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한총련, 韓國大學總..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은 1993년 결성된 각 대학 총학생 회장뿐만 아니라 단대 학생 회장까지 포괄하는 연합 조직으로 199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의 학생 운동 단체이다. 초기 한총련은 대학 내 문제와 더불어 민중 운동과 연대해 가면서 대중의 호응을 얻었으나, 1995년을 기점으로 강경 민족 해방(NL)파가 한총련의 중앙...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Hanchongny..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은 80년대 학생운동을 주도했던 전대협을 계승하여 1993년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학생운동단체이다. 표어는 1993년 창립시에는 '생활, 학문, 투쟁의 공동체'였으며 1995년에 '민족의 운명을 개척하는 불패의 애국대오'로 변경하였다. 1992년를 마지막으로 전대협은 발전적 해체를 선언하고 1993년 ...
    도서 위키백과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延世大学校
    기폭제가 되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 낸 대한민국 현대사의 분수령이 되었다. 1996년에 학부제 및 계열화를 실시하였다. 같은 해 8월에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이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제6차 8.15 통일대축전 및 범민족대회를 강행하여 원천봉쇄하려던 경찰과 충돌을 벌였고, 종합관과 과학관에서 8월 13일...
    도서 위키백과
  • 고려대학교 총학생회
    대표자협의회 민족해방 1992년 25대 허영(사회89) 허화영(산자89)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민중민주 1993년 26대 신창현(언어89) 김종대(산자90)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민족해방 1994년 27대 정재관(정외91) 정우성(전기공91)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민중민주 1995년 28대 정태흥(법학91) 김성회(지환91) 한국대학...
    도서 위키백과
  • 전국대학총학생회모임
    주변 연합기숙사 요구(김상민 의원실 주최)(‘12.11.22) 전총모 2기, 3기 공동 워크샵 진행, 여주 일성콘도(‘13.1.12 ~ 13) ‘대학생 3대 과제 이행 선포식’ 진행,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13.4.25) 3대 과제 1. 총학생회 비리 근절 2. 욕설 및 구타 등 악・폐습 근절 3. 올바른 음주문화 정립 출범준비위원회 1차 회의...
    도서 위키백과
  • 농촌활동 농활, 農村活動
    학생들의 사회체험을 넓혀주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농촌활동은 1990년대 들어서도 여전히 대표적인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이 되었다. 1993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이 주도한 여름 농촌활동에는 전국 142개 대학에서 사상최대 규모인 6만여명 학생이 참가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생들은 학생과 농민...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통일노래한마당 統一노래한마당
    제작 판매했고 1990년에는 3회 행사의 카세트테이프가 제작 판매 되었다. 1993년에는 4회까지의 수상곡을 모은 합법 음반이 제작되었다. 1993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출범 이후에도 행사가 계속되었으나 정부의 불허 등으로 인해 행사가 안정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했다. 행사내용 행사는 각 대학교 예선과 지역...
    시대 :
    현대
    유형 :
    의례·행사
    분야 :
    예술·체육/대중음악
  • 학생운동 學生運動, student political activism
    으로 여론이 악화되면서 학생운동의 열기는 식고 말았다. 전대협은 7기에 이르러 1993년 3월 경희대에서의 대의원 총회를 통해 전대협을 해체하고 ‘한국대학 총학생회연합(한총련) 건설 준비위원회’를 발족하기로 결의, 1993년 5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약칭 한총련)으로 재발족하였다. 그러나 전대협을 계승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사회/사회구조
  • 한민족 韓民族
    학생운동, 민주화운동, 노동운동의 인사들도 민족주의 담론을 풍부하게 하였다. 대표적인 사례가 1960년의 4월 혁명, 1987년의 6월항쟁, 1990년대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을 대표로 ‘민족통일’을 주창하던 반미운동 등이다. 2) 발전론적 민족주의 담론의 형성과 발전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은 밑으로부터 위...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현대사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全國大學生代表者協議會
    전국에 19개 지구를 두고 각 대학 총학생회장이 대의원이 되는 협의체였다. 1992년 ‘한총련 건설준비위원회’로 조직을 개편하여, 1993년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으로 재발족하였다. 기능과 역할 1987년 제1기부터 1991년 제5기에 이르기까지 1980년대 후반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을 선도하였다. 1988...
    시대 :
    현대
    설립 :
    1987년 8월 19일
    성격 :
    정치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92년
    분야 :
    역사/현대사
  • 서울대학교 ─大學校
    전시연합대학이 해체됨에 따라 부산에 본교를 설치하고 교육을 계속하였다. 피란기간에도 단과대학의 증설과 분화가 계속되어 1950년 9월 사립 서울약학대학을 약학대학으로 편입하고, 1953년 4월 예술대학의 음악부와 미술부를 각각 음악대학과 미술대학으로, 농과대학 수의학부를 수의과대학으로 개편하여 총 12...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 주사파 主思派
    전대협)을 결성했다. 전대협은 당시 한국사회 최대의 군중동원력을 가진 조직이었다. 대학생들의 전국적 조직으로서 전대협을 계승하여 결성된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도 주사파가 주도하는 조직이다. 학생운동권에서 주사파의 세력이 급속하게 성장하자 청년운동권 및 기타 성인운동권에서도 주사파의 영향력이...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정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