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피바다
    1971년 피바다가극단이 1936년 8월 김일성이 처음 공연했다는 작품을 현대적 양식으로 재창작한 가극.|내용 작품 「피바다」는 김일성이 항일무장혁명투쟁 시절이었던 1936년 8월 ‘혈해’라는 제목으로만주 만강부락에서 처음 공연한 것으로 1971년 피바다가극단에서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창작하여 무대에 올린 가극...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피바다
    피바다는 북한이 자랑하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대표작으로서 〈꽃 파는 처녀〉·〈한 자위단원의 운명〉과 함께 3대 혁명대작으로 꼽힌다. 무송현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조선인민혁명군 주력부대가 1936년 8월 하순 장백지구로 진출하는 노정에 들른 무송현 만강 부락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1930년대 북간도지방을 배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피바다 Sea of Blood, 血海 (歌剧)
    피바다(Sea of Blood)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혁명가극이다. 북한 영화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스톡홀름 피바다 Stockholm Bloodbath, ストックホルムの血浴
    스톡홀름 피바다 또는 스톡홀름 대학살은 1520년 11월 7일부터 11월 9일까지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이끄는 덴마크 군대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스웨덴인들을 학살, 숙청한 사건이다. 칼마르 동맹의 지배를 받고 있던 스웨덴에서는 자유 선거를 통해 스웨덴의 섭정으로 임명된 스텐 스투레 덴 윙레(Sten Sture...
    도서 위키백과
  • 피바다가극단 血の海歌劇団, 血海歌剧团
    피바다가극단(피바다歌劇團, The Pibada Opera Troupe, Sea of Blood Opera Company)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공연예술 단체이다. 1946년 창단된 북조선가극단이 1971년에 혁명가극 '피바다'를 초연하면서 현재의 명칭으로 재창단되었다. 재창단 당시 북조선가극단 외에 국립가무단과 방송음악단이 흡수...
    도서 위키백과
  • 피바다 학생 전문공작소
    피바다 학생 전문공작소는 1990년대에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웹사이트이다. 웹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인 조경규와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바다 이 두 사람에 의해 꾸려진 사이트이다. 이들은 1992년 피바다학생회를 결성하여 오프라인으로 작품활동을 하다가 1996년 무렵 온라인에 공개하였다. 대한민국의 초기 인터넷 문화...
    도서 위키백과
  • 투르쿠 피바다 Åbo Bloodbath
    투르쿠 피바다는 1599년 11월 10일 당시 스웨덴령이었던 핀란드 투르쿠에서 칼 아브 쇠데르만란드 공작의 반대파 귀족 14인이 공개처형된 사건이다. 칼 공작은 시기스문드 폐위전쟁의 막바지 전투인 스통게브로 전투에서 승리해 승기를 잡고 핀란드에 상륙하여 핀란드의 잔여 시기스문드파를 분쇄했다. 핀란드의...
    도서 위키백과
  • 피바디상 Peabody Awards
    피바디상은 1993년에 탄생한 상으로, 방송매체의 공익분야 기여를 장려하기 위해 탄생했다. 매년 텔레비전, 케이블방송, 라디오 등을 포함한 전자미디어 부문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인 개인에게 상이 수여된다. 2001년에 홍현진PD가 KBS 1TV에서 연출한 ‘그 오두막엔 여든네 살 청년이 산다’가 국내 최초로 피바디상...
  • 가극무용 歌劇舞踊
    개설 절가화(節歌化)된 노래, 방창과 관현악, 아름답고 고상한 민족무용과 흐름식 입체미술로 엮어진 새로운 혁명가극의 창조는 ‘피바다’식 가극무용의 탄생과 완성을 이루었다. 이는 문학예술을 주체의 요구에 맞게 철저히 혁명화할 데 대한 당의 문예방침에 따른 결과였으며, 노동계급을 혁명적 세계관으로 무장시켜...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피바다식 가극
    약 6년간 음악인·미술가·무용가·연극인 등이 모여 집단적으로 연구한 결과 창안되었고, '피바다식 가극'이라는 용어는 1971년에 창작된 가극 〈피바다〉로부터 가져왔다. 주체를 세우기 위해 민족적 형식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것, 당성·노동계급성·인민성의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 사상성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꽃 파는 처녀
    1970년대에 재제작된 같은 이름의 영화·가극·소설을 가리키기도 한다. 북한이 자랑하는 항일혁명문학예술의 대표작으로서 〈피바다〉·〈한 자위단원의 운명〉과 함께 3대 혁명대작으로 꼽힌다. 이 작품은 일제 식민통치 하에 착취당하는 민중의 생활상과 당대의 사회적 모순을 주인공인 꽃분이가 혁명적 세계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극
  • 꽃파는처녀
    내용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는 김일성 주석이 ‘항일혁명투쟁시기’인 1930년에 직접 창작하였다고 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으로 「피바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과 함께 3대 고전으로 불린다. 1930년 가을 오가자에서 공연한 것을 1972년 만수대예술단에서 ‘「피바다」식 혁명가극’으로 재창작하였다...
    시대 :
    현대
    저작자 :
    만수대예술단
    창작/발표시기 :
    1972년
    성격 :
    혁명가극(북한식 오페라)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피바다 가극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