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통사론 統辭論자립적 언어형식이 하나 이상 모여서 더 큰 자립적 언어형식을 이룰 때, 그 큰 언어형식을 ‘통사적 구성’이라 하며, 이러한 통사적 구성의 됨됨이, 그 성립과정과 그에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문법의 한 분야. 내용 가장 작은 자립형식인 낱말의 구조와 그 생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분야를 형태론이라고 하는 ...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
파생어 派生語기능상의 차이도 나타내는 바, 접두사가 어근에 의미를 첨가시켜 주는 구실밖에 못하는 데 비하여서 접미사는 어근에 의미를 첨가시켜줄 뿐만 아니라 어근의 통사론적 자질(統辭論的資質)을 바꾸는 일도 한다. ‘짓+밟―’에서 접두사 ‘짓―’은 어근 ‘밟―’에 의미를 첨가시켜 줄 뿐 통사론적 기능의 변화를 가져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언어학의 하위 분야음절에 관한 연구도 중요시되고 있다. 한편 어휘 음운론은 음운 형태들의 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려고 시도하고 있다. 형태론 언어들의 문법기술은 대개 형태론과 통사론으로 나누어지는데, 형태론은 단어들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대개 단어들은 여러 개의 더 작은 문법적 단위들로 분석될 수 있다. 예컨대 영어...
-
국어구조론: 한국어의형태통사구조론연구 Structure of KoreanVst SF8=형용사 또는 명사+계사의 종결형) 두 가지인데 이들 문장에 사동 또는 피동적 조건을 주면 피동, 사동 의미를 가지는 접미사 또는 형태론적 통사론적 구성이 첨가되고, 여러 단계의 변형(윤회적 변형)이 이루어지는 한편 하위 범주(변별적 자질)의 제한에 의하여 잘 짜여진 피동 또는 사동 문장이 산출된다...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석득(金錫得)
- 창작/발표시기 :
- 1971년 2월
- 성격 :
- 문법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연세대학교 출판부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품사 品詞내용 단어를 품사별로 나누는 작업을 품사분류라고 한다. (1) 통사론적인 특징에 따라 품사분류의 통사론적인 특징이란 문장구성에서 단어가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를 기준으로 함을 말한다. 명사·대명사·수사는 문장 구성에서 주로 주어의 기능을 하여 체언이라 불리고, 동사·형용사는 주로 서술어의 기능을 하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