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
    그러나 이론체계의 중추부분에 승수이론을 도입한 것은 J.M. 케인즈다. 케인즈의 승수투자증가와 그 결과인 소득증가 사이의 투자승수였다. 예를 들면 100억 원의 투자증가가 있으면 100억 원의 소득증가가 발생하는데, 이 소득증가는 한계소비성향(△C/△Y=c=0.6)에 따라 60억 원의 소비재 수요를 유발한다. 이...
  • 승수효과 Multiplier Effect
    그러나 이론체계의 중추부분에 승수이론을 도입한 것은 J.M. 케인즈다. 케인즈의 승수투자증가와 그 결과인 소득증가 사이의 투자승수였다. 예를 들면 100억 원의 투자증가가 있으면 100억 원의 소득증가가 발생하는데, 이 소득증가는 한계소비성향(△C/△Y=c=0.6)에 따라 60억 원의 소비재 수요를 유발한다. 이...
  • 승수효과 乘數效果, multiplier effect
    승수란 곱해지는 수를 뜻한다. 만약 독립적인 지출이 5이고, 이로 인해 소득이 20으로 나왔다면, 승수는 4가 된다.(5X4=20) 승수이론은 R.F 칸이 만들었고, 케인즈가 투자승수이론을 정립했다. 케인즈 이론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승수효과에서 다루는 승수에는 소비승수, 투자승수, 무역승수 등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통화승수
    통화량을 본원통화로 나눈 값으로 통화량이 본원통화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주는 배수. 통화량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다. 본원통화가 낳은 파생적 통화의 창출능력을 표시하는 지표로서 일반대중의 현금통화율과 예금은행의 지불준비율이 작을수록 커진다.
  • 승수 乘數, multiplier
    100만)+(3/5 × 3/5 × 100만) 원이 된다. 이러한 과정이 무한히 계속된다면 총소득의 증가액은 간단한 대수 공식으로 계산해낼 수가 있다. 위의 예에서는 승수가 1/(1-3/5) =2.5가 된다. 이것은 곧 투자를 100만 원 늘리면 총소득이 250만 원만큼 증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수 개념은 193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승수 효과 乘數效果, multiplier effect
    소비를 제외한 금액을 금융기관에 저금할 것이고 이 저축액은 여러 기업의 투자 자금으로 흘러가 생산을 늘리고 관련된 사람들의 소득과 소비 지출을 연달아...증대 효과는 처음 1차 효과 때보다 더욱 커지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승수 효과란 말은 변화의 원인이 정부 지출에서 벗어나 소비 지출, 투자 지출이나 수출...
  • 래그 이론 시차설, lag theory
    승수기간(乘數期間)으로서의 래그, 자본회임기간(資本懷妊期間)으로서의 래그, 생산기간으로서의 래그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승수기간 래그는 투자의 증가에 따라 승수배만큼의 소득이 파급되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하는데, 이는 다시 지출 래그, 산출량 래그, 수입 래그의 보다 구체적인 3가지 개념으로 구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승수 Multiplier (economics), 乘数效应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에서 칸의 이론(고용승수 이론이라 일컫는다)에 바탕을 두고 투자의 변화가 국민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여 이를 투자승수(投資乘數)로 방식화했다. 그 후의 케인스 경제학 발전의 역사는 동시에 또한 승수이론의 발전이기도 했고 칸·케인스의 승수이론의 갖가지 면에서의 확충...
    도서 위키백과
  • 통화의 유통속도 돈이 얼마나 빨리, 많이
    것과 40인 것을 비교해 볼까? 통화승수가 크면 그만큼 돈을 빌리는 사람들이 많고 신용창조가 활발하다는 거야. 통화승수가 클수록 투자가 활발하고 돈을 빌리는...안 된다는 의미. 경제가 좋지 않아 국민들이 소비도 별로 하지 않고 투자를 꺼리고, 돈을 빌리려는 사람도, 빌려주려는 측도 줄어든 상태. 그만큼 경기...
  • 정부 경제정책 방향 돈 풀기, 방향이 틀렸어
    비율. 한국의 재정승수는 평균 0.876으로 정부가 재정을 1천억원 지출하면 GDP가 876억원 늘어나. 반면 감세정책의 재정승수는 평균 0.605로 정부가 세금을...대한 재정지출을 늘리는 게 경기활성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거야. 저소득층에 대한 소득재분배, 복지정책에 돈을 투자하는 게 경기활성화에 더 낫다는 거지...
  • 승수효과 Fiscal multiplier, 乗数効果
    승수효과(乘數效果, 사회 전체로서 처음의 투자 증가분(增加分) △I의 몇배나 되는 소득 증가 △Y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 배율 △Y/△I를 승수라 하며 이 효과를 승수효과라 한다. 다시 말해서 정부나 민간기업이 새로 투자를 하면 그 일부는 임금으로 지불되고, 나머지는 생산재의 구입에 충당되어 그 관계자의 소득을...
    도서 위키백과
  • 타임래그 시차, time lag
    이론에는 투자변동이 소득변동을 가져오는 투자승수이론과, 소득변동이 소비변동을 거쳐 투자변동을 초래하는 가속도원리가 있다. 전자에 따르면 투자의 증가는 소득을 승수배만큼, 그리고 후자에 따르면 소득의 증가는 투자를 자본계수배만큼 증가시킨다고 본다. 그러나 각각의 효과가 발생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차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