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콘텐츠 제공자 CP, Contents Provider
    콘텐츠 제공자(CP)는 돈을 받고 디지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총칭한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는 포털사이트의 검색서비스, 뉴스, 동영상, 음악, 소프트웨어, 전자책 등 다양한 서비스를 망라한다. 본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와 비교해 CSP(Cont...
  • 콘텐츠 제공자 -提供者, content provider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 즉 정지화나 동화, 효과음과 같은 소재만을 수집하여 수록한 콘텐츠 라이브러리(contents library)를 제공하는 사람 또는 사업자.
  •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 (관련어 콘텐츠 제공자) コンテンツプロバイダ
    콘텐츠 서비스 제공자(Contents Service Provider, CSP)란 디지털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를 총칭하는 말이다.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비교해 CSP로 칭하지만, 별칭으로 콘텐츠 제공자(CP)라고 줄여서 불리기도 한다. CSP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디지털 콘텐츠로 인터넷이나 네트...
    도서 위키백과
  • 콘텐츠제공자관리원
    수행직무 인터넷(Internet)의 웹(Web) 서비스 및 각종 전문잡지 등을 통해 최신정보를 수집한다. 정보제공을 위한 정보제공자 또는 콘텐츠제공자로부터 제안서를 받아 전문분야별 지식에 따라 사업성 및 윤리적 전통성을 검토한다. 제안서가 채택되면 계약을 맺는다. 계약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게시판 자료실 등 기본...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3개월 초과 ~ 6개월 이하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조정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관련없음
    유사명칭 :
    정보제공자관리원
    고용직업분류 :
    [1333]웹 개발자
    표준직업분류 :
    [2224]웹 개발자
    표준산업분류 :
    [J631]자료처리, 호스팅, 포털 및 기타 인터넷 정보매개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마스터 콘텐츠 제공자 MCP, -提供者
    콘텐츠의 수집에서부터 개발, 업데이트, 사후 관리까지 총괄하는 콘텐츠 제공자. 마스터 콘텐츠 제공자(MCP)는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플랫폼 사업자와 개별 콘텐츠 제공자(CP)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하며 콘텐츠 분야를 총괄한다. 초기에는 단순히 CP를 모집해 콘텐츠를 공급하는 수준이었으나 서비스 개발, 콘텐츠...
  • 콘텐츠 분배 서비스 제공자 CDSP, -分配-提供者
    인터넷상에서 웹 페이지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사업자. 세계적 다국어 인터넷 솔루션 제공자로서 세계 각지에 분포된 콘텐츠를 가진 서버들을 이용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장 인접한 서버로부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20~30홉(hop)을 3~4홉으로 거리를 단축시키는 효과를 내고...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提供者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여 현재는 데이콤, 한국 PC 통신, 아이네트 기술 등 많은 수의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는 보유 가입자나 콘텐츠 규모 및 라우팅 정보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ISP들 간의 상호 접속을 매개하여 인터넷의 보편적 연결을 가능하게...
  • ucc 사용자 제작 콘텐츠, User-Created Contents
    전문가나 기관 등 콘텐츠 제공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만들어낸 콘텐츠를 뜻한다. 웹2.0의 개념이 도입되며 웹이 점점 개방화되고 사용자들의 참여가 크게 늘어나게 되면서 UCC의 범위도 점점 광범위하게 되었다. 웹에서 사용자의 직접 참여가 중요한 화두로 부각되는 이러한 흐름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분리되던...
  • 정보제공자
    위하여 지속적인 정보의 업데이트를 유지·관리한다.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각종 멀티미디어의 정보(각종 수치, 문자, 음성, 그림, 동영상 등)를 수집하고 이를 가치 있는 정보로 재가공한다. 멀티미디어의 기술을 확보하여 게임, 음악, 영화, 교육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디지털콘텐츠 소재를 디자인하고 제작한다...
    교육수준 :
    14년 초과 ~ 16년 이하(대졸 정도)
    숙련기간 :
    1년 초과 ~ 2년 이하
    작업강도 :
    아주 가벼운 작업
    작업장소 :
    실내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직무기능(사물) :
    수동조작
    유사명칭 :
    IP(Information Provider), CP(Contents Provider)
    고용직업분류 :
    [0295]전산자료 입력원 및 사무 보조원
    표준직업분류 :
    [3142]전산 자료 입력원 및 사무 보조원
    자격/면허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정보처리기사
    표준산업분류 :
    [J639]기타 정보 서비스업
    조사연도 :
    2021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애플리케이션 인프라 제공자 AIP, -提供者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임대, 또는 호스팅해 주는 서비스 제공자. 일종의 응용 서비스 제공자(ASP) 사업자들이 필요로 하는 인프라 서비스를 임대해 주는 ASP로서 인터넷상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비즈니스 지원을 위한 시스템 관리, 보안, 콘텐츠 관리, 데이터 백업, 안전한 전자 결제, 네트워크 및 관련 유틸리티들을 통합...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Content delivery network, コンテン..
    미디어 회사나 전자상거래 업체와 같은 콘텐츠 제공자는 그들의 콘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CDN 회사에 사용료를 지불한다. 반대로, CDN은 ISP, 이동통신사업자, 그리고 네트워크 사업자들에게 데이터 센터에서의 서버 호스팅 비용을 지불한다. 더 나은 퍼포먼스와 사용성 이외에도 CDN은 콘텐츠 제공자의...
    도서 위키백과
  • 이동 인터넷 정보 제공자 MISP, 移動-情報提供者
    가지는 무선 아이에스피 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 통신사들이 직접 운영하는 특정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 포털과는 달리 무선 응용 통신 규약(WAP)이나 휴대용 기기 마크업 언어(HTML) 등 서로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