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망고 芒果, mango원산지 망고(mango)는 한국 사람들이 유난히 좋아하는 열대과일 중 하나로, 인도 북부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에 이르는 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재배지·판매 인도에서는 4천 년 이상 전부터 재배되었고 불교 경전에도 망고라는 이름이 보인다. 인도에서는 민속행사와 종교의식에 망고를 쓰고 있으며, 부처가 망고...
- 분류 :
- 옻나무과(Anacardiaceae)
- 원산지 :
- 인도 북부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에 이르는 지역
- 학명 :
- Mangifera indica L.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씨, 나무껍질, 잎, 꽃
- 외국어명 :
- manguier〈프랑스어〉, mango〈이탈리아어〉, mango〈스페인어〉, mangga〈필리핀어〉, mamuang(마무앙)〈타이어〉, manga〈인도네시아어〉, manga〈말레이어〉, マンゴ(망고)〈일본어〉
-
파파야 파우파우, papaya원산지 파파야(papaya)는 중미와 남미가 원산지다. 재배지·판매 동남아 지역이나 중국의 남부지방을 가보면 길거리에 주렁주렁 열매가 달려 있는 파파야나무를 쉽게 볼 수 있다. 일본 남부 지역의 식물원에도 어디나 파파야를 재배하고 있어 일본에서는 생각보다 대중적인 열대식물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 분류 :
- 파파야과(Caricaceae)
- 원산지 :
- 중미와 남미 지역
- 학명 :
- Carica papaya L.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잎
- 외국어명 :
- papaia〈이탈리아어〉, higo de mastuero〈스페인어〉, papaya〈필리핀어〉, malako(말라꺼)〈타이어〉, papaya〈인도네시아어〉, papaya〈말레이어〉, パパイア(파파이아), パパイヤ(파파이야)〈일본어〉
-
귤 橘, mandarin원산지 일반적으로 먹는 귤인 Citrus reticulata는 중국 남부, 필리핀, 인도차이나 북부지방을 포함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재배지·판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대량 재배하고 있다. 식물 귤은 운향과에 속하며 학명은 Citrus reticulata로서 열매를 식용한다. 다양한 귤 종류 귤을 한방에서 부르는 다양한...
- 분류 :
- 운향과(Rutaceae)
- 원산지 :
- 중국 남부, 필리핀, 인도차이나 북부지방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 학명 :
- Citrus reticulata Blanco Citrus unshiu Marcorvich(귤나무) Citrus aurantium Linné subsp. amara Engler(광귤나무)
- 본초명 :
- 감귤(柑橘), 귤핵(橘核), 등피(橙皮), 지각(枳殼), 진피(陳皮), 청피(靑皮)
- 종류 :
- 귤류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과일껍질, 잎, 씨, 뿌리
- 외국어명 :
- mandarinier〈프랑스어〉, mandarino〈이탈리아어〉, mandarino〈스페인어〉
-
아보카도 식물 아보카도, avocado원산지 아보카도(avocado)는 중남미 지역이 원산지이다. 재배지·판매 멕시코는 세계 최대의 아보카도 재배국이다. 농수산물 유통정보 자료에 따르면 세계의 아보카도 재배 면적은 약 38만ha 규모인데 2005년의 멕시코 아보카도 재배 면적은 10만 2천ha로 세계 재배 면적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는 제주도 서귀포...
- 분류 :
- 녹나무과(Lauraceae)
- 원산지 :
- 중남미 지역
- 학명 :
- Persea americana Miller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 잎, 씨, 가지, 수피
- 외국어명 :
- avocato〈이탈리아어〉, aguacate〈스페인어〉, adukado〈필리핀어〉, alpuket, advokat〈인도네시아어〉, alpuket, advokat〈말레이어〉, アボカド(아보카도)〈일본어〉
-
용안 龍眼, longan원산지 용안(龍眼)나무는 중국 남부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재배지·판매 동남아와 중국의 광시(廣西)성, 푸젠(福建)성, 광둥성, 쓰촨(四川)성, 타이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된다. 중국의 식품매장 어디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으며 겨울철에도 말린 용안을 상점에서 판다. 식물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며 학명은...
- 분류 :
-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원산지 :
- 중국 남부 지역
- 학명 :
- Dimocarpus longan Lour.이명 : Euphoria longan Steud., Euphoria longana Lamk., Nephelium longana Cambess.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씨, 뿌리, 나무껍질, 꽃, 잎
- 외국어명 :
- dragon’s eye〈영어〉, longán〈스페인어〉, klengkeng〈인도네시아어〉, klengkeng〈말레이어〉, lamyai(람야이)〈타이어〉, リュウガン(류간)〈일본어〉
-
바나나 香蕉(향초), banana원산지 바나나(banana)의 기본 야생종인 Musa acuminata는 미얀마에서 파푸아뉴기니에 이르는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이 원산지이다. 그리고 Musa balbisiana는 동남아시아 및 스리랑카에서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계절풍 지역이 원산지로서, 인류는 이들 잡종 또는 기본종을 오랫동안 재배해왔다고 고려대 김기중...
