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원제전집도서과평 禪源諸詮集都序科評그가 쓴 책으로는 『설암잡저』, 『설암선사난고』, 『선원제전집도서과평』, 『법집별행록절요사기』 등이 있다. 서지사항 『선원제전집도서과평(禪源諸詮集都序科評)』은 2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안도 영변 묘향산 보현사에서 1740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편찬 및 간행경위 1737년(영조 12) 청월 국선(淸月...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동유사서해집평 사서집평, 東儒四書解集評내용 6권 3책. 편찬 연대는 1792년(정조 16) 경으로 보이며, 간행 연대는 이보다 훨씬 뒤인 것으로 추측된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연구(柳淵龜) · 유연창(柳淵昌)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대학』 경1장(經一章)에서 5장까지, 권2는 6장에서 끝장까지, 권3...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
외평 外評시대의 해석은 조선 후기에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이를 헌관(憲官), 곧 지방 관료들을 규찰하는 관직으로 본 것이 거의 유일하다. 그러나 이것은 ‘평(評)’의 한자 뜻을 토대로 추론한 것에 불과하므로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평은 6~7세기 무렵 고구려는 물론 신라와 일본에서도 지역 구획에 대한 단위명...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행정구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내평 內評시대의 해석은 조선 후기에 안정복이 『동사강목』에서 이를 헌관(憲官), 곧 중앙 관료들을 규찰하는 관직으로 본 것이 거의 유일하다. 그러나 이것은 ‘평(評)’의 한자 뜻을 토대로 추론한 것에 불과하므로 그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다. 평은 6~7세기 무렵 고구려는 물론 신라와 일본에서도 지역 구획에 대한 단위명...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행정구역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이견대가 이견대, 利見臺歌구성 및 형식 원사(原詞)는 전하지 않으며, 제목과 전하는 이야기와 평(評)이 『고려사(高麗史)』 권71 악지(樂志) 삼국속악(三國俗樂) 신라조에 전하고, 그 내용이 축약되어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내용 및 평가 『고려사』에 실린 제목은 ‘이견대(利見臺)’이며, 『증보...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신라시대
- 성격 :
- 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최승로상서문 崔承老上書文구성 및 형식 상서문 첫머리에는 상서문을 올리는 이유가 실려 있다. 본 내용은 성종 이전의 5대(태조·혜종·정종·광종·경종)의 치적평(治績評)과 시무 28조(時務二十八條)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982년(성종 1) 6월 성종은 경관(京官) 5품 이상자들에게 각각 봉사(封事)를 올려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게 하였다...
- 시대 :
- 고려전기
- 저작자 :
- 최승로
- 창작/발표시기 :
- 982년
- 성격 :
- 상서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국조시산 國朝詩刪시들을 시대순으로 배열하였다. 각각의 시 작품 별로 저자의 약력(略歷)을 기재한 다음 시제(詩題)와 시 본문의 순으로 배치하고, 시마다 ‘비(批)’와 ‘평(評)’을 붙였다. ‘비’는 주로 개별 작품의 전체적인 감상평이나 배경을 언급하고 있으며, ‘평’은 특정 구절의 감상평을 주로 언급하였다. 권 1에는 오언절구...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고산구곡도 高山九曲圖고산구곡시화도 병풍(국보, 1987년 지정)이 있는데, 1803년(순조 3) 노론계의 사대부, 문인, 화가 등 총 21명이 발(跋)·제(題)·시(詩)·서(書)·화(畵)·평(評) 등을 맡아 제작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고산구곡도」는 계회도 등과 함께 우리나라 초기 실경산수화 발전의 예가 되며, 노론 성리학자들의 결속을 다지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간이집 簡易集공사(控辭) 2편, 투진(投進) 1편, 표전(表箋) 23편, 정서(呈書) 1편, 게첩(揭帖) 1편, 요송(謠誦) 2편, 제문 11편, 상량문 1편, 격(檄) 1편, 책(策) 1편, 평(評) 1편, 설 1편, 비(碑) 2편이 실렸다. 권2에는 신도비 7편, 묘지 3편, 묘갈 14편, 기 8편이, 권3에는 서(序) 39편, 지(識) 8편, 발 11편, 권4에는 사행문록...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