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편강렬 애사, 片康烈
    1892년 2월 28일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봉서면(鳳西面) 현죽리(玄竹里)에서 부친 편상훈(片相勳)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절강(浙江)이다. 호는 애사(愛史)이고, 편강우(片康宇)라는 이명을 사용하였다. 부친은 종6품 궁내부 비서원승을 지냈으며, 국운이 기울어가자 연백군에 양진의숙(養眞義塾)을 개설하여 ...
    출생 :
    1892년 2월 28일, 황해 연백
    사망 :
    1929년 1월 16일
    관련 사건 :
    신민회, 105인사건
    본관 :
    절강(浙江)
    주요활동 :
    1907년 의병에 참가, 이강년 의병부대에서 활동, 1910년 신민회 가입, 105인 사건으로 옥고, 1914년 대한광복회 가입, 1920년 구월산주비단 조직, 임시정부를 위한 군자금모집 활동을 하다가 체포, 1923년 중국에서 의성단 조직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의성단, 구월산주비단
  • 편강렬 애사(愛史), 片康烈
    일제강점기 105인 사건, 구월산주비단사건 등과 관련된 독립운동가.|개설 호는 애사(愛史). 황해도 연백 출신. 편상훈(片相薰)의 셋째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강년(李康秊)의 의병부대에 가담, 1907년 선봉장 겸 소모장이 되어 구국항일운동에 가담하였다. 1908년 서울 진공작전을 펴기 위해 휘하 의병부대를 ...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28년
    경력 :
    광복단원, 의성단 단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05인 사건, 구월산주비단사건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편강렬 片康烈
    독립운동가.|호는 애사. 아버지는 상훈이다. 을사조약 체결 후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이강년(李康秊) 의병부대에 입대했다. 용략이 비범출중하여 1907년 선봉장 겸 소모장이 되었다. 1908년 서울로 진격하기 위해 부대를 이끌고 동해안을 돌아 경기도 양주에 진입하여 일본군과 3일간 격전을 벌였으나 패배했다. 이때 ...
    출생 :
    1892(고종 29), 황해 연백
    사망 :
    1928
    국적 :
    한국
    호 :
    애사(愛史)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편강렬
    1892년 2월 28일~ 1929년 1월 16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아호는 애사(愛史)이다. 의병활동 등 항일운동을 하였다. 편강렬은 1892년, 황해도 연백군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편상훈이며 4남매 중 셋째이다. 한학(漢學)을 공부했고, 힘이 세서 싸우는 두 마리 소 사이에 들어가 소를 떼어 말릴 정도였으며 용맹 강직...
    도서 위키백과
  • 의성단 정의부(正義府), 義成團
    설립목적 편강렬(片康烈)·양기탁(梁起鐸)·남정(南正) 등이 중심이 되어 조국의 광복과 자유독립국가의 완성을 목적으로 조직하였다. 실천행동으로 대원 양성·농촌 부흥·친일분자 숙청·일본인 기관 파괴 등 국내공작과 전만통일공작(全滿統一工作)을 내세웠다. 기능과 역할 구성원을 보면 고문 양기탁·남정, 단장...
    시대 :
    근대
    설립 :
    1923년 11월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4년 11월
    설립자 :
    편강렬, 양기탁, 남정
    분야 :
    역사/근대사
  • 의성단 義成團
    단체로서, 지린[吉林]·창춘[長春]·이퉁[伊通] 등지를 근거로 일제 기관 파괴와 친일주구 숙청에 큰 활약을 했다. 간부진은 고문 양기탁·남정, 단장 편강렬, 부단장 한동추(韓東樞)·승진(承震), 총무 김정관(金靜觀)·심준구(沈駿求), 재무 박옥산(朴玉山)·지응진(池應鎭), 회계 김사식(金士寔), 지휘 곽도송(郭島松...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승진 춘악(春岳), 承震
    함께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을 조직, 활동하였다. 1917년 통화현(通化縣)에 배달학교(倍達學校)를 설립하여 청소년교육과 독립사상을 고취하였다. 1920년 편강렬(片康烈)을 중심으로 의성단(義成團)을 조직하여 길림(吉林)·장춘(長春) 등지를 근거지로 만주와 국내에서 적의 기관파괴와 친일파 숙청에 활약하였다. 또...
