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렬 -整列, quick sort
    주어진 파일을 특정한 키값보다 작은 값을 갖는 레코드들과 큰 값을 갖는 레코드들로 분리하여, 1개의 파일을 논리적으로 2개의 부 파일로 재배열하고 각각의 부 파일에 대해서 순환적으로 같은 정렬을 적용해 파일을 정렬하는 방법.
  • 정렬 (관련어 퀵정렬) Quicksort, クイックソート
    정렬(Quicksort)은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가 개발한 범용 정렬 알고리즘이다. 다른 원소와의 비교만으로 정렬을 수행하는 비교 정렬에 속한다. 정렬은 n개의 데이터를 정렬할 때, 최악의 경우에는 O(n2)번의 비교를 수행하고, 평균적으로 O(n log n)번의 비교를 수행한다. 정렬의 내부 루프는 대부분의 컴퓨...
    도서 위키백과
  • Quicksort 퀵 정렬, クイックソート
    Quicksort (sometimes called partition-exchange sort) is an efficient sorting algorithm, serving as a systematic method for placing the elements of an array in order. Developed by Tony Hoare in 1959, with his work published in 1961, it is still a commonly used algorithm for sorting. When implement...
  • 정렬법 분할 교환 정렬법, quicksort
    다음에 제시하는 프로그램은 그 몇몇 개량도 포함하여 이 산법의 발상을 실현한 것이다(실제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에서는 샘플의 선택법 등이 더 유사하다). 정렬법은 입력 데이터 n에 대해 평균 시간이 n log2n에 비례하지만 최악의 경우는 n2에 비례한다. 작업용 기억 영역은 평균 log2n에 비례한다. 〈참조어...
    분야 :
    프로그래밍
  • 정렬 알고리즘 Sorting algorithm, ソート
    표기는 math를 의미한다. 다음은 비교 정렬 표이다. 비교 정렬은 math보다 더 나은 성능을 낼 수 없다. 비교 정렬 이름 최선 평균 최악 메모리 안정 방식 정렬 Sortvariation is Sort Sort Sort Sort 일반적인 제자리 정렬은 안정적이지 못하다. 안정판이 존재한다. 파티셔닝 합병 정렬 Sort Sort Sort SortA hybrid...
    도서 위키백과
  • 정렬 알고리듬 整列-, sort algorithm
    데이터 요소의 집합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는 알고리듬. 각 요소 내의 1개 또는 복수의 1개 또는 복수의 키값을 바탕으로 하여 배열하는 경우도 있다. 정렬 알고리듬으로는 버블 정렬, 분산 정렬, 삽입 정렬, 합병 정렬, 정렬 등이 있다.
  • 비교 정렬 比較整列, comparative sort
    정렬하고자 하는 각 레코드의 키값을 2개씩 비교하여 정렬하는 방식. 종류로는 선택 정렬, 삽입 정렬, 버블 정렬, 셀 정렬, 정렬, 힙 정렬 등이 있다.
  • 퀵셀렉트 Quickselect, クイックセレクト
    정렬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다. 정렬처럼 토니 호어가 개발했으므로 호어의 선택 알고리즘(Hoare's selection algorithm)으로도 부른다. 정렬처럼 효율적이며 평균적으로 양호한 성능을 내지만 최악의 조건에서는 낮은 성능을 내기도 한다. 퀵셀렉트와 파생 변종들은 실생활의 효율적인 구현체에서 가장 자주...
    도서 위키백과
  • 내부정렬 internal sorting
    놓인 데이터를 그 속에서만 정렬하는 것. 내부정렬용 산법으로는, 그 산법설정의 발상으로 보아, 삽입정렬·선택정렬·교환정렬(버블 정렬법, 정렬법 참고)·버킷 정렬(기수정렬법, 분배분할정렬 참고)·병합정렬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내부정렬에 대하여, 자기 테이프 장치라든가 자기 디스크 장치 등의 보조...
    분야 :
    프로그래밍
  • 버킷 정렬 Bucket sort, バケットソート
    다른 알고리즘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의한 bucketSort 자체를 nextSort로 사용하면 기수 정렬과 흡사하고, 특히 n = 2 이면 (피벗 선택이 나쁜) 정렬과 동등하다. 주로 입력이 일정 범위에 걸쳐 균등 분포에 가까울 때 유용하다. 가까운 값을 가진 값을 가진 키가 여럿일 경우 (클러스터를 형성할 경우) 이 키...
    도서 위키백과
  • 제자리 알고리즘 In-place algorithm, In-placeアルゴリズム
    공간 복잡도는 수학이다. 정렬정렬할 데이터에 대해 제자리에서 작동한다. 그러나 정렬은 분할 정복 전략에서 하위 배열을 추적하기 위해 수학만큼의 스택 공간 포인터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정렬에는 수학의 추가 공간이 필요하다. 엄밀히는 이 고정되지 않은 공간때문에 정렬을 제자리 알고리즘 범주...
    도서 위키백과
  • 인트로 정렬 Introsort, イントロソート
    인트로 정렬(introsort)은 평균적으로 빠른 성능을 내면서 최악의 조건에서도 점진적으로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정렬 알고리즘이다. 정렬로 시작한 다음 재귀 깊이가 정렬 대상 요소의 수의 레벨(로그)을 초과할 때 힙 정렬로 전환하며 요소들의 수가 특정 임계치 미만일 때 삽입 정렬로 전환한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