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퓨니코드 Punycode애플리케이션 다국어 도메인 이름(IDNA: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 in Application)의 기반하에 다국어 도메인이 아스키(ASCII)로 변환(encoding)된 구문. 국제 인터넷 표준 RFC 3492에 정의되어 있다. 다국어 문자셋으로부터 온 코드들을 기본적인 문자열(영숫자, 하이픈)들로 유일하게 표현한 것이다. IDNA는 다...
-
Punycode 퓨니코드Punycode is a way to represent Unicode with the limited character subset of ASCII supported by the Domain Name System. For example "München" (German name for the city of Munich) would be encoded as "Mnchen-3ya".Punycode is intended for the encoding of labels in the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s...출처 영어 위키백과
-
한글 도메인 Hangul domain준용하고 있다. 다국어 도메인을 지원하지 않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별도의 보조 프로그램인 인코딩 플러그인(plug-in)이 필요하며, 한글 도메인 정보가 들어 오면 영어, 숫자, 하이픈(-)으로 이루어진 퓨니코드(Punycode)로 변환된 후 서버에 전달된다. 인코딩 플러그인은 한국 인터넷 정보원(KISA)에서 배포하고 있다...
-
국제화 도메인 네임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 国際化ドメイン名클라이언트에서 문자열을 기존의 표준에 맞게 변환해서 전송하는 방식을 IDNA(Internationalizing Domain Names in Applications)라 한다. 2002년에 IDNA를 퓨니코드라는 코드 변환방식을 이용하기로 한 표준안을 만들었다. 2003년에는 이와 관련한 RFC 표준문서들을 IETF이 최종 작성하였으며, ICANN의 관리하에 각...도서 위키백과
-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Internationalized country code ..국제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 59개가 있으며, 그 중 적어도 47개가 사용 중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900,000개 이상의 도메인 이름을 보유한 .рф(러시아)이다. .tw(타이완)의 경우 약 500,000개, .cn(중국)의 경우 200,000개 이상이다. 인터넷 최상위 도메인 목록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퓨니코드 ccTLD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