    시대 :
    근대
    출생 :
    1890년(고종 27)
    사망 :
    1931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이명균 명균(銘均), 李明均
    생애 및 활동사항 일명 명균(銘均). 경상북도 김천 출신. 1915년 데라우치[寺內正毅]가 해인사를 방문할 때 편강렬(片康烈)과 함께 암살을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자, 편강렬을 40일간 은신시킨 뒤 여비를 주어 만주로 망명시켰다. 3·1운동 때에는 경상남북도에서 활약하였다. 유림대표의 한 사람으로서 파리장서(巴里長書...
    시대 :
    근대
    출생 :
    1863년(철종 14)
    사망 :
    1923년
    경력 :
    대통령표창, 건국훈장 독립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남자현 南慈賢
    총독 사이토[齋藤實]를 암살할 것을 계획하였으나 미수에 그치고 다시 만주로 돌아갔다. 마침 그때 길림(吉林)주민회장 이규동(李圭東), 의성단장(義成團長) 편강렬(片康烈)·양기탁(梁起鐸)·손일민(孫一民) 등이 주동이 되어 재만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을 발기하자 이에 적극 참가하여 크게 공헌하였다. 1928년 길림에서...
    시대 :
    근대
    출생 :
    1872년(고종 9)
    사망 :
    1933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영양(英陽)
  • 황악산 삼성암 黃岳山 三聖庵
    하였다고 전한다. 조선시대까지만 하여도 선승(禪僧)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선원(禪院)으로서 널리 알려졌다. 그리고 1915년부터 약 10년 동안 의사 편강렬(片康烈)이 일본경찰의 눈을 피하여 제자들과 같이 무술을 닦으며 조국광복을 위하여 힘을 길렀던 곳이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인법당(人法堂) · 산신각...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박일훈 朴一勳, 朴日勳
    확인할 수 없다. 일제 측 기록에 의하면 사망 당시인 1924년 30세로 되어 있어 1895년생으로 추정된다. 한자가 다른 박일훈(朴一勳)을 이명으로 사용하였다. 편강렬(片康烈)이 결성한 의성단(義成團) 특별의용군(特別義勇軍)으로 활동하다가 사망하였다. 의성단은 1920년 만주 펑톈(奉天)에서 조직된 항일무장투쟁 단체...
    출생 :
    1895년, 미상
    사망 :
    1924년 10월 25일
    관련 사건 :
    의성단
    주요활동 :
    1920년대 만주지역에서 의성단원으로 항일 무장투쟁 참여
    포상훈격 :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의성단
  • 박세환 박성장, 朴世煥
    禁止處分)을 받아 신의주경찰서로 이송되었으나 무혐의로 풀려났다. 그 후 중국 지린성(吉林省)으로 건너가 의성단(義成團)에 입단하였다. 의성단은 1923년 7월 편강렬(片康烈) ・ 양기탁(梁起鐸) 등에 의해 지린과 창춘(長春)을 연결하는 길장선(吉長線) 근처 카륜(卡倫)에 조직된 독립군단이다. 의성단은 창춘 ・ 지린...
    출생 :
    1883년 11월 29일, 평남 강서(江西)
    사망 :
    1948년 4월 4일
    관련 사건 :
    대한애국부인회, 의성단
    주요활동 :
    1919년 평양 대한애국부인회에서 군자금 모집, 1923년 의성단 가입, 1924년 의성단 제3대 단장
    포상훈격 :
    1996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애국부인회, 의성단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6건

편강렬
편강렬
피체 직후 편강렬(1924년)
동생 편덕렬
체포된 편강렬 공판 기사
「편강렬 판결문」, 1913년 10월 9일, 고등법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