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사론 統辭論
    자립적 언어형식이 하나 이상 모여서 더 큰 자립적 언어형식을 이룰 때, 그 큰 언어형식을 ‘통사적 구성’이라 하며, 이러한 통사적 구성의 됨됨이, 그 성립과정과 그에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내용 가장 작은 자립형식인 낱말의 구조와 그 생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분야를 형태론이라고 하는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통사론 統辭論, syntax
    통사론은 문장의 구성방식과 구성요소가 갖는 의미를 의미면에서 접근해 밝히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통사론이 문법의 핵심부분으로 취급된 것은 변형생성문법이 등장하면서부터이다. 변형생성문법에서 통사부라 불리는 통사론은 의미부·음운부와 함께 문법의 3대 부문을 이루며 의미부와 음운부를 연결하는 중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언어학 (관련어 통사론) 言語學, linguistics
    언어학은 3갈래의 양분관계, 즉 공시언어학과 통시언어학, 이론언어학과 응용언어학, 미시언어학과 거시언어학으로 나뉜다. 공시언어학은 일정한 시기의 언어구조를 기술하며, 통시언어학은 언어의 역사적 발달 및 구조적 변화를 기술한다. 이론언어학은 언어구조의 일반이론이나 언어의 기술을 위한 이론적 틀을 구성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학문
  • 통사론 Syntax, 統語論
    언어학 통사론(統辭論, 문장의 구성 요소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맥락에서 언어학의 한 분야로 문장론 또는 어법학 또는 문법론 등으로 불린다. 언어의 문법에서 (형태론에 대비하여) 구문론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언어를 교착어·굴절어·고립어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구문론에서 주어·목적어·동사의 통상 ...
    도서 위키백과
  • 단어 單語, word
    단어는 랑그의 단위요, 문장은 파롤의 단위', '최소 자립형식' 등으로 단어의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이들은 각각 음운론적·형태론적·의미론적 또는 통사론적인 관점에서의 정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각각의 정의는 그 나름의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국어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정렬 (언어학) Morphosyntactic alignment, アラインメント (言語学)
    세계의 여러 언어들은 이와 다른 방식으로 세 논항을 구분짓기도 한다. 이러한 구분은 격과 일치 등을 통해 형태론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어순 등을 통해 통사론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 밖에 간접목적어와 같은 논항에 관해서도 의미가 확장되어 쓰이기도 한다. 정렬에 관해 말할 때에는 논항의 종류를 다음과...
    도서 위키백과
  • 델브뤼크 Berthold Delbrück
    통사론에 관심을 갖고 인도유럽어의 비교통사론 연구에 토대를 마련했다. 예나대학교에서 산스크리트와 비교언어학을 가르쳤다(1870~1912). 1871년에 산스크리트와 그리스어의 가정법 및 기원법(祈願法)에 관한 뛰어난 연구논문인 〈통사론 연구 Syntaktische Forschungen〉를 발표했는데, 이것은 비교통사론의 문제를...
    출생 :
    1842. 7. 26, 프로이센 푸트부스
    사망 :
    1922. 1. 3, 독일 예나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파생어 派生語
    기능상의 차이도 나타내는 바, 접두사가 어근에 의미를 첨가시켜 주는 구실밖에 못하는 데 비하여서 접미사는 어근에 의미를 첨가시켜줄 뿐만 아니라 어근의 통사론적 자질(統辭論的資質)을 바꾸는 일도 한다. ‘짓+밟―’에서 접두사 ‘짓―’은 어근 ‘밟―’에 의미를 첨가시켜 줄 뿐 통사론적 기능의 변화를 가져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언어학의 하위 분야
    음절에 관한 연구도 중요시되고 있다. 한편 어휘 음운론은 음운 형태들의 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려고 시도하고 있다. 형태론 언어들의 문법기술은 대개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누어지는데, 형태론은 단어들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대개 단어들은 여러 개의 더 작은 문법적 단위들로 분석될 수 있다. 예컨대 영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국어구조론: 한국어의형태통사구조론연구 Structure of Korean
    Vst SF8=형용사 또는 명사+계사의 종결형) 두 가지인데 이들 문장에 사동 또는 피동적 조건을 주면 피동, 사동 의미를 가지는 접미사 또는 형태론적 통사론적 구성이 첨가되고, 여러 단계의 변형(윤회적 변형)이 이루어지는 한편 하위 범주(변별적 자질)의 제한에 의하여 잘 짜여진 피동 또는 사동 문장이 산출된다...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석득(金錫得)
    창작/발표시기 :
    1971년 2월
    성격 :
    문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연세대학교 출판부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기능 機能, function
    기능이고 형식과 의미는 부차적인 가치를 지닌다.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 따위를 연구하는 것을 통사론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통사론은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의 결합·배열과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통사론은 문장을 대상으로 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품사 品詞
    내용 단어를 품사별로 나누는 작업을 품사분류라고 한다. (1) 통사론적인 특징에 따라 품사분류의 통사론적인 특징이란 문장구성에서 단어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를 기준으로 함을 말한다. 명사·대명사·수사는 문장 구성에서 주로 주어의 기능을 하여 체언이라 불리고, 동사·형용사는 주로 서술어의 기능을 하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