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축 강(椌), 柷번 내리친 다음 좌우로 한 번씩 치되, 이와 같이 세 번, 모두 9성(九聲)을 내었으나, 지금은 방망이로 상자 밑바닥만 세 번 내려치기를 세 번, 모두 9성을 내는 점이 다르다. 축은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서 동쪽에 놓고, 음악의 마침을 알리는 어(敔)는 서쪽에 놓는다. 현재 문묘와 종묘의 제례악에 쓰인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국악악기 시리즈 (제2집) 어이 상자는 대 위에 올려져 있다. 상자 윗면에 구멍이 뚫려 그 속으로 망치가 꽂혀 있다. 축은 ‘어’와 함께 아악의 등가와 헌가에 쓰이었다. 축은 고려 때부터 사용하던 악기이며, 지금도 성균관의 문묘 제향 때에 쓰이고 있다. 2. 어 어는 나무로 만든 호랑이의 잔등 위에 27개의 톱니 형상이 박혀있다. 대(竹)로 만든...
- 발행일 :
- 1974.4.20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30원
- 디자인 :
- 어
- 우표번호 :
- 891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국악악기 시리즈 (제2집) 축이 상자는 대 위에 올려져 있다. 상자 윗면에 구멍이 뚫려 그 속으로 망치가 꽂혀 있다. 축은 ‘어’와 함께 아악의 등가와 헌가에 쓰이었다. 축은 고려 때부터 사용하던 악기이며, 지금도 성균관의 문묘 제향 때에 쓰이고 있다. 2. 어 어는 나무로 만든 호랑이의 잔등 위에 27개의 톱니 형상이 박혀있다. 대(竹)로 만든...
- 발행일 :
- 1974.4.20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10원
- 디자인 :
- 축
- 우표번호 :
- 890
- 인면 :
- 49×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5×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어 4도색
- 디자이너 :
- 전희한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특별한 악기들나무 여섯 조각을 한쪽에 구멍을 뚫은 후 한데 묶어서 만든 '박(拍)'이 있습니다. 또 네모난 나무통 위에 구멍을 뚫어 나무방망이로 내리치는 '축'은 시작할 때 쓰는 악기이며, 호랑이를 본뜬 모양의 등줄기에 톱날처럼 생긴 톱니가 달린 '어'는 음악을 끝낼 때 쓰는 악기입니다. 어의 연주법은 호랑이 머리를 세 번...
-
악기조성청의궤 樂器造成廳儀軌판서 홍낙성(洪樂性), 장악원첨정 이정환(李晶煥), 전악 신득린(申得麟)과 임성주(林成柱) 등이었다. 이들의 감독과 지휘 아래서 1777년 5월 25일에 완성된 악기들은 편종 32매, 편경 32매, 방향 32매, 진고(晋鼓) 1, 절고(節鼓) 1, 축 2, 장고 2, 어 2, 당비파 1, 향비파 1, 거문고[玄琴] 1, 가야금 1, 아쟁 1, 생 2...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의궤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책
- 간행/발행 :
- 예조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