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풍물 風物풍악에 쓰이는 기물(器物). 악기 내용 풍물의 ‘풍(風)’에는 ‘풍류(風流)’·‘풍장’에서와 같이 음악이라는 뜻이 있다. 따라서 풍물은 음악하는 물건, 즉 꽹과리·징·장구·북을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다. ‘풍물친다’·‘풍장친다’는 말은 모두 농악기를 두드리며 노는 것을 뜻하고, 풍물굿 역시 농악기를 가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톈진 이탈리아 풍물 거리 이탈리아 조계 구역이 카페촌으로 변신톈진은 프랑스, 영국, 러시아를 비롯한 8개국의 조계지였다. 도심에 당시 건축물이 많이 보존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1902년부터 1946년까지 이탈리아의 조계 구역이었던 이곳이 이국적 색채가 가장 농후하다. 원형의 마르코 폴로 광장(马可波罗广场)을 중심으로 멋진 레스토랑과 카페가 밀집한 보행가가 이어진다. 노천...
- 위치 :
- 天津市 河北区 胜利路 与自由道交口
- 요금 :
- 무료
- 가는 법 :
- 지하철 2호선 젠궈다오(建国道) 역 하차, B 출구에서 도보 10분. / 8, 634, 638, 645, 663, 672번 버스 타고 이스펑징취(意式风情区) 정류장 하차.
- 이용 시간 :
- 24시간
-
안성 남사당 풍물놀이 安城 南寺黨 風物놀이증언은 이러하다.“원 남사당은 무동아이들이 소고를 들고 여럿이 나와 춤추고 노래하는 형태였고, 구경꾼들을 모이게 하려고 사물악기를 쳤으나 본격적인 풍물을 놀지는 않았으며, 걸립을 다니지도 않았다. 이러한 원 남사당은 60∼70년 전에 없어지고 그 이후에 나온 것이 ‘낭걸립’이다. 안성 개다리패 즉, 바우덕이...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풍물차비 풍물차비기생(風物差備妓生), 風物差備내용 풍물차비는 조선 후기 궁중 연향을 행할 때에 악기를 연주한 여성 음악인을 말한다. ‘풍물차비기생(風物差備妓生)’ 또는 ‘풍물잽이’라고도 하였다. 관현맹인(管絃盲人)과 함께 주로 장악원(掌樂院)의 악공(樂工)이나 악생(樂生)이 참여할 수 없는 내연(內宴)에서 음악을 연주하였다. 조선조에는 궁중에서 연향...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파주교하두레풍물 坡州交河─風物구성 및 형식 파주교하풍물은 지리적으로 삼각지에 위치해 있어 토양이 기름지고 풍부하여 농경문화가 발달된 파주 교하 지역에서 발전한 풍물이다. 교하두레풍물의 기본적인 앞 치배는 두레기, 영기, 태평소, 꽹과리, 제금, 징, 북, 장구, 소고 등의 순서로 다른 지역과 달리 태평소와 제금이 치배로 구성되며 다음에...
- 성격 :
- 농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경기도 파주시 교하면
-
경기도 풍물장단 京畿道 風物長短한강 이남의 경기남부에는 남사당패의 영향을 받은 풍물굿이 전승되고 있으며 그 영향이 충청도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와 충청도를 묶어 웃다리풍물이라고 부른다. 웃다리풍물굿의 가장 대표적인 장단은 길군악 칠채이다. 길군악은 지역마다 다른 장단을 연주하기 때문에 지역성을 살펴보기에 가장 적절한 장단...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안산와리풍물 와상농악(瓦上農樂), 安山瓦里風物구성 및 형식 안산와리풍물의 판굿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짜여졌다. 1) 잽이모으기, 2) 마당밟기 (오방진), 3) 돌림버꾸, 4) 쩍쩍이굿, 5) 당산벌림, 6) 쌍줄백이, 7) 인놀음, 8) 멍석말이, 9) 사통백이, 10) 가새치기, 11) 마당씻기, 12) 인사굿. 내용 와리풍물은 와동을 예전에 와리 또는 와상리라고 불러서 유래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다롄 러시아 풍물 거리 러시아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거리이 거리는 승리교(胜利桥, 성리차오) 서북 지점에 위치했다. 본래 이름은 퇀제제(团结街)인데, 100년 이상 된 러시아 건물 38동이 보존되어 있어 러시아 풍물 거리라고 부른다. 500m 남짓 일직선으로 뻗은 거리를 따라 알록달록한 러시아식 건물이 이어진다. 대부분의 건물은 기념품 판매점이 입점해 있거나 바(bar)로...
- 위치 :
- 大连市 西岗区 团结街
- 가는 법 :
- 다롄 역에서 13번 버스 또는 201번 전차 타고 성리차오(胜利桥) 정류장 하차, 승리교 건너서 다롄 부용 국제 주점(大连芙蓉国际酒店) 방면으로 도보 5분.
-
용인서천리풍물구성 및 형식 용인서천리 풍물은 판굿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는 인사굿 – 당산벌림 – 법구놀이 – 좌우치기 – 오방진칠채 – 사통백이 – 법구놀이 – 가새벌림 – 쩍쩍이 – 풍년가락 – 무동놀이의 순으로 구성된다. 또한 두레싸움은 조우(遭遇) - 두레 쌍무 – 합굿(12마당놀이) - 형제의 예우(기 세배) - 서낭제...
- 성격 :
- 농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경기도 용인시 서천리
-
팔도풍물시집 八道風物詩集석굴암 관음상」·「만월대」·「낙화암」 등 총 24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 시집의 내용상 특징은 서울·경주·송도·해금강 등 전국의 명승지와 풍물을 둘러본 느낌을 노래하고 있는 점이다. 수록된 시들은 대체로 회고적 정서와 상실감을 그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남한산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임학수
- 창작/발표시기 :
- 1938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인문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