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칼춤 sword dance
    칼 또는 그와 유사한 물건을 가지고 추는 남성들의 민속춤.|풍요를 빌기 위해 인간과 동물을 제물로 바치는 장면이나 전투 장면 및 악령 퇴치 같은 주제를 연출한다. 칼춤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 칼사슬춤인 칼자루와 칼끝 춤에서는 참가자가 각자 자기의 칼자루를 잡은 채 뒤쪽에 있는 사람의 칼끝을 잡고 추는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검무 칼춤, 劍舞
    검기무, 또는 칼춤이라고도 부르며 민속춤과 궁중춤에서도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는다. 원시시대부터 자연스레 의식제례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검무에 대한 기록은 〈증보문헌비고〉·〈삼국사기〉 등에 칼춤이 애국심과 관련을 맺으면서 추어졌음이 보인다.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진주검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검무 검기무, 劒舞
    검무는 칼을 휘두르며 추는 춤이다. 일명 칼춤이라고도 하는데, 검기라는 칼과 함께 추며, 반주 음악으로 연주된다. 신라 소년 황창이 칼춤을 추며 백제왕을 죽이자 그를 추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성행하지 않았지만 기녀들에 의해 계속해서 이어졌다. 검무는 전립과 전복 등을 착용하고 춘다. 칼의 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칼춤 Sword dance, 剣舞
    칼춤은 각국의 세계사에 기록되어 있다. 아프리카, 아시아 및 유럽에서 솔로 및 모의 전투(Pyrrhic) 칼춤의 다양한 전통이 있다. 검무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칼춤 神─
    내용 신칼은 무속의례에서 가장 기본적인 신구(神具)이므로 신칼춤은 우리나라 전지역의 무당들에 의해서 추어지고 있다. 축귀(逐鬼)·청신(請神)·오신(娛神)·점술(占術) 등과 같은 제의적 기능을 가진 신칼춤은 잡귀를 몰아내는 전투적인 춤(逐鬼舞)과 신을 즐겁게 하는 오신무(娛神舞)가 주를 이룬다. 신칼춤은 신발...
    성격 :
    무당춤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거무영청굿 피쟁이굿
    개설 ‘칼감제굿’ 또는 ‘칼춤굿’이라고도 부르고, 한자로는 검무영송(劍舞迎送)이라고 표기한다. 육지의 집안재수굿과 같은 계통의 굿이지만 가계로 내려온 백정이라는 특수직업의식이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내용 이 굿에서 무당은 백정으로 분장하여 죽어서도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짐승의 중요성을...
    성격 :
    무속의례
    유형 :
    의식행사
    주관처 :
    제주도 백정집안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검결 劒訣
    교도들이 몸을 닦고 주문을 외우고 약을 먹으면서 칼노래를 부르며 칼춤을 추는 동학의 종교의식이자 수련방식. 최제우가 득도한 이듬해인 1861년(철종 12) 박해를 피해 경주를 떠나 서공서(徐公瑞)의 주선으로 남원성 밖 교룡산성(蛟龍山城) 산골짜기에 있는 선국사(善國寺) 은적암(隱寂菴)에서 여덟 달 동안 피신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발레 모음곡 가야네 아람 하차투리안, Gayane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하차투리안의 음악이 가지고 있는 마법적인 매력은 전곡이 아닌, 부분적인 모음곡, 혹은 이 곡에서 독립적으로 알려진 ‘칼춤’으로 더 많은 이들의 뇌리에 각인되었다. 특히 ‘칼춤’ 이외에도 발레음악 〈가야네〉에는 수많은 민속 춤곡적인 요소들을 가진 매혹적인 작품들이 많지만, 그...
    시대 :
    20세기 이후
    분류 :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
    1941년~1942년
    작곡가 :
    아람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 1903~1978)
    초연 :
    1942년 12월 9일, 러시아 페름
    등장인물 :
    • 가야네 • 긴코(가야네의 남편) • 카자코프(경비대장) • 누네(가야네의 여동생) • 아르멘(가야네의 오빠)
    배경 :
    아르메니아 국경 부근의 집단 농장
    구성 :
    4막
    편성 :
    플루트 3(제3플루트는 피콜로로 더블링),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3(제 3클라리넷은 베이스 클라리넷으로 더블링), 알토 색소폰, 바순 2, 호른 4, 코넷, 트럼펫 3, 알토 트럼펫, 트롬본 3, 베이스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탬버린, 사이드 드럼 2, 심벌즈, 베이스 드럼, 탐탐, 돌리, 다이라, 글로켄슈필, 실로폰, 마림바, 비브라폰, 차임, 첼레스타, 피아노, 하프 2, 현악기
  • 진나라의 흥망, 홍문의 만남
    사촌 동생 항장(項莊)을 밖으로 불러내어 말하였다. “항 장군이 소심하여 차마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으니 그대는 연석에 들어가 축배를 올리고 칼춤 추기를 청하여 칼춤을 빙자하여 패공(유방)을 쳐서 그 자리에서 죽여야 하오. 그렇지 못하면 항씨 일족은 나중에 모두 패공(유방)의 포로가 될 것이오.” 항장은...
  • 진주검무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전승되는 여성검무. 검기무 또는 칼춤이라고도 한다. 궁중 잔치에서 행해지던 춤 가운데 하나이다. 유래는 정확히 밝혀진 바 없지만, 신라시대에 백성들이 나라를 위해 죽은 소년들을 애도하는 의미를 담아 춤을 추었다고 하는 설과, 논개의 얼을 달래기 위해 기생들이 칼춤을 춘 데서 비롯되었다는...
    문화재 지정 :
    1967.01.16
    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북청사자놀음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앞뒤에 서서 사자가면을 쓴다. 악기는 쌍퉁소와 북으로 구성된 악대가 북방 특유의 소리를 친다. 구성 연희의 내용은 길놀이·마당놀이·애원성춤·사당춤·칼춤·무동춤·꼽새춤·사자춤·재담·넋두리춤 등으로 구성된다. 놀이의 처음은 도청(이 지방의 고유한 공동집회장소)에서 벌어지는 마당놀이다. 마을마다...
    문화재 지정 :
    1967.03.31
    소재지 :
    서울특별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북청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이, 北靑獅子놀음
    등이 유명했으며, 그 밖에 마을마다 제각기 사자를 꾸며 놀았다. 북청사자놀음은 사자춤이 중심이고, 애원성춤, 사당춤, 거사춤, 무동춤, 넉두리춤, 꼽추춤, 칼춤 등은 사자춤을 추기 전에 여흥으로 추는 것이다. 남한에서 복원된 북청사자놀음에는 사자가 2마리 등장하지만, 원래 북청 지방에서는 사자가 1마리만 등장...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무용·민속극·연극
    분야 :
    예술·체육/연극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신칼춤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신칼춤
크로아티아 달마티안 해안 코츌라 섬에서 전통 칼춤을 추고 있는 모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