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임금 관련 노무상담, 평균임금은 왜 계산하는 건가요 (관련어 평균임금)평균임금은 말 그대로 근로자가 평균적으로 받아온 임금을 뜻합니다. 평균임금 역시 법에서 정한 개념으로 법에서 계산 방법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정해진 대로 계산해야 합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정의) ⑥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
-
주요 임금제 및 임금의 종류 (관련어 평균임금)최저임금제 국가가 근로자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매년 물가를 반영해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그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으로 강제하는 제도. 2017년 6470원, 2018년 7530원. 호봉제 근무기간을 기본으로 근속연수나 연령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호봉으로 책정해 임금을 지급하는 방식. 직무급제 ...
-
-
‘난쟁이 행렬’과 임금 통계의 함정매달 발표하는 임금 통계를 두고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는 100만원 언저리 월급을 받는 사람들도 많은데 정부가 발표하는 근로자 평균 임금은 300만원을 훌쩍 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통계의 함정이 있다. 네덜란드 경제학자 얀 펜은 ‘난쟁이 행렬’이란 방식으로 직장인 평균 월급을 분석했다...
-
퇴직 관련 노무상담, 퇴직금은 얼마나 되나요회사가 항상 정확하게 퇴직금을 계산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적으로 퇴직금에 포함해야 할 수당이 있는데 이를 제외했을 수도 있습니다. 퇴직금은 1일분 평균임금에 근속 기간(30×재직연수)을 곱해 계산하기 때문에 평균임금으로는 경미한 차이라도 곱해지는 숫자가 많아지면 총액으로는 꽤 큰 차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
임금 賃金모든 재화를 화폐가치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임금은 명목임금과 실질임금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정한 범위내의 노동자들의 평균임금을 임금수준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임금수준은 그 분석목적에 따라 명목임금을 물가지수로 나눈 실질임금, 명목임금을 생계비를 기준으로 본 실질임금, 그리고 부가가치 총액에...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경제
-
노동과 임금의 분배임금기금의 규모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되지만 주어진 시기에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총기금을 노동자 수로 나누면 곧바로 평균임금이 도출된다. 결국 임금을 인상하려면 임금기금이 증대되거나 고용노동자 수가 감소하게 되는 2가지 방법밖에 없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리카도나 밀 등은 임금기금을 노동자에게...
-
국제 동일임금의 날 국제 평등임금의 날, International Equal..여성 및 소녀에 대한 차별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차별에 반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유래와 역사 대부분의 지역에서 여성의 임금이 남성에 비해 적고 그 격차는 평균적으로 20%에 달한다. 양성평등의 원칙에는 합의하는 사람이 많지만 그것이 제대로 실천되지는 못하고 있다. 또 청년과 장애인들 역시 자신들의...
- 분류 :
- 기념일, 비공휴일
- 시행일 :
- 1996년
- 날짜 :
- 매년 9월 18일
- 제정처 :
- 국가임금평등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