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출아법 出芽法, budding
    세포의 일부분이 떨어져 나가 하나의 세포가 되는 번식 방법.|어떤 종(種)에서는 출아가 몸체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출아는 몸의 특정 부위에서 일어난다. 출아는 증식하는 세포질 또는 세포에서 돌출하여 어버이와 똑같은 개체로 발생한다. 새로운 개체들은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존재...
    도서 다음백과
  • 생식 生殖, reproduction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무성생식에서는 자손이 모체의 유전 물질만 물려받으므로 다양한 형질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무성생식의 종류에는 분열법, 출아법, 포자법, 영양생식 등이 있다. 세균이나 아메바 같은 단세포 생물은 체세포 분열 과정을 통해 개체수를 늘린다. 대장균은 최적 조건에서 20분마다 세포...
  • 출아 (관련어 출아법) Budding, 出芽
    출아(出芽)는 모체의 일부에서 싹이 나와, 이것이 분리되어 새로운 개체가 되는 생식법을 말한다. 출아법으로 생식하는 동물은 히드라, 산호 등의 강장동물, 해면동물, 태충류, 갯지렁이 등의 환형동물, 멍게류 등이다. 특히 산호·태충·우렁쉥이류 등은 출아에 의해 생겨난 새로운 개체가 모체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도서 위키백과
  • 돌산호목 Madreporaria
    분포한다. 자웅동체로, 성숙한 알과 정자는 수정하여 플라눌라(planula)가 되며, 착생한 다음 폴립으로 변태하고 골격을 분비하면서 자란다. 폴립은 출아법을 통해 무성생식으로 증식하여, 각 종 특유의 커다란 군체를 이룬다. 내부 구조는 말미잘과 비슷하나 말미잘과 달리 석회질 골격이 발달되어 있다. 촉수는 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자포동물
  • 무성 생식 無性生殖, asexual reproduction
    개체에서 만들어진 생식 세포가 단독으로 새로운 개체가 되는 경우이다. 무성 생식은 단일 어버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자손을 만든다. 무성 생식은 분열법, 출아법, 포자 생식, 영양 생식으로 나눌 수 있다. 분열법은 아메바, 짚신벌레, 세균 등의 생식 방법으로 개체가 어느 정도 자라면 나누어져 두 개의 새로운 개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식/비뇨기
  • 태양충 heliozoan
    유축위족)이라고 하며, 이동운동보다는 먹이를 잡는 목적으로 쓰인다. 태양충은 원생동물, 조류(藻類), 그밖의 작은 생물들을 섭취하며, 생식은 이분법이나 출아법(出芽法)에 의해 무성적으로 이루어진다. 편모가 있는 종류들은 배우자(gametes)로서, 여러 속에서 기재되었다. 악티노프리스 솔(Actinophrys sol)이 가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섬모충류 纖毛蟲類, ciliate
    대핵과 소핵을 가진다. 대핵은 대사와 발생 기능들을 조절하고 소핵은 생식에 필요하다. 보통 무성생식을 하며 접합도 일어난다. 무성생식은 이분법이나 출아법으로 이루어지며 유성생식은 개체간에 성적교환이 일어나는 접합이나 한 개체에서 핵이 재구성되는 자가수정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유성생식으로 당장 개체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해초류 sea squirt
    볼 수 있는 막대같이 생긴 유연한 구조물)과 신경색은 꼬리에 있다. 유생은 고착할 곳을 찾으면 흡반으로 그곳에 달라 붙는다. 이때 척색과 신경색이 있는 꼬리는 몸 속으로 흡수되어 사라진다. 출아법으로도 번식하는데, 해초류의 기부 가까이에서 손가락 모양의 돌기가 떨어져나가 어딘가에 고착하여, 새로운 개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내항동물 곡형동물, 內肛動物
    내항동물은 주로 해양 서식처에서 살며 전세계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민물방울벌레속(─Urnatella) 한 속만 민물산이다. 내항동물은 단체로 있거나 출아법을 통해 개충(個蟲)이라고 하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군체를 이룬다. 개충들은 현미경적인 크기로 높이가 0.4~5㎜밖에 안된다. 각 개충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모구류 毛口類, trichostome
    이것은 배쪽에 있는 입과 연결된다. 몸의 표면에는 섬모가 골고루 나 있는데, 기생하는 것들은 섬모가 별로 없다. 활동기나 휴지기 어느 때든 이분법 또는 출아법에 의해 생식할 수 있다. 민물에 사는 콜포다속 동물들은 많이 연구되었으며 휴지기에만 분열한다. 모구류 동물로 기생성인 발란티디움속은 동물의 장(腸)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생물
  • 세균의 성장과 생식
    있다. 이분법이 진정세균목의 전형적인 생식방법이지만 어떤 종류, 특히 진화된 종류에서는 다른 양식의 생식이 일어난다. 로도미크로비움 바로이엘리는 출아법에 의해, 방선균은 포자로 생식한다. 장내 세균들 중에는 아주 드물게 유성생식(접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1쌍의 세균들이 직접 물리적인 접촉을 하여 한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기는줄기 stolon
    수를 늘린다. 식물학에서는 수평으로 땅을 기는 줄기를 뜻하며, 영어로는 러너(runner)라고 부른다. 기는 줄기의 마디에서 뿌리와 곧추서서 자라는 새로운 가지가 나온다. 영어 스톨론(stolon)은 일부 무척추동물이 출아법에 의해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수평돌기와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는 곰팡이의 균사를 일컫기도 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