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지영 ・ 김윤경 ・ 권덕규 말살되어가는 민족언어, 숭고한 희생으로 보존하다이는 일제의 민족말살 정책이 가속화 되던 시기에 민족 고유의 언어를 체계화한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나아가 한국인의 정체성과 민족성을 지켜낸 학술적 독립운동으로 볼 수 있다. 사회운동 참여와 조선어학회 사건 장지영은 언론과 사회운동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조선일보 부사장 신석우(申錫雨)와의 인연을...
- 출생 :
- 장지영 1887년, 서울김윤경 1894년, 경기권덕규 1891년, 경기
- 사망 :
- 장지영 1976년김윤경 1969년권덕규 1950년
- 포상훈격 :
- 장지영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김윤경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권덕규 2019년 건국훈장 애국장
-
진단학회 震檀學會식민사관과 관변적 학풍을 탈피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으나, 일제강점기는 물론 해방 이후 현재까지 대학 강단을 중심으로 넓은 인맥을 유지하고 그 학술적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설립목적 일제강점기 하에서 한국인 스스로 한국문화의 개척 · 발전 ·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연원 및...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경희대학교 慶熙大學校, Kyunghee University호응을 얻어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ㆍ대만ㆍ인도ㆍ홍콩ㆍ일본ㆍ콜롬비아ㆍ페루 등에 지부가 결성되었다. 경희대학교가 주최한 국내외 학술회의 중에서도 1968년의 세계대학총장회의(IAUP), 1973년과 1975년의 세계침구학술회의, 1979년 로마클럽과의 공동 심포지엄 등은 높은 학술적 평가를 받은 국제 학술회의였다. 특히...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서울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국제캠퍼스)
- 설립 :
- 1949년 5월
- 성격 :
- 고등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조영식(趙永植)
- 분야 :
- 교육/교육
-
움베르토 에코 Umberto Eco장미의 이름(Il nome della rosa)〉(1981) 발표 이후부터다. 〈장미의 이름〉은 14세기 이탈리아 수도원을 배경으로 한 추리소설이다. 신학적, 철학적, 학술적, 역사적 시각에서 ‘진실’을 탐구하는 이 소설은 40여 개국에 번역되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움베르토 에코 역시 소설가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 출생 :
- 1932년 1월 5일
- 사망 :
- 2016년 2월 19일
- 국적 :
- 이탈리아
- 대표작 :
- 〈장미의 이름〉, 〈푸코의 진자〉, 〈열린 작품〉, 〈일반 기호학 이론〉 등
-
사스로 인해 취소된 의학 학술 행사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다른 사람의 연구 결과를 들으며 학문의 깊이를 더해 간다. 지금은 각 나라에서 분야별로 그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학회를 결성하고 학술 행사를 하는 일이 시도 때도 없이 벌어지고 있다. 정보기술이 발전하여 시간과 공간의 경계가 무너져가는 지금도 학문적 지식의 교환은 학문 발전에 빠질...
-
야학 사설강습소, 夜學학생단체나 종교단체에서 근로청소년 · 극빈아동 등을 대상으로 야학을 실시해 오고 있다. 설립 초기인 일제강점기에는 사설의 경우 공식명칭을 사설학술강습회라 하였다. 이 강습회의 법적 통제는 1913년에 공포된 「사설학술강습회에 관한 건」에 따라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사설학술강습회는 주로 밤에 실시되었기...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한국학술진흥재단 한국학술재단, 韓國學術振興財團연원 및 변천 「한국연구재단법」에 의거하여 △과학기술분야를 지원하던 한국과학재단(1977년)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분야를 지원하던 한국학술진흥재단(1981년)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을 지원하던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2004년)이 통합되어 2009년 6월에 새롭게 출범한 국가대표 연구지원전문기관이다. 설립목적...
- 시대 :
- 현대
- 위치 :
-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201,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25
- 설립 :
- 2009년 6월 26일
- 성격 :
- 연구지원전문기관, 준정부기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