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국 애국주의의 실체 신중화주의, 중화패권주의, 민족주의이다. 주로 대다수 한국의 중국 연구자와 한국사 연구자들이 이와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두 번째로, 신중화주의적 경향을 보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패권주의를 추구하고 있다는 주장도 상당한 동조자를 지니고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 이후 등장한 이른바 ‘중화패권주의론’은 주로 주류 언론들이 사용하고...
-
제국주의의 함정에 빠진 지식인의 두 얼굴, 니토베 이나조 新渡戸稲造것은 애국심에 대한 찬양을 합리화하는 동시에 군국주의적 선전과 선동에도 매우 적합한 논리가 되었다. 《무사도》의 논리는 세계대전 동안 군국주의자의 패권주의와 결합하여 일본을 전쟁의 광기 속으로 몰아넣었다. 대표적인 행위가 태평양 전쟁 당시 자살특공대 가미카제(神風)의 활동을 미화한 일이다. 니토베...
- 출생 :
- 1862년
- 사망 :
- 1933년
- 국적 :
- 일본
- 대표작 :
- 《무사도》, 《일미관계사》
-
-
-
아테네의 부흥동맹 총회가 이를 감시하기로 했다. 한마디로 예전의 델로스 동맹지배를 반성하는 내용이었다. 이를 믿고 일단 가맹국 수가 늘어났지만, 아테네 패권주의는 훗날 공납금을 군역대납금(syntaxis)으로 명칭을 바꿔 징수하는 교묘함을 드러냈다. 또 레욱트라에서 스파르타가 패배한 뒤에도 동맹이 해체되지 않았다는 사실도...
-
-
둔황의 실크로드모순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실크로드란 이름이 붙여진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독일인 페르디난드 폰 리히트호벤(1833~1905)이 다소 서양식 패권주의 관념을 적용하여 만든 용어이다. 이 용어로 인해 실크로드에 있는 수많은 오아시스는 역사적인 사실로서의 과거가 무시되고 신비에 싸인 몽환적인 존재...
-
자유롭고 열린 인도 ・ 태평양 FOIP, Free and Open Indo-Pacific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OIP)은 중국이 추진하는 패권주의 외교정책 ‘일대일로(一带一路)’에 대응하여, 미국을 위시로 일본, 호주, 인도 등 인도양과 태평양의 연안국들이 수립한 정책이다. 이 구상으로 인해 인도-태평양이라는 두 대양의 연속적 인식이 널리 보급되었다. 중국의 부상 이후 인도-태평양의 지정학...
-
신라·당 전쟁과 삼국통일탓에 신라와 당나라 간의 전쟁은 휴식기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약자가 선택한 전쟁은 늘 불안할 수밖에 없었다. 당나라는 삼국 전체를 전부 지배하려는 패권주의 국가답게 토번과의 평화가 유지되자, 675년 신라를 공격해왔다. 신라는 백제 유민과 고구려 유민을 포섭하여 군사를 늘리고, 넓어진 영토에서 얻은...
- 시대 :
- 668년~67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