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자상 童子像불교의 청정한 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상이다. 『화엄경』 「입법계품」에 등장하는 선재동자(善財童子),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 각각 화현한 문수동자(文殊童子)와 보현동자(普賢童子), 그리고 명부(冥府)와 연관된 선악동자(善惡童子) 등은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중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예는 조선시대 17세기 이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해동용궁사 성가니분노금강동자보살성취의궤경 성가니금강동자보살성취의궤경, 海東龍..번역하였다. 서지사항 부산광역시 기장군 해동용궁사 소장의 『성가니분노금강동자보살성취의궤경(聖迦尼忿怒金剛童子菩薩成就儀軌經)』 3권 1책은 한지 표지에...의 형태이다. 전체 크기는 가로 26.5㎝×세로 31.0㎝이다. 판식(版式)은 한 줄의 검은 바깥 테두리로 표시된 상하단변(上下單邊)이며, 본문 밖의 네 부분이...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장수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은 동자를 보호하여 죄를 없애고 장수에 대해 설법한 밀교 계통의 경전이다. 이 경을 독송(讀誦)함으로써 장수하고 악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구성은 내용에 따라 대문을 나누었는데,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전반은 다섯 가지 악업에 대해, 후반은 석가모니가 마지막 남은 자식이 죽음을 앞둔 여인을 위해 설법...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선재동자 남순동자(南巡童子), 善財童子입법계품」의 구도를 따라서 자장을 선재동자로, 52명의 천녀를 선지식으로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선지식의 수를 52명으로 세는 경우는 「입법계품」에 문수보살 이 맨 처음과 마지막의 보현보살 이전에 두 번 등장하는데 이를 한 명으로 헤아리면 52명의 선지식이 된다. 또한 조선시대 조성되는 관음전의 관음탱...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평창 상원사 목조 문수동자 좌상 복장유물 平昌 上院寺 木造 文殊童子 坐像 腹..註解)한 한글 토(吐)가 붙어 있는 을해자로 찍은 책이다. ⑫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권 상 · 중 · 하): 1564년(명종 19) 지리산 신흥사(臣興寺)에서 간행한 간경도감(刊經都監) 복각판(覆刻版)이다. ⑬ 『육경합부(六經合部)』: 1440년(세종 22) 영제암(永濟庵)에서 새긴 목판본인데, 1472년(성종 3) 인수대비가...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홍의동자 紅衣童子이들 작품은 독자의 민족의식을 고취하려는 취지가 있었다. 「홍의동자」 역시 이러한 취지에 발맞춰 출판되었으나, 흥미성을 제고해 여타 작품과 차별성을...와 ‘흥미성 제고’가 혼합되었던 1900년대 구활자본 고전소설 시장의 한 단면을 보여 주며, 소설가가 독자의 흥미를 자극하는 방식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자료...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바다를 걷는 달마 일반회화 속의 불화앳된 동자의 얼굴이다. 삭발하지 않은 머리가 덥수룩한 채 그대로이다. 치켜 올라간 바지 깃에 검은 저고리가 육신을 지탱해 주는 오직 유일한 벗일 뿐. 갈대 가지도 성긴 잎새의 한줄기뿐이라서 갈잎에 붙는 포말이 신통하게 작은 몸을 띄워 보낸다. 선동(仙童)이든 동승(童僧)이든 가릴 게 무어랴. 감은 듯 지긋한...
-
평창 상원사 목조 문수동자 좌상 平昌 上院寺 木彫 文殊童子 坐像친연성을 엿볼 수 있다. 이밖에 왼쪽 어깨에 N자형으로 드리워진 천의 자락이 한 번 둥그렇게 말린 점이나, 목걸이 이외는 장식이 거의 없는 점은 1476년(성종 7...寺)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협시보살상과 비슷하다. 의의와 평가 이 문수동자좌상은 연대와 발원자가 뚜렷하고 단독으로 봉안된 희귀한 예로서, 조선 초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이 책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도록 하였다. 이는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는 공덕을 쌓도록 대승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의의와 평가 보통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부모은중경』과 합철되어 있다. 아마도 온갖 악업에서 벗어나기 위해 참회하는 것과 못다 한 부모의 은혜를 갚는 것도 악업을 짓지 말고 모든...
- 시대 :
- 조선전기
- 저작자 :
- 불타파리(佛陀波利)
- 문화재 지정 :
-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15호
- 창작/발표시기 :
- 1484년(성종 15)
- 성격 :
- 불교경전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화암사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 1477번지 원각사
-
청자조각동자동녀형연적 靑磁彫刻童子童女形硯滴고려청자의 문양으로서 등장한 예는 많지만, 이와 같이 동자·동녀상을 실물로 형상화해서 만든 예는 아주 희귀하다. 이 두 개의 연적은 키도 비슷하고 형태와 만든 수법, 옷에 나타난 오목새김문양 등까지 비슷한 점으로 보아 한 쌍이라고 할 만큼 흡사한 데가 있다. 두 상은 모두 오른무릎을 세우고 왼무릎을 누인...
- 시대 :
- 고려
- 성격 :
- 도자기, 청자, 문방구
- 유형 :
- 유물
- 크기 :
- 동자높이 11.0㎝, 동녀높이 11.4㎝
- 제작시기 :
- 고려시대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소장/전승 :
- 일본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大阪市立東洋陶磁美術館)
-
동성 동자홀현(童子忽縣), 童城말기 왜구가 침입하여 점령한 것을 최영(崔瑩)이 격퇴시킨 적이 있었다. 대안(對岸)의 심악(深岳)과 함께 이곳은 서울을 방어하는 데 큰 몫을 한 곳이다. 지명의 유래는 동자홀(童子忽)의 ‘동’자가 ‘아래’를, ‘홀’이 ‘골〔城〕’을 의미하므로 ‘아랫골’이라는 뜻에서 동성이 되었다. 지금의 하성면 일대로 추정...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고지명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명두 明斗공주 · 동자라고도 한다. 명두는 죽은 영혼이 아이라는 데서 생긴 명칭으로 보고 있으며, 그 어원을 손진태(孫晉泰)는 무조(巫祖)를 의미하는 몽고어 ‘밍두(mingdu)’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았다. 일반 무당은 몸주신의 말을 인간에게 전달할 때 자기의 음성으로 말하게 되지만 명두무당은 몸주신의 음성으로 말하게...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