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특정 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관련어 특정 비밀 보호법) State Secrecy Law, 特定秘密の保護に関する法..
    특정비밀보호은 일본의 안전보장에 관한 정보 중 '특히 은닉할 필요가 있는 것'을 '특정 비밀'로 지정하고 취급자의 적정 평가 실시 및 누설한 경우의 벌칙 등을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 법안이다. 정식 명칭은 특정 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이다. 2013년 10월 25일 제2차 아베 신조 내각이 법안을 안전보장회의의 승인...
    도서 위키백과
  • State Secrecy Law 특정비밀보호법, 特定秘密の保護に関する法律
    The State Secrecy Law, officially the , Act No. 108 of 2013, is a law in Japan allowing the government to designate defense information as "special secret".Proposed by the second Abe cabinet, the law was approved by the Security Council on October 25, 2013, then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Diet...
  • 통신비밀보호 通信秘密保護法
    의한 감청은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와 통신의 비밀의 침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입법자는 「통신비밀보호」을 통하여 감청을 강제수사로 파악...엄격한 법적 규제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감청을 할 수 있는 범죄가 특정된 소수 범죄가 아니라 거의 모든 범죄를 망라한 것 같고(제5조), 통신제한조치의...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3년 12월 27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법으로 취재원을 보호할 수 있는가?, 방패 shield law
    의 적용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누구를 '기자'로 보고 무엇을 '언론'으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다. 이는 '1인 저널리즘'이 가능해진 인터넷 시대엔 딜레마다. 예컨대, 미국의 비디오 블로거인 조시 울프(Josh Wolf)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촬영한 2005년 시위 동영상 제출을 거부했다가 226일 동안 교도소에 수감...
  •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公共機關─個人情報保護─關─法律
    비밀보장에관한법률」 등이 있다. 내용 이 은 공공기관의 컴퓨터·폐쇄회로 텔레비전 등 정보의 처리 또는 송·수신 기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처리되는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일반법이다(제3조 제1항). 하지만 이러한 개인정보 중 「통계(統計法)」에 의하여 수집되는 개인정보와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정보...
    시대 :
    현대
    성격 :
    법률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4년 1월 7일(제정), 1995년 1월 8일(시행)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선거 選擧, election
    행위로부터의 보호, 정직한 개표의 확보였다. 이들 중 첫 번째 문제는 전체 선거절차의 적절한 조직화로 확보되었고, 두 번째는 비밀투표제도에 의해, 세 번째 문제는 경쟁 정당들의 대표자들을 선거 과정의 감독관과 연합하게 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 지방선거관리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대개 중앙당국의 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투표 投票, ballot
    같이 특정 사항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가부(可否)의 의사표시와 합의체(이를테면 국회) 의사결정 절차에 있어 행해지는 서면에 의한 의사표시(표결) 등도 투표의...위한 선거방법으로 기표방법에 의한 투표를 채택하고 있으며(<공직선거> 제146조), 외교ㆍ국방ㆍ통일 기타 국가안위에 관한 중요 정책이나 헌법개정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선거
  • 공익신고자 보호
    출석·귀가시 동행, 주거에 대한 주기적 순찰 등의 특정범죄신고자등보호 시행령 제7조에 따른 신변보호조치를 받을 수 있다. 관련 근거 : 공익신고자 보호...대한 형을 감경하거나 면제할 수 있다. 또한 신고 내용에 직무상 비밀이 포함된 경우에도 다른 법령 등의 관련 규정에도 불구하고 직무상 비밀준수의무...
    도서 위키백과
  • 기밀성 Confidentiality, 守秘義務
    해외에서는 그러한 모든 것이 비밀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누설하지 않겠다. 전통적으로 의료 윤리에서는 '기밀 유지 의무'를 상대적으로 협상할 수 없는 의료 관행의 원칙으로 간주해 왔다. 기밀정보 기밀유지 협약 영업 비밀 인티그리티 증언거부특권 취재원 비닉권 프라이버시 특정 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도서 위키백과
  •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GSOMIA, 韓日軍事情報保護協定
    좋은 특정 사안에 대해 공유하는 것이다. 사안에 따라서 합의할 때 그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 중국의 부정적 반응이 가장 큰 우려다. 하지만 중국이 한일 군사정보보협정 체결을 한미일 삼각 동맹 체제의 서막으로 간주하는 것은 우리 국익에 손해는 아니다. 한일간의 군사교류 확대가 역설적으로 북한의 군사적...
  • 김영란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직무상 비밀을 법령을 위반하여 누설하도록 하는 행위 7. 계약 관련 법령을 위반하여 특정 개인ㆍ단체ㆍ법인이 계약의 당사자로 선정 또는 탈락되도록 하는 행위 8. 보조금ㆍ장려금ㆍ출연금ㆍ출자금ㆍ교부금ㆍ기금 등의 업무에 관하여 법령을 위반하여 특정 개인ㆍ단체ㆍ법인에 배정ㆍ지원하거나 투자ㆍ예치ㆍ대여ㆍ출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시사용어
  • 패스워드 증후군 Password Syndrome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컨대 에릭 슈밋은 "정보를 지키는 것은 개인의 몫"이라며 "유아기 때부터 비밀번호를 다각화하는 등 자신의 정보를 잘 관리하고 보호하는 을 가르쳐야 하는 시대가 왔다"고 말한다. 정보 보안을 위해 개인들이 노력해야 한다는 말은 맞지만,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설정하더라도 해킹의 위험에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