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축척 縮尺, scale
    실제의 거리를 지도상에 축소하여 표시하였을 때 실제거리 대 축소된 거리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분자가 1인 표현하는 분수로 표현한다. 축척의 분모가 작을수록(지도에 표시되는 영역이 작을수록) 대축척지도라 한다. 아래 좌측 그림은 서울-경기도 지역의 소축척지도의 모습이고, 우측 그림은 서울 지역의 대...
  • 축척 縮尺, contraction scale
    제도시 물품을 실물보다 작게 그릴 때에 사용되는 척도. 기계 제도에서는 1/2, 1/2.5, 1/3, 1/4, 1/5, (1/8), 1/10, 1/20, (1/25), 1/50, 1/100, 1/200, (1/250), (1/500)이 원칙적으로 사용된다. ( )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 실물보다 크게 그릴 경우의 척도를 배척, 실물과 같은 크기를 그릴 경우 척도...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축척 Scale (map), 縮尺
    번역 확장 필요 축척(縮尺)은 실제의 거리를 지도 상에 축소하여 표시하였을 때의 축소 비율을 의미한다. '5km의 거리는 5만분의 1 지형도상에서 몇 cm가 되는가'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계산식으로 간단히 구할 수 있다. 5km=5,000m=500,000cm 500,000(cm)*1/50,000(축척)=10cm. 즉 5km를 cm로 고치고 거기에 축척을 곱...
    도서 위키백과
  • 지도에서 사용하는 축척이란?
    대부분 여행지도 및 거리지도, 고속도로 지도에서는 마일(miles)과 킬로미터(km)로 측정 축척을 나타낸다. 지도 위에서 직선거리를 마일이나 킬로미터로 나타내기 위해 한 장의 종이 위에 출발점과 목적지를 표시한 다음, 지도에 제시한 축척을 토대로 하여 표시눈금 사이의 ‘거리’를 구한다. 위상지도 또한 축척을...
  •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문헌비고를 인용해서 우리나라의 해안에 연해 있는 읍의 거리를 근거로 한 해안선의 거리와 압록강과 두만강의 길이 등을 이수(里數)로 표시하고 있다. 축척 〈대동여지도〉에는 제1층 첫머리에 그려져 있는 지도 방안(方眼)에 매방십리(每方十里)라고 되어 있어서 간접적으로 축척이 표시되어 있다. 지도의 좌표에 해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보물
  •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①이어보기에 편리하도록 지도 각 면의 외곽 부분에 여백을 없앴다. 이 때문에『청구도』의 외곽 여백에 표시된 10리 간격의 축척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고, 어쩔 수 없이 1층의 가장 앞쪽에 가로와 세로 각각 80리와 120리의 눈금선표를 수록하여 축척의 기능을 대신...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김정호
    문화재 지정 :
    보물 제850-1호
    창작/발표시기 :
    1861년
    성격 :
    지도집, 지도첩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2첩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서울역사박물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규장각
  • 다글루코산체의 축척 Polyglucosan body storage disea..
    주요 증상 설사, 하리 앞다리 허약, 무기력, 부전마비, 마비 구역질 뒷다리 파행, 경직, 절름발이 기립불능, 다우너 뒷다리 양쪽 부전마비, 무기력, 마비 발작, 실신, 경련 간질발작, 허탈 목의 경직, 뻣뻣한 목 수척, 건강상태 불량, 증체율 불량 구토 체중감소
    축종 :
    도서 동물질병사전 | 태그 질병
  • 축척계수 縮尺係數, scaling factor
    축척계수란 타원체 상 측지전 길이와 이에 대응되는 평면 좌표상 거리와의 비로써 모형실험에서 원형 물리량 크기와 비를 말한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동국지도 東國地圖
    내용 채색 필사본으로 9폭의 지도첩(地圖帖)에 전국도(全國圖)와 도별도(道別圖)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 최초로 축척이 표시된 지도이다. 도별도는 약 42만 분의 1 축척으로 여덟 장을 합치면 전국 지도가 된다. 도별도는 각 도를 한 장의 지도에 그렸으나, 지면 관계와 도의 크기로 인하여 함경도는 남도와 북도...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축척 half size
    제도에서 용이한 축척의 일종으로 실물의 각부에 길이를 1/2으로 묘사한 척도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4분의 1축척 quarter size, 4분의 1縮尺
    제도에서 각부의 치수를 실물의 1/4로 그려서 나타내어 표시한 도면.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동국지도 東國地圖
    채색 필사본. 축척이 1/400,000인 도별도와 그것을 합하여 만든 전국도가 있다. 조선 전기와 비교해 볼 때 조선 후기의 지도는 축척이 커지고, 방안좌표를 도입하여 방위와 거리, 축척 등이 정확해지는 점을 하나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는데 이 지도는 그 효시가 된다. 도별 동국지도는 각 도를 1장에 그린 8장의 지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소축척지도와 대축척지도
(왼쪽) 축척1:5,000 지형도, (오른쪽) 축척 1:50,000 지형도
축척변경 승인신청서
축척변경 지번별 조서
도엽 색인도 - 축척 1:50,000 지형도
태양과 리겔의 크기를 실제 축척으로 비교한 것.
1842년 고안된 그레이트 로스(Great Rosse) 반사망원경의 축척 모형
더보기