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화상싸움내용 음력 5월 4일, 즉 단오 전날 밤 이 마을의 중간을 흐르는 내를 중심으로 동쪽의 양지마을이 한패가 되고 서쪽의 음지마을이 한 패가 되어 겨루는 남성집단놀이이다. 마을에 전하는 유래담에 의하면, 이 마을은 예로부터 계절에 관계없이 불이 자주 일어났다. 마을사람들은 서북쪽 멀리에 솟아 있는 학가산(鶴駕山...
- 성격 :
- 성인남자놀이
- 유형 :
- 놀이
- 놀이시기 :
- 음력 5월 4일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소장/전승 :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
영해별신굿놀이 寧海別神굿놀이다툼을 벌인다. 다툼의 방식은 서로 어울려 풍물을 치다가 마을로 들어올 즈음에, 마을 입구에 있는 비켜갈 수 없을 정도의 좁은 길목에 이르면 농악대패가 돌아서서 무당패들과 다툼을 한다. 두 사람이 광목을 펴들고 두 패의 경계선상에 선다. 두 패는 이를 경계로 밀고 당기는 싸움의 시늉을 반복하다가 무당패가...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나주 농사짓기 소리 김매기 소리여겨진다. 3분박 좀 빠른 3박자(9/8박자)로 된 세마치 장단이 주가 되어 있는데 중간에 3분박 4박자가 끼어 있다. 김을 매는 사람들이 두 패로 나뉘어 한 패가 "…헤이 헤이 헤라 돈 겨린가/소식이 좋아 어허 에라 돈 겨리라"하고 부르면 다른 한 패가 다음 마루를 부른다. 가락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
-
녹패 祿牌兵曹)가 문관과 무관을 분담하여 녹패를 발급하기 시작하였다. 녹패에는 수급인의 녹과(祿科)와 발급 관원을 기재하고 인장을 찍었다. 간혹 녹과가 표기되지 않은 녹패가 발급되기도 하였으며, 녹패의 외면에 수급자의 신상이 기재된 녹패도 발견된다. 녹봉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고신(告身)과 녹패가 필요...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낭패 狼狽패(狽)는 앞다리 두 개가 아예 없거나 짧다. 이 둘은 항상 같이 다녀야 제 구실을 할 수 있다. 꾀가 부족한 대신 용맹한 낭과, 꾀가 있는 대신 겁쟁이인 패가 호흡이 잘 맞을 때는 괜찮다가도 서로 다투기라도 하는 날에는 이만저만 문제가 큰 것이 아니다. 이같이 낭과 패가 서로 떨어져서 아무 일도 못하게 되는 경우...
- 유형 :
- 한자어
-
레나아드우단풍뎅이 레나르디우단풍뎅이개요 몸은 길이 8~10mm, 폭 6mm로 약간 긴 알 모양이다. 홀쭉우단풍뎅이(M. holosericea)와 비슷하나 좀 더 크며 머리방패가 넓다. 몸 색은 갈색 내지 흑색 우단 모양으로 광택은 없다. 머리방패는 매끄러우며, 미세하나 조밀한 점각이 있다. 더듬이는 황갈색이며 10마디인데 곤봉부 길이가 수컷은 자루 부분의 1.5배...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검정풍뎅이과 > 애우단풍뎅이속
- 학명 :
- Maladera renardi Ballion, 1870
- 분포지역 :
- 북한, 중한, 남한, 중국 북부, 시베리아 동부,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