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계효용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의 소비를 한 단위 늘림에 따라 추가로 증가한 효용한계효용이라 한다. 한계효용은 총효용의 변화분을 소비량의 변화분으로 나눔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효용은 증가하지만, 한계효용은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든다(한계효용체감의 법칙).
  • 한계효용 限界效用, marginal utility
    경제학자들은 가격이 부분적으로는 상품의 효용, 즉 소비자의 필요와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효용에 대한 이러한 정의를 실제 가격 관계에 적용하면 하나의 역설이 성립된다. 경제학자들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빵이 장신구에 불과한 다이아몬드보다 훨씬 큰 효용을 가졌음에도 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한계 효용 marginal utility
    재화의 소비량이 증가할 때의 추가 1단위당의 효용을 말하며, 재화의 소비량 증가와 함께 한계 효용은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한계 효용 이론이란 한계 효용이라는 개념과 관련하여 소비자 행동이나 상품의 가치를 해명하려는 이론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한계효용한계비용
    19세기에는 수리경제학의 발달에 힘입어 '효용함수' 개념이 도입되었다. 효용함수는 재화나 용역의 사용량을 변수로 하는데, 특히 사용량의 마지막 1단위에 의한 효용증가분을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이라 한다. 또한 효용은 사람이 느끼는 만족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한계값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한계효용 Marginal Utility
    소비자가 구매하는 여러 개의 재화들 중 다른 재화들의 소비량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단 한 재화의 소비량을 한 단위 더 변화시킬 때 변화하는 효용의 크기를 그 재화의 한계효용이라고 한다. 어떤 재화의 한계효용을 계산하고자 할 때 유의할 점은 한계효용을 측정하는 재화 외의 다른 재화들의 소비량은 불변으로 두어...
  • 한계효용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할 때 얻는 주관적인 만족을 효용이라고 한다. 한계효용은 재화나 서비스를 1단위 더 소비할 때 느끼는 만족감, 즉 효용의 변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재화의 소비량이 증가할 때 한계효용은 차츰 감소하는데, 이를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고센의 제1법칙)이라고 한다.
  • 한계효용 (관련어 한계 효용) Marginal utility, 限界効用
    한계효용(限界效用, Friedrich von; Der natürliche Werth [Natural Value] (1889), Bk I Ch V “Marginal Utility” .재화나 용역의 한계효용은 그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것을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변화한 가치의 양을 상정한 것인데 이런 변화에서 추가의 1단위 즉 경계인 단위에서의 재화나 용역의 효용...
    도서 위키백과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관련어 한계효용) 限界效用遞減, law of di..
    한 재화의 소비량이 일정 단위를 넘어서면,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그 재화의 한계효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 어떠한 재화를 소비함에 있어 추가적으로 얻는 효용한계효용이라고 한다. 즉, 어떤 상품을 한 단위 더 추가적으로 소비함으로써 소비자가 얼마만큼 더 만족을 느낄 수 있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 가치와 효용 價値, economic value and utility
    왔다. 특히 벤담의 공리주의 등에서는 가치를 현실생활에 종합 적용해 실리·복지 등의 개념을 제시되기도 했는데, 이를 개인에게 적용하면 경제학에서의 효용(utility)과 거의 동일한 의미가 된다. 효용이란 재화를 소비해서 얻는 주관적 만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경제학에서는 효용을 사람들이 자신의 행위를 평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경제학 經濟學, economics
    경제학은 크게 미시경제학(微視經濟學)과 거시경제학(巨視經濟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밖에 또 하나의 범주를 나눈다면 경제발전론 분야를 설정할 수 있다. 미시경제학은 소비자·기업·무역업자·농부 등 개별 경제주체들의 활동을 다루며, 거시경제학은 일국경제의 소득수준·총고용규모, 투자의 흐름 등 총체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한계효용균등법칙 限界效用均等法則, law of equi-marg..
    소비자가 주어진 소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극대화해 충족시키는 상태를 소비자균형이라고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법칙이 한계효용균등법칙이다. 소비자는 자신의 소득으로 최대의 효용을 얻기 위해 재화를 구매하게 된다. 이 때 소비자는 여러 재화 가운데서 가장 한계효용이 높은 재화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도서 다음백과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Diminishing Marginal Uti..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은 어떤 재화의 소비를 늘릴수록 그 재화로부터 추가로 얻는 만족감, 즉 한계효용(Marginal Utility)이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계효용이란 다른 모든 조건에 변화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한 재화를 추가로 소비했을 때 변화하는 만족감의 크기를 나타낸다. 해당 재화의 소비량을 늘릴수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한계효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