 우리 문학을 담는 그릇 역할을 하였으나, 우리 글자의 발명을 지연시키고 모화사대사상을 조장하는 역기능을 했다. B.C 2세기 경한 자가 유입된 이후 <황조가> 등 한자로 쓴 한시 작품 등이 전해진다.
-
한국의 고대 한문학삼국시대 한국 한문학은 삼국시대 이전에 시작되어 한말에 이르러 역사적 생명력을 잃었다. 고조선과 한사군 때 이미 한자를 사용한 것 같지만, 작품은 고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이 지었다는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만이 전한다. 한자를 공식 기록문자로 삼은 것은 삼국이 고대국가 체제로 전환하여 불교...
-
한국한문학연구회 韓國漢文學硏究會내용 국문학연구에서 소외되어온 한문학을 우리의 문학으로 수용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민족문화의 창조적 계승, 발전에 기여하며, 한자로 표기된 한국의 문학을 연구할 목적으로 이우성(李佑成) 등이 중심이 되어 1975년 4월 서울에서 창립되었다. 창립 직후부터 매월 정기적으로 월례발표회를 가져왔으며...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75년 4월
- 성격 :
- 학술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우성(李佑成)
- 분야 :
- 문학/한문학
-
한문학교과서 漢文學敎科書내용 2권 2책. 인쇄본. 보성관(普成館)에서 발행하였다. 책이름에 한문학이라는 말이 들어 있지만, 일반 한문교과서에 불과하다. 책머리에 여규형이 주석을 가하였음을 밝히고 있으나, 내용으로 보아 윤태영이 문장에 토를 달아놓고 간략한 주를 붙인 것을 여규형이 감수한 것으로 보인다. 책의 구성은 우리 나라와 중국...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윤태영(편자), 여규형(주석)
- 창작/발표시기 :
- 1907년
- 성격 :
- 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간행/발행 :
- 보성관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삼국통일 이전 신라의 학문과 종교한자의 사용에서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두[吏讀]라는 독특한 차자(借字) 표기법을 창안한 것만 보더라도 잘 알 수 있다. 한문이 사용됨에 따라서 자연히 한문학이 발달하게 되었는데, 진흥왕 순수비문은 6세기 중엽 신라의 한문 수준을 대표하고 있다. 또한 한자의 사용과 더불어 545년(진흥왕 6)에는 이사부(伊斯夫)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