- 분류 :
- 파초과(바나나과, Musaceae)
- 원산지 :
- Musa acuminata : 미얀마에서 파푸아뉴기니에 이르는 동남아시아의 열대우림 Musa balbisiana : 동남아시아 및 스리랑카에서 필리핀에 이르는 동남아시아 계절풍 지역
- 학명 :
- Musa acuminata x Musa balbisiana Colla (= M. paradisiaca Linné)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잎, 뿌리, 꽃
- 외국어명 :
- banano〈이탈리아어〉, banano〈스페인어〉, saging〈필리핀어〉, kluay(끄루아이)〈타이어〉, pisang〈인도네시아어〉, pisang〈말레이어〉, バナナ(바나나)〈일본어〉
-
타마린드 tamarind, tamarinier〈프랑스어〉원산지 타마린드(tamarind)는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특히 태국의 상점 곳곳에는 타마린드가 거의 진열되어 있을 정도로 많다. 재배지·판매 아프리카를 원산지로 인도, 동남아시아, 미국 등의 아열대지방 및 열대지방에 걸쳐 재배되고 있다.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 분류 :
- 콩과-실거리나무아과(Fabaceae-Caesalpinioideae)
- 원산지 :
- 열대 아프리카
- 학명 :
- Tamarindus indica L.이명 : Tamarindus occidentalis, Tamarindus officinale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
- 외국어명 :
- indian date〈영어〉, tamarindo〈스페인어〉, sampalok〈필리핀어〉, makham(마캄)〈타이어〉, asam〈인도네시아어〉, asam〈말레이어〉, タマリンド(타마린도)〈일본어〉
- 참고 :
- 과명 해설 : 과의 범위는 가장 최근의 APG(피자식물 계통연구 그룹) 시스템을 기준으로 채택하여 콩과는 Fabaceae로 채택하고 있으나 기존의 Leguminosae도 사용 가능하다.
-
호박 南瓜, pumpkin원산지 호박(pumpkin)은 북아메리카 멕시코가 원산지로 추정된다. 고려대 김기중 교수는 '호박 속은 박과의 다른 재배 작물과는 달리 모두 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주로 재배되는 3종 중 애호박(Cucurbita pepo)은 멕시코 북부 및 미국 남서부 지역이 원산지로 아열대성-온대성이며...
- 분류 :
- 박과(Cucurbitaceae)
- 원산지 :
- 북아메리카 멕시코(추정)
- 학명 :
- Cucurbita moschata Duchesne이명 : Cucurbita pepo Linnaeus var. moschata (Duchesne) Duchesne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열매껍질, 꽃, 잎, 덩굴
- 외국어명 :
- squash〈영어〉, zucca moscata〈이탈리아어〉, calabaza moscada〈스페인어〉, kalabasa〈필리핀어〉, fak thong(팍텅)〈타이어〉, labu kuning〈인도네시아어〉, labu kuning〈말레이어〉, カボチャ(가보챠)〈일본어〉
-
무화과 無花果, fig tree원산지 무화과(無花果)는 지중해 동부 지역이 원산지며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이다. 재배지·판매 오늘날에는 세계의 모든 온대 지역에서 재배된다. 식물 뽕나무과에 속하며 학명은 Ficus carica로서 열매를 식용한다. 식욕부진, 장염, 이질에 효과 한방에서 무화과 열매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을 맑게 하며, 옹저...
- 분류 :
- 뽕나무과(Moraceae)
- 원산지 :
- 지중해 동부 지역
- 학명 :
- Ficus carica L.
- 활용부위 :
- 식용 : 과일약용 : 뿌리줄기, 뿌리, 잎
- 외국어명 :
- fico〈이탈리아어〉, higo, higuera〈스페인어〉, イチジク(이치지쿠)〈일본어〉
-
용과 피타야, 龍果원산지 용과(pitaya, dragon fruit)의 원산지는 멕시코 및 과테말라이다. 재배지·판매 열대지방에 분포하는 삼각 선인장의 일종으로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 타이완과 이스라엘에서도 많이 재배한다.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도 재배되기 시작했다. 제주도의 농장에서는 7월 말부터...
- 분류 :
- 선인장과(Cactaceae)
- 원산지 :
- 멕시코 및 과테말라
- 학명 :
- Hylocereus undatus (Harworth) Britton & Rose
- 활용부위 :
- 식용 : 열매약용 : 꽃, 줄기
- 외국어명 :
- pitaya〈영어〉, pitaya〈이탈리아어〉, pitaya〈스페인어〉, kaewmungkorn(깨우망껀)〈타이어〉, ピタヤ(피타야), ドラゴンフルツ(도라곤후루츠)〈일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