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예탁결제원 KSD, 韓國預託決濟院국내 유일의 중앙예탁결제기관. 증권의 예탁과 증권거래에 따른 결제와 증권 발행 및 금융산업의 효율성을 위해 설립되었다. 주로 증권 등의 예탁, 증권 및 투자와 관련된 사무와 발행대행, 채권 등록, 각종 결제 업무, 증권대차거래 중개 등의 파생 서비스, 해외 증권기관과의 연계 서비스 등을 담당하고 있다. 설립 ...
- 설립 :
- 1974년 12월 6일
- 유형 :
- 기타공공기관
- 소재지 :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 사이트 :
- http://www.ksd.or.kr
-
한국예탁결제원 부산지원 韓國預託決濟院 釜山支院[설립 목적] 한국예탁결제원 부산지원(韓國預託決濟院釜山支院)은 「자본 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법률 제9408호, 2009. 2. 3] 제294조에 의거, 부산·경상남도 권역에 있는 투자자 및 주주들에 대한 증권 등의 집중 예탁과 계좌 간 대체, 매매 거래에 따른 결제 업무 및 유통의 원활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중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등록발행등록발행이란 채권을 실물발행(physical issue) 하지 않고 한국예탁결제원 등 등록기관이 관리하는 채권등록부에 채권자의 성명, 주소, 채권금액 등 권리내역을 등록(book-entry)함으로써 증서의 점유 없이도 채권자의 법적 권리를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채권자는 등록절차를 마침으로써 채권자로서의 권리가 확보되며...
-
분산원장기술 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Party)을 설립하고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예컨대 투자자들이 증권회사를 통해 거래하는 주식을 집중 ・ 관리하는 ‘한국예탁결제원’(KSD)이 곧 제3의 기관이다. 반면 분산원장기술에서는 다수 참여자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각각 분산보관(decentralized)하고, 거래할 때...
-
주식시장산출 기준이 되므로 코스피시장이라고도 한다. 한편, 주식이 장내시장에서 매매되기 위해서는 상장이라는 등록절차를 거쳐야 한다. 유통시장에서 투자자의 매매주문은 투자중개업을 영위하는 금융투자회사를 거쳐 한국거래소에서 체결되며, 이에 따른 결제는 매매일로부터 3일째 되는 날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이루어...
-
중앙예탁기관 CSD,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있도록 한다. 금융시장의 증권결제는 대부분 계좌대체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중앙예탁기관은 통상 증권결제시스템 운영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각국에서는 단일이나 소수의 중앙예탁기관이 증권의 예탁 및 결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동 업무를 수행하고...
-
증권대금동시결제 DVP, Delivery versus PaymentDVP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원금리스크를 제거하도록 권고하는 등 국제적으로 증권결제시스템이 준수해야 할 결제표준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내 주식거래와 장내국채 및 RP거래, 장외채권거래 등 주요 증권거래에 대하여 한은금융망과 한국예탁결제원의 증권결제시스템을 연계하여 DVP 방식으로 결제하고 있다...
-
청산 clearing해당된다. 증권결제의 경우에서도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증권의 매매사실을 확인하고 차감을 거쳐 최종 결제자료를 산출하는 과정을 청산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인터넷뱅킹, 어음 및 수표 등 소액거래에서는 금융결제원, 장내유가증권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 장외채권시장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청산기관 역할을...
-
중앙거래당사자 CCP, Central Counterpart파생상품 거래는 한국거래소가 중앙거래당사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장외거래의 경우 금융위원회로부터 금융투자상품거래청산업 인가를 받은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이 각각 장외파생상품거래(원화 이자율스왑거래)와 주식기관투자자거래(상장주식의 위탁매매거래)에 대해 각각 중앙거래당사자의 역할을 하고...
-
계좌대체변동 등을 감안하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중앙예탁기관의 계좌대체 방식으로 증권의 소유권을 이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한국예탁결제원이 계좌간 대체 방식으로 증권결제를 수행하고 있다. 계좌대체는 예탁자의 개별적 청구 또는 시장 참가자간의 사전 약정에 따른 결제기관의 청구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