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풍수해 風水害부산 지역의 강풍과 호우, 태풍 등으로 일어나는 재해. [개설] 풍수해(風水害)는 태풍 및 강풍에 의한 재해, 홍수 등 물에 의한 재해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풍수해는 주로 강수가 집중되는 여름에 발생하며, 장마 때 내리는 집중 호우로 수해와 태풍에 의한 풍해(風害)와 수해(水害)를 입는 것이다. 풍해와 수해를 ...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재해위험 개선사업지구재해위험 개선사업은 상습적으로 풍수해 등이 발생하는 지역을 근원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며,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지정하는 지역이 재해위험 개선사업지구이다.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에 의하면, 재해위험 개선사업지구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자연재해위험 개선...
- 유형 :
- 지역 ・ 지구 등
- 관련법령 :
-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제4조,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제5조,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제6조, 「재해위험 개선사업 및 이주대책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5조
-
물홍수, 1936년 병자년 홍수는 20세기 초반의 기록적인 대수해였다. 최근 30년 동안 있었던 수해도 대부분이 태풍에 수반된 강풍과 다우에 의한 풍수해가 대부분이었다. 풍수해가 컸던 해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1959년 태풍 사라호(Sarah號)에 의한 풍수해 ② 1960년 태풍 카멘호(Carmen號)에 의한 풍수해 ③ 1962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재해대책위원회 災害對策委員會소관 등으로 각 부처별로 난립되어 협조와 조정이 어려웠고, 국가가 종합적인 방재 기본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의무 조항 등도 부재했다. 이에 1967년 1월 풍수해대책법안을 제정하고 같은 해 7월에는 이 법의 제3조의 10조에 의거한 방재 조직이 설치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재해대책위원회의 시초이다. 역할 중앙재해...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관청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자연재해위험지구조수 ・ 대설 ・ 낙뢰 ・ 가뭄 ・ 지진(지진해일 포함) ・ 황사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풍수해 「자연재해대책법」 에 의한 풍수해는 태풍 ・ 홍수 ・ 호우 ・ 강풍 ・ 풍랑 ・ 해일 ・ 조수 ・ 대설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자연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를 말한다...
- 유형 :
- 지역 ・ 지구 등
- 관련법령 :
-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 「자연재해대책법」 제15조, 「자연재해대책법」 제25조의3,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8조, 「자연재해대책법 시행령」 제22조의2,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