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계효용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의 소비를 한 단위 늘림에 따라 추가로 증가한 효용을 한계효용이라 한다. 한계효용은 총효용의 변화분을 소비량의 변화분으로 나눔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효용은 증가하지만, 한계효용은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한계효용과 한계비용19세기에는 수리경제학의 발달에 힘입어 '효용함수' 개념이 도입되었다. 효용함수는 재화나 용역의 사용량을 변수로 하는데, 특히 사용량의 마지막 1단위에 의한 효용증가분을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이라 한다. 또한 효용은 사람이 느끼는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한계값이 ...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관련어 한계효용) 限界效用遞減, law of di..한 재화의 소비량이 일정 단위를 넘어서면,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그 재화의 한계효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 어떠한 재화를 소비함에 있어 추가적으로 얻는 효용을 한계효용이라고 한다. 즉, 어떤 상품을 한 단위 더 추가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소비자가 얼마만큼 더 만족을 느낄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
-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Diminishing Marginal Uti..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어떤 재화의 소비를 늘릴수록 그 재화로부터 추가로 얻는 만족감, 즉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계효용이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한 재화를 추가로 소비했을 때 변화하는 만족감의 크기를 나타낸다. 해당 재화의 소비량을 늘릴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