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강수타령 漢江水打令
    경기지방에 널리 알려진 민요.|내용 사설이 주로 하강의 역사, 자여느 선유, 애환 등을 있기 때문에 ‘한강수타령’이라고 한다. 유절 형식의 민요로 굿거리장단 4개가 한 절을 이루는데, 전반은 본곡, 후반은 후렴에 해당된다. 각 장단별로 사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절>한강수라/깊고 맑은 물에/수상선 타고...
    성격 :
    민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경기지방
  • 한강수타령
    경기 민요.|한강에서 뱃놀이를 하며 한강 언저리의 풍경을 노래한 유희요의 하나이다. 제창 부분의 가사가 "얼사함마 둥게 디여라 내 사랑아"로 끝나고 있으며 가락의 진행과 짜임새에서 비슷한 점이 많은 것으로 보아 황해도의 대표 민요인 난봉가 계통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흥겨운 굿거리 장단으로 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한강수타령 (관련어 한강 수타령) 漢江戀歌
    한강수타령》은 2004년 10월 2일부터 2005년 3월 27일까지 방영된 문화방송 주말연속극이다. 시장에서 생선장사로 일하는 억척스러운 아줌마 김영희 여사와 딸들의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고두심 : 엄마 김영희 여사 역 김혜수 : 큰딸 윤가영 역 김민선 : 둘째딸 윤나영 역 이윤지 : 조카딸 윤다영 역 최성준 : 조카 윤...
    도서 위키백과
  • 시흥시의 교육·문화·의료·복지
    군자봉전설>·<피흘리고개전설>·<장롱바위전설>·<포리의 걸뚝이야기> 등을 포함한 많은 전설과 설화가 전해지며, 민요로는 <노랫가락>·<창부타령>·<한강수타령>과 함께 모내기 때 부르는 <에헤요>·<얼소리> 등이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3개소, 병원 1개소, 의원 195개소, 요양병원 1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굿거리장단
    12/8박자이다. 승무나 한량무를 출 때 반주 음악도 굿거리장단에 맞춘 기악 합주이다. 굿거리장단이 쓰이는 음악으로는 민요가 많다. <창부타령>·<천안삼거리>·<늴니리야>·< 한강수타령>·<풍년가> 등이 유명하며 이외에도 셀 수 없이 많다. 기악 합주로 연주되는 굿 음악에도 굿거리장단을 많이 연주하는데 서울굿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음악
  • 베틀가
    부르는 이 노래는 한 절이 독창 두 장단(6/8박자로 치면 네 장단)과 제창 두 장단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간단한 노래이다. 음의 조직과 종지 형태는 〈한강수타령〉이나 경기도의 〈오돌독〉과 같은 경기 민요의 제2형에 들기 때문에 〈창부타령〉이나 〈도라지타령〉과는 느낌이 다르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베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경기민요 京畿民謠
    이나 <노랫가락>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서양음악식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솔 · 라 · 시 · 도 · 레로 불려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한강수타령>이나 <경복궁타령>에서처럼 라 · 도 · 레 · 미 · 솔로 부를 수 있는 곡들도 있다. 장단은 굿거리장단 · 타령장단 · 세마치장단이 많이 쓰이며, 흥겹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염계달 廉季疸
    경드름(京調)과 추천목이라고 불렀다. 경드름은 경기민요 「창부타령」·「도라지타령」과 같은 민요의 토리를 판소리화시킨 것이며, 추천목은 「한강수타령」·「오봉산타령」과 같은 민요의 토리를 판소리화시킨 것이다. 특히, 그는 「춘향가」중에서 십장가 대목을 잘하였는데, 그의 더늠으로 「춘향가」에서...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명창
    성별 :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신민요 新民謠
    초에 새롭게 창작된 민요들도 유행했다. 〈밀양아리랑〉·〈도라지〉·〈노들강변〉·〈천안삼거리〉·〈경복궁타령〉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방아타령〉·〈한강수타령〉·〈산타령〉·〈경복궁타령〉 등은 경기지방의 놀이패에 의해 공연됨으로써 유행했다. 1920년 이후에 새로 유행가가 등장해 신민요의 유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경기민요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京畿民謠
    선법의 관점에서 보면 두 가지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창부타령>이나 <노랫가락>처럼 '솔', '라', '도', '레', '미'로 노래되고, 나머지는 <한강수타령>이나 <경복궁타령>처럼 '라', '도', '레', '미', '솔'로 노래된다. 이 두 가지 선법 양상은 15세기 조선 왕조 성종 때에 편찬된 <악학궤법>에 나타난, 구성음이 '솔...
    문화재 지정 :
    1975.07.12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민요
  • 난봉가토리 반수심가토리
    배치기소리」, 통속민요에서는 「난봉가」계통소리(「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 등), 20세기 전반 「개성난봉가」, 「한강수타령」 등에 나타난다. 예전에는 서울, 경기음악에도 종종 나타났지만, 현재는 서도음악문화권과 단절되며 소멸하거나 경기화(반경토리로 변화)가 많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사랑가
    음악의 형식은 대체로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후렴구에 ‘내 사랑아’라는 말이 나온다. 황해도의 「난봉가」, 함경도의 「어랑타령」, 0의 「등가타령」, 경기도의 「한강수타령」, 제주도 성읍지방의 「사랑가」 등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제주도 성읍 지방에서 전승되고 있는 「사랑가」는 세마치 장단에 레(re...
    성격 :
    민요, 잡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한강수타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