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구려 구려, 高句麗세계의 패자라는 의미를 지닌 ‘천가한(天可汗)’으로 추대되었다. 이제 그는 농경세계와 유목세계를 아우른 ‘황제-천가한’이 되었다. 이에 팽창해오는 당의 세력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구려 조정은 631년 2월 북으로 부여성(夫餘城)에서 동남으로 바다에 이르는 천리장성(千里長城)을 쌓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 유형 :
- 지명/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대로 對盧내용 대로는 원래 부족장적 신분층에 속하였으나 고구려의 국가체제가 정비되면서 중앙의 관직이 되었다. ≪삼국지≫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에는 상가(相加)에 이은 제2위의 관등이나 대로를 둘 때는 제3관등인 패자(沛者)를 두지 않고, 패자를 둘 때는 대로를 두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로 보아 대로와 패자는 같은...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구려시대
- 분야 :
- 역사/고대사
-
상가 相加고구려의 지배자 집단을 이룬 대수장층을 우대하는 위호(位號)로 보기도 하고, 제가회의(諸加會議)의 주재자로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 상가를 제가회의의 장으로...관등인 대로(對盧)와 패자(沛者)보다 상위에 기록된 상가는 최고위 관직(官職)인 국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상가를 제가회의의...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유형 :
- 제도/관직
- 분야 :
- 역사/고대사
-
대주부 大主簿환나우태(桓那于台) 어지류(菸支留)를 좌보(左輔)로 삼고 작(爵)을 더하여 대주부로 삼았다고 한다. 이 때 좌보는 최고위 관직의 하나였음을 고려할 때, 대주부의 관계도 주부를 뛰어넘어 패자나 대로에 버금가는 것이었으리라 추측된다. 봉상왕(烽上王) 3년(294) 국상(國相)에 임명된 남부대사자(南部大使者) 창조리...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고구려 관리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구려 초기∼중기
- 시행처 :
- 고구려 조정
- 분야 :
- 역사/고대사
-
가 加높은 관직을 얻음에 따라 가가 관명으로 전용되었으리라는 생각은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삼국지』 위서 부여전에 의하면 “나라에 왕이 있고 가축의 이름...고구려전에는 “나라에 왕이 있고 관으로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가(古鄒加), 주부(主簿)가 있다.”라고 되어 있어 각기 가가 붙은 관명을...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고대사
-
어비류 於卑留내용 왕비 우씨(于氏)의 친척으로, 패자(沛者)로서 중외대부(中畏大夫)라는 관직에 있었다. 그는 평자(評者) 좌가려(左可慮)와 더불어 왕비의 친척됨을 믿고 권력을 휘둘렀고 그들의 자제들까지도 남의 자녀와 전택(田宅)을 마음대로 빼앗아 원성의 대상이 되었다. 고국천왕이 이 사실을 알고 노하여 죽이려고 하자...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중외대부(中畏大部)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반란
- 직업 :
- 귀족, 반란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좌가려 左可慮내용 관직은 평자(評者)였다. 중외대부(中畏大夫) 패자(沛者) 어비류(於卑留)와 더불어 왕비의 친척됨을 믿고 권력을 휘둘렀으며, 그 자제들도 그 세력을 믿고 교만, 사치하여 남의 자녀와 토지 및 집을 마구 빼앗으므로 사람들의 원망이 높았다. 이에 고국천왕이 크게 노하여 죽이려 하자 190년(고국천왕 12)에 연나부...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평자(評者)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반란
- 직업 :
- 주